$\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쓰가루'사과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다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Changes in Cell Wall Components, and Solubil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Pectin and Neutral Sugar Polymers during Softening of 'Tsugaru' Appl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5 = no.78, 2006년, pp.834 - 839  

최철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  강인규 (상주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쓰가루' 사과의 연화동안에 일어나는 세포벽 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연화단계별로 펙틴다당류들을 증류수, 0.05 M CDTA, 0.05 M $Na_2CO_3$, 8 M KOH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Uronic acid (UA) 함량은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는 저장 4주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분획별 비섬유성 중성당의 종류를 보면 증류수, 0.05 M CDTA 및 0.05 M $Na_2CO_3$ 가용성분획에서의 주요 구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으며, 8 M KOH 가용성분획에서는 glucose, galactose 및 xylose였다. 특히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galactose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증류수 가용성인 물질을 Sepharose CL-2B를 이용하여 uronic acid polymers (UAP)와 carbohydrate polymers (CP)를 분획한 결과를 보면 고분자의 UAP 및 CP가 수확후 과실의 연화가 진행될수록 저분자화 되었다. 고분자 중합물의 양은 과실이 연화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cell wall components and solubil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pectin and neutral sugar polymers during softening of 'Tsugaru' apples. Pectic polysaccharides were solubilized in different solvents, distilled-water, 0.05 M CDTA, 0.05 M $Na_2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실의 연화가 심한 '쓰가루' 사과의 저장동안에 일어나는 세포벽성분들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다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정도를 규명하므로서 과실의 연화기작을 밝히는 기초자료를 제공코저 하였다.

가설 설정

  • a)Datas are average of 3 replic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tley, I. M. 1977. A further study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in apples ripening in storage. J. Exp. Bot. 28, 943-948 

  2. Ben-Aire R., L. Sonego and C. Frenkel. 1979.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in ripening pears. J. Amer. Soc. Hort. Sci. 104, 500-505 

  3. Bitter, T. and H. M. Muir. 1962.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Anal. Biochem. 4, 330-334 

  4. Blakeney, A. B., P. J. Harris, R.T . Henry, and B. A. Stone. 1983. A simple and rapid preparation of alditol acetates for monosaccharide analysis. Carbohyd rate. Res. 113, 291-299 

  5. Brady, C. J. 1987. Fruit ripening. Ann. Rev. Plant Physiol. 38,155-178 

  6. Chun, J. P. 1995. Changes in cell wall components during ripening and softening in apple fruit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aejon, Korea 

  7. Cutillas-Iturralde A., I. Zarra, and E. P. Lorences. 1993. Metabolism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from persimmon fruit. Pectin solubilization during fruit ripening occurs in apparent absence of polygalacturonase activity. Physiol. Plant 89, 369-375 

  8. Cutillas-Iturralde A., I. Zarra, C. F. Stephan, and E. P. Lorences. 1994. Implication of persimmon fruit hemicellulose metabolism in the softening process. Importance of xyloglucan endotransglycosylase. Physiol. Plant 91, 169-176 

  9. Dubois M., K. A. Gilles, J. K. Hamilton, P. A. Rebers, and F. Smith. 1956. Colori- 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0. Giovannoni, J. J., D. Della Penna, A. B. Bennett, and R. L. Fisher. 1989. Expression of a chimeric polygalacturonase gene in transgenic rin (ripening inhibitor) tomato fruit results in polyuronide degradation but no fruit softening. Plant Cell 1, 53-63 

  11. Gross, K. C., and S. J. Wallner. 1979. Degrada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during tomato fruit ripening. Plant Physiol. 63, 117-120 

  12. Gross, K. C. 1984. Fraction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cell walls from normal and non-ripening mutant tomato fruit. Physiol. Plant 62, 25-32 

  13. Gross, K. C. and C. E. Sams. 1984. Changes in cell wall neutral sugar composition during fruit ripening: a species survey. Phytochem. 23, 2457-2461 

  14. Huber, D. J. 1983. The role of cell wall hydrolases in fruit softening. Hort. Rev. 5, 169-219 

  15. Kang, I. K., K. H. Chang, and J. K. Byun. 1998. Changes in activities of cell wall hydrolases during ripening and softening in persimmon fruits. J. Kor. Soc. Hort. Sci. 39, 55-59 

  16. Kim, J. K., K. C. Gross, and T. Solomos. 1987. Characterization of the stimulation of ethylene production by galactose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fruit. Plant Physiol. 85, 804-807 

  17. Knee, M. 1978. Properites of polygalacturonase and cell cohesion in apple fruit cortical tissue. Phytochem. 17, 1257-1260 

  18. Redgwell, R. J., L. D. Melton, and D. J. Brasch. 1990. Cell wall changes in kiwifruit following postharvest ethylene treatment. Phytochem. 29, 399-407 

  19. Redgwell, R. J. 1991.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effect of ripening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cell wall materials. Carbohydrate Res. 209, 191-202 

  20. Shewfelt, A. L., V. A. payter, and J. J. Jen. 1971. Textural changes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ectin constituent in ripening peaches. J. Food Sci. 36, 573-575 

  21. Shin, S. R. 1989.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enzyme activities, protein and structure of persimmon fruit (Diospyros kaki L.) during softening.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Daegu, Korea 

  22. Smith, C. J. S., C. F. Watson, J. Ray, C. R. Bird, P. C. Morris, W. Schuch, and D. Grierson. 1988. Antisense RNA inhibition of polygalacturonase gene expression in transgenic tomatoes. Nature 334, 724-726 

  23. Tucker, G. A. and D. Grierson. 1987. Fruit ripining. pp. 265-318. In: D.D. Davies(ed.). The biochemistry of plants -A comprehensive treatise-. Vol. 12, Academic Press 

  24. Yamaki, S., Y. Machida, and N. Kakiuchi. 1979. Changes in cell wall poly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during development and ripening of Japanese pear fruit. Plant Cell Physiol. 20, 31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