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급식소 고객의 손 위생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7, 2006년, pp.940 - 944  

박해정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식소 고객의 손 위생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소비자 위생교육의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점심식사 시간에 대학교 내 학생식당을 찾은 일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 세척에 대한 설문조사와 손의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190명의 1일 평균 손 세척횟수는 전체 평균 6.46회였다.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세균수는 평균 3.11 log CFU/hand로 $0.70{\sim}6.47\;log\;CFU/hand$가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1.06 log CFU/hand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부터 최대 5.04 log CFU/hand까지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조사대상자 전원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율은 20.5%였다. 고객의 성별에 따른 손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일반세균수(p<0.001)와 대장균군수(p<0.05)가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도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많은 수가 검출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손 세척횟수에 따른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일반세균수는 손 세척횟수가 4번 이하일 때 평균 3.25 log CFU/hand, $5{\sim}7$번일때 2.75 log CFU/hand, 8번 이상일 때 2.75 log CFU/hand로 손 세척횟수가 증가함엠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대장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장균군과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량은 손세척 횟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점심시간 전 손 세척여부에 다른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일반세균수는 점심시간 전 손 세척을 항상 하는 경우가 전혀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검출되었다(p<0.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s of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A total of 190 customers' hands were sampled to test about aerobie plate counts, coliforms,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average number of aerobic plate count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취급자의 위 생뿐만 아니라 소비자 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올바른 손 씻기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일반인의 손 위생에 대한 미생물학적 수준을 평가하여 향후 소비자 위생교육의 계획수립과 진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급식소를 이용하는 일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 위생 관련 설문조사와 손의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terkruse SF, Cohen ML, Swerdlow DL. 1997. Emerging foodborne disease. Emerg Infect Dis 3: 285-293 

  2. Bryan FL. 1978. Factors that contribute to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 J Food Prot 41: 816 

  3. Weinstein J. 1991. The clean restaurant. II: Employee hygiene. Restaurants Inst 101: 138-144 

  4. Restaine L, Charles EW. 1990.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hand washing for food establishments. Dairy Food Environ Sanit 10: 136-141 

  5. Lyu ES, Chang HJ. 1995. Food sanitary practices of the employe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Korean J Soc Food Sci 11: 274-281 

  6. Kwak TK, Park KH. 1986.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condition as well as quality of foods served in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seoul city area. Korean J Fd Hyg 1: 121-131 

  7. Moon HK, Jean JY, Lyu ES. 2004. Assessment of hygie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implementation for dieticians and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J Korean Dietet Assoc 10: 261-271 

  8. Lee BH, Huh KS, Kim IH. 2004. Establishment of hygienic standards for pizza restaurant based on HACCP concept- focused on pizza production-. Korean J Food Soc Technol 36: 174-182 

  9.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et Assoc 9: 22-31 

  10. Park SJ, Ha GS, Shim WB, Park MK, Chung DH. 2003. Environmental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services at elementary schools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J Fd Hyg Safety 18: 14-24 

  11. Doyle MP, Ruoff KL, Pierson M, Weinberg W, Soule B, Michaels BS. 2000. Reduc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at home. Dairy Food Environ Sanit 20: 330-337 

  12. Jack G, Marianne P, Ross D. 1999. Evaluation of risks related to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ood by food preparation worker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minimize those risks. http://www.cfsan.fda. gov 

  13. Snyder OP. 1992. HACCP-An industry food safely self- control program - part IV. Dairy Food Environ Sanit 12: 310-316 

  14. Kang YJ. 2001. Handwashing, essential for safe food preparation, a technical review.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7: 269-276 

  15. Bae HJ, Paik JE, Joo NM, Yoon JY. 2006. HACCP principle and application for foodservice managers. 2nd ed. Kyomunsa, Seoul 

  16. Kim EM, Kim HS. 2001.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ba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bakeri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7: 85-98 

  17. Park HK, Kim KL, Shin HW, Kye SH, Yoo WC. 2000.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 315-323 

  18. Kwak TK, Jang HJ, Rew K, Kim SH. 1998. Effectiveness of 70% alcohol solution and hand washing methods on removing transient skin bacteria in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et Assoc 4: 235-244 

  19. Kim YH, Jeon SS, Jeong IS, Chang CH, Kim JH, Huh JA. 2003. The effect of handwashing improving program and MRSA carrier screening program on the MRSA infection rates in an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Nurs 33: 686-692 

  20. Paulson DS. 1993. Evaluation of three microorganism recovery procedures used to determine hand wash efficacy. Dairy Food Environ Sanit 13: 520-523 

  21.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2000. Foodcode 

  22. Sung NK. 2000. Statistical data analysis using SAS for WINDOW. Freedom Academy, Seoul 

  23. Kim KJ, Kim YL, Kim IU. 1986.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practice to personal hygiene of aged men in urban areas. Korean J Gerontological Soc 6: 53-78 

  24. Kim JW, Kim DY, Kwak TK, Suh HJ. 2001. Hygienic status of Korean hospita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105-116 

  25. Cho HO. 2001.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mployee's hands hygiene based on sanitation training in foodservice organization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Bae HJ. 2001. Survey on sanitation practice and the analysis of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in foodservice operations.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7. Lee KH, Lyu ES, Lee KY. 2001. A study on the sanitary status at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Changwo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47-759 

  28. Kjolen H, Andersen BM. 1991. Handwashing and disinfection of heavily contaminated hands-effective or ineffective? J Hospital Infect 21: 61-71 

  29.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1998. Handwashing-related research findings. http://www. foodsafety.gov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