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위별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의 이화학적 성상 및 항산화 활성 효과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4 = no.188, 2006년, pp.571 - 576  

이성현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영선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허성일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심태흠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  사재훈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  최대성 (정선군 농업기술센터) ,  왕명현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의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기위하여 고려엉겅퀴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 부위별추출물 중 탄수화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성분은 조단백질, 수분, 조회분, 조지방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 무기성분은 모두 일곱 종이 검사되었고,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부위별 K의 함량은 잎 부위에서 5,371.97 mg/100 g, 삶은 및 부위에서 1,770.62 mg/100 g, 꽃 부위는 1,983 mg/100 g, 줄기 부위는 6,096.74 mg/100 g, 뿌리 부위는 1,604.2 m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xylose, galactose, glucose 총 3종이 함유되었으며 xylose는 꽃과 줄기부위에서만 분리, 동정되었고, galactose는 줄기 부위에서만, glucose는 전체 부위에서 분리, 동정되었다. 지방산 중 linolenic acid(C18:3)와 linoleic acid(C18:2)가 가장 많이 존재했다. linolenic acid(C18:3)는 잎, 삶은 잎, 꽃 부위에서 각각 41.63%, 34.01%, 18.83%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linoleic acid(C18:2)는 뿌리, 줄기, 삶은 일 부위에서 각각 49.59, 40.72, 39.24%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각 용매 별 추출 수율은 잎 부위의 물 추출물에서 27.22%, 삶은 잎 부위의 75% 메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14.2%, 꽃 부위의 75% 메탄올 추출물에서 17.85%, 줄기의 물 추출물에서 14.8%, 뿌리 부위의 75% 메탄올 추출물에서 36.6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고려엉겅퀴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에서 꽃의 물 추출물에서 $53.47\;{\mu}g/mL$, 삶은 잎의 물 추출물에서 $75.84\;{\mu}g/mL$,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88.22\;{\mu}g/mL$,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111.19\;{\mu}g/mL$L, 줄기의 물 추출물에서 $257.48\;{\mu}g/mL$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s including protein, lipid, ash, carbohydrate, and mineral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of Cirsium setidens Nakai in order to detect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develop novel functional resources. Different organs commonly had the highest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전부터 우리조상들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민간요법으로 이용했던 산채류인 고려엉겅퀴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음료 및 식품개발 등 식품재료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더불어 한국 고유의 고려엉겅퀴의 자원을 충분히 활용한 생리활성물질의 기능성식품 개발을 목적으로 고려엉겅퀴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ee SJ. Korean Folk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145-146 (1966) 

  2. Ishida H, Umino T, Tsuji K, Kosuge T. Studies on antihemmorrhagic substance in Herbs classified as hemostatics in Chinese medicine. VII. On the antihmorrhagic principle in Cirsium japonicum DC. Chem. Pharm. Bull. 35: 861 (1987) 

  3. Yun HS, Chang IM.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Cirsimarin from Cirsium Pendulum Fisch. Korean J. Pharmacogn. 9: 145-147(1978) 

  4. Park JC, Yu YB, Im SS, Lee JH. Isolation of flavone glycoside from the herb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orean J. Pharmacogn. 25: 96-97 (1994) 

  5. Lee YC, Park YH. Chemical Studies on Cirsium Species (V).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Cirsium xanthocanthum. Korean J. Pharmacogn. 15: 74-77 (1984) 

  6. Do JC, Jung KY, Son KH. Isolation of pextolinarin from the aerial parts of Cirsium nipponicum. Korean J. Pharmacogn. 25: 73-75 (1994) 

  7. Morita N, Shimizu M, Arisawa M. Two new flavone glycosides from Cirsium lineare. Phytochemistry. 12: 421-423 (1973) 

  8. Rauen HM, Schriewer H. The antihepatotoxic effect of silymarin on liver damage in rat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d-galactosamine and allyl alcohol. Arzneimittelforsch 21: 1194-1201 (1971) 

  9. Mourelle M, Murrel P, Favari L, Franco T. Prevention of $CCI_4$ -induced cirrhosis by silymarin. Fund. Clin. Pharmacol. 3: 183-191 (1989) 

  10. Ingelman-sundberg M, Johansson I, Penttil K, Glaumann H, Lindros KO. Centrilobular expression of ethanol inducible cytochrome P450(IIEI) in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157: 55-60 (1988) 

  11. Ferenci P, Dragosises B, Dittrich H, Frand H, Benda L, Lochs H, Meryn S, Base W, Schneider B.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ilymarin treatment in patients with cirrhosis of the liver. J. Hepatol. 9: 105-113 (1989) 

  12. Lim SS, Lee JH, Park JC. Isolation of flavone glycoside from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nd biological activity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42-247(1997) 

  13. Wiseman H.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me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 Biochem. 7: 2-6 (1996) 

  14. Shin DH. The study course and movement of natural antioxidants. Korean Food Sci. Technol. 30: 14-18 (1997) 

  15. Frankel EN. Antioxidants in lipid foods and their on food quality. Food Chem. 57: 51-54 (1996) 

  16.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pp. 129-133 (1980) 

  17. Bligh EG, Dyer WJ. A rapid methods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l. 37: 911-917 (1959) 

  18. Folch J, Lee SM, Stanley GH. A simple methods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57) 

  19. Metcalfe LD, Schmitz AA. The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3: 363-364 (1961) 

  20. Blakeney AB, Harris PJ, Henry RJ, Stone BA. A simple and rapid preparation of auditor acetates for monosaccharide analysis. Carbohyd. Res. 113: 291-299 (1983) 

  21. Kumaran A, Karunakaran RJ.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Coleus aromaticus. Food Chem. 97: 109-114 (2006) 

  22. Lee HK, Kim JS, Kim NY, Kim MJ, Park SU, Yu CY.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ean J. Med. Crop Sci. 11: 53-6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