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대학생의 세정제를 이용한 손 씻기 후 유해 미생물의 차이: 일반세정제와 항균세정제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Bacterial Cultivation Results before and after Hand Washing from a College Student in Gangwon Province, Korea: Using Plain and Antibacterial Soap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3, 2014년, pp.157 - 163  

정혜영 (송호대학교 간호과) ,  최연임 (송호대학교 임상병리과) ,  현혜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김주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윤성자 (송호대학교 간호과) ,  이규상 (연세대학교 임상병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organisms in the hand before and after hand washing, using plain and antibacterial soa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etails, for educational purposes, of hand washing methods that should be used by college students for their hand hygiene.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손씻기와 관련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병원 감염 예방을 위해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평소 손 씻는 습관에 따른 유해 미생물 제거율 차이에 대한 확인(Jeong, Choi, Lee, & Kim, 2003)과 알코올젤의 손 소독 효과를 확인한 논문(Jeong, Kim, Kim, & Choi, 2003) 등의 보고가 가장 많았으며, 간호대학생이나 보건계열 대학생의 손씻기 수행 또는 태도에 대한 주제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일 반 대 학생을 대상으로 세정제에 따른 유해 미생물의 제거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세정제를 사용하여 손씻기 방법에 따른 손의 유해 미생물 차이와 일반 세정제와 항균 세정제를 사용하여 손씻기 후의 유해 미생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체생활을 하는 기숙사, 교내 화장실과 공공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손을 씻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가장 기초가 되는 보건위생을 시행하고자 시도되었다.
  • 일반인의 경우 손 씻기의 질에는 손씻기 횟수, 소요시간, 사용제제 및 손을 씻는 방법 등이 모두 관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 지역 대학생들의 손 씻기 지식, 태도 및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세정제를 사용한 손씻기 전후의 배양검사를 통하여 미생물 감소 정도를 직접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세정제를 사용하여 손씻기 방법에 따른 손의 유해 미생물 차이와 일반 세정제와 항균 세정제를 사용하여 손씻기 후의 유해 미생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체생활을 하는 기숙사, 교내 화장실과 공공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손을 씻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가장 기초가 되는 보건위생을 시행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씻기 수행 중 사용하는 일반 세정제와 항균 세정제의 유해 미생물 제거율의 차이를 확인하고 손씻기 교육 후 유해 미생물 제거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손씻기를 시행할 수 있는 환경과 손 씻기 실천율을 높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올바른 손씻기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일반 세정제 사용 후 유해 미생물 제거율은 63.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 씻기 교육 후손의 유해 미생물 제거 효과를 파악하고 일반 세정제와 항균 세정제의 유해 미생물 제거 효과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순수 실험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씻기가 전염병 예방에서 가장 기초적인 방법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전염병 예방을 위해 중요한 감염통제의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손씻기라고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감염성 질환은 세균이 묻은 손을 눈이나코, 입등을 만져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손씻기란 손의 표면을 강하고 간단하게 문질러 흐르는 물에 헹구어 내는 행위로, 손 씻기만 하여도 손의 미생물 52.
손에서 검출되는 유해 미생물은 무엇이 있습니까? 손에는 일반적인 Rotavirus, Campylobacteria, Legionella, Escherichia coli (E. coli), Norovirus, Influenza virus 등이 존재하며 병원종사자에게서는 MRSA와 Clostridium difficile (C. difficile) 등도 검출된다 (Trine, Roy, Kjersti, & Stig, 2009). 부적절한 손 위생 상태로 인해 매개 되는 질환으로는 이질, 감기 세균성 안질환 등 다양하며, 특히 최근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신종 인플루엔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안감과 공포를 가지게 하며 그로 인해 각종 스트레스가 예견되어 (Kim et al.
손씻기란? 전염병 예방을 위해 중요한 감염통제의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손씻기라고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감염성 질환은 세균이 묻은 손을 눈이나코, 입등을 만져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손씻기란 손의 표면을 강하고 간단하게 문질러 흐르는 물에 헹구어 내는 행위로, 손 씻기만 하여도 손의 미생물 52.8%가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Jeong, Choi, Lee, & Kim, 2003), 매년 학교에서 발생하는 식중독 사고 역시 손 씻기만 잘해도 7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 (Jang, 2007)으로 보고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itennica Online Korea. http://preview.britannica.co.kr/search/s97_utf8.exe?QueryText비누&DBaseArticle_Up 

  2. Han, M. J. (2003). The Effect of on Educational Hand washing Program on the Hnad washing Compli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Seoul. 

  3. Hand Washing Awareness Survey Findings Report and Recognition. (2005, Octobe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KCDC), from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5-MNU1083-MNU1375-MNU0025&cid1141 

  4. Hand Washing Practices and perception. (2009, Decembe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KCDC) from http://www.cdc.go.kr/CDC/cms/content/12/19312_view.html 

  5. Jang, Y. J. (2007).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6. Jeong, J. S., Choi, J. H., Lee, S. H., & Kim, Y. S. (2003). Hand hygiene effects measured by hand culture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5(2), 21-30. 

  7. John, M. B., & Didier, P. (2002). Guidline for hand hygine in health-care settings, 51(RR-16): Atianta,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MMWR), CDC. 

  8. Jones, R. D. (1999). Bacterial resistance and topical antimicrobial wash product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7, 351-363. 

  9. Kang, Y. J. (2001). A Technical review: Handwashing, essential for safe food preparation.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7(4), 56-71. 

  10. Kim, J. G., & Kim, J. S. (2009). A Study on the Hand-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4(2), 128-135. 

  11. Kim, J. H., Byeon, D. H., Kim, M. J., Sim, S. S., Choo, H. S., Chai, G. J., et al. (2011). Hand washing and prevention measures for new types of influenza.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1), 16-22. 

  12. Kim, Y. J. (2013). A study on the Subjectivity about Nursing Student's Attitude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621-630. 

  13. LeBlanc, D. M., Reece, E. M., Horton, J. B., & Janis, J. E. (2007). Increasing incidence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hand infections: a 3-year county hospital experience. Plast Reconstr Surg, 119(3), 935-940. 

  14. Lim, H. J. (1996). A Study on handwashing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2), 5-16. 

  15. Montville, R., Chen, Y., & Schaffner, D. W. (2002). Risk assessment of hand washing efficacy using literature and experimental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I, 73, 305-313. 

  16. Press Releases Online Survey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s. (2012, Novembe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KCDC). 

  17. Robinson, V. C., Bergfeld, W. F., Belsito, D. V., Hill, R. A., Klaassen, C. D., Marks, J. G. Jr, et al.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Author Robinson V. C., Year 2010, Vol 29 (4), 151-161. 

  18. Trine, H., Roy, M. N., Kjersti, S., & Stig, H. (2009). Association between use of Hand Hygiene Products and Rates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in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n Norway. Am J Infect Control, 37, 311-317. 

  19. Widipedia. (2014). http://en.wikipedia.org/wiki/Sodium_laureth_sulfate 

  20. Widipedia. (2013). http://ko.wikipedia.org/wiki/%EC%82%B4%EB%A6%AC%EC%8B%A4%EC%82%B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