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령 추출물이 혈중 지질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xtract of Hoelen on Serum Lipid Profiles in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8, 2006년, pp.1005 - 1009  

윤희진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 ,  차효미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 ,  김성원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 ,  신완철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 ,  김혜경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 ,  최석영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령의 비만예방 및 개선효과에 대해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복령추출물의 혈중 지질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마우스를 대조군, 고지방식이군(HF), 고지방식이+열수 추출물 첨가군(HF+WE), 고지방식이+에탄올 추출물 첨가군(HF+EE) 네 군으로 나누어 각각 4주간 투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군, 고지방식이군 및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체중증가량은 대조군, 고지방식이군 및 열수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에탄올 첨가군(HF+EE)에서 체중증가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 및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비해 HF+EE군에서 간 중량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부고환 지방조직 중량은 대조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 및 추출물 첨가군 모두 약 1.4배 증가하였다.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하였는데,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 있게 감소하였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고지방식이군에서 크게 증가하는데,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혈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감소하는데,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에서 증가하였다. 간의 트리글리세리드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복령의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마우스의 혈중 지방분포를 개선할 수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tracts of hoelen was evaluated for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adverse effects of a high fat diet.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control), high fat (HF) diet, high fat+water extract (HF+WE) and high fat+ethanol extract (HF+EE) and fed for 4 weeks. Food calorie consumption...

주제어

참고문헌 (32)

  1. WHO.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2. Stunkard AJ. 1996. Current views on obesity. Amer J Med 100: 230-23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4. Field AC, Coakley EH, Must A, Spadano JL, Laird N, Dietz WH, Rinn E, Colditz GA. 2001. Impact of overweight on the risk of developing common chronic disease during a 10-year. Arch Inter Med 161: 1581-1586 

  5. Sharrett AR, Ballantyne CM, Coady SA, Heiss, G, Sorlie PD, Catelier D, Patsch W. 2001.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levels, triglyceride, lipoprotein(a), apo-lipoprotein A-1 and B, and HDL density subfractions: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Circulation 104: 1108-1113 

  6. Kang JH. 2001. Evaluation criteria of healthy body weight in Koreans - focus on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6: 397-401 

  7. 이지열. 1988. 원색한국버섯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 26 

  8. 이상인. 1986. 본초학. 학림사, 서울. p 281 

  9. 정보섭, 신민교. 1998. 본초학의 기초를 위한 치료약물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도서출판 영림사, 서울. p 40-43 

  10. Saito H, Misaki A, Harada T. 1968. A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curdan and pachyman. Agr Biol Chem 32: 1261-1269 

  11. 김병각, 김양섭, 석순자, 성재모, 신재용, 안영남, 한정혜. 1995. 버섯건강요법. 가림출판사, 서울. p 201-212 

  12. Park YI. 1986. A study on carbohydrates in Hoelen. MS Thesis. Dong Kuk University, Korea. p 3-6 

  13. 한대석. 1993. 생약학. 동명사, 서울. p 356-358 

  14. Kwon MS, Chung SK, Choi JU, Song KS, Kang WW. 1998.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ed hoelen (Poria cocos Wolf) under the picking d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34-1040 

  15. Lee DI, Ko ST, Moon YH. 1974. Diuretic action of Hoelen in the dog. J Pharm Soc Kor 18: 39-48 

  16. Lee BI, Hong IP, Kim DW, Lee MW. 1990. Effects of Poria cocos and Panax ginseng extracts on hemogram of Sarcoma-180 mouse. Kor J Mycol 18: 218-224 

  17. Kim DG, Son DH, Choi UK, Cho YS, Kim SM.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oria coc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7-1101 

  18. Nukaya N, Goto H, Shimada Y, Ebdo Y, Sakakibara I, Terasawa K. 2003. Inhibitory effects of triterpenes isolated from Hoelen on free radical-induced lysis of red blood cells. Phytother Res 17: 160-162 

  19. Okui Y, Morita M, Iizuka A, Komatsu Y, Okada M, Maruno M, Niijima A. 1996. Effects of hoelen on the efferent activity of the gastric vagus nerve in the rat. Jpn J Pharmacol 72: 71-73 

  20. Hattori T, Hayashi K, Nagao T, Furuta K, Ito M, Suzuki Y. 1992. Studies on antinephritic effects of plant components (3): Effect of pachyman, a main component of Poria cocos Wolf on original-type anti-GBM nephritis in rats and its mechanisms. Jpn J Pharmacol 59: 89-96 

  21. Frings CS, Dunn RT. 1970.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 based on the sulfophospho-vanillin reaction. Am J Clin Pathol 53: 89-91 

  22.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S. 1983.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 497-509 

  23. Warnick JB, Benderson J, Albers JJ. 1978. HDL precipitation by dextran sulfate- $MgCl_2$ method. Clin Chem 28: 1379-1383 

  24. Friedewald WT, Levy RL, Fredrickso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out use of the preparation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5. Duncan DB. 1993. Multiple range test for correlated and heteroscedastic means. Biometrics 13: 164-176 

  26. Han LK, Takaku T, Li J, Kimura Y, Okuda H. 1999. Antiobesity action of oolong tea.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3: 98-105 

  27. Goldstein JL, Brown MS. 1983. Lipoprotein receptors: Genetic defense against atherosclerosis. Clin Res 30: 417- 423 

  28. Steinberg D, Witztum JL. 1990. Lipoproteins and atherogenesis. JAMA 264: 3047-3052 

  29. Venter CS, Vorster HH, Van der Nest DG. 1990. Comparison betwee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konjac glucomannan and propionate in baboons fed 'Western' diet. J Nutr 120: 1046-1050 

  30. Oh SH, Moon YJ, Soh JR, Cha YS. 2005. Effect of water extract of germinated brown rice on adiposity and obesity indices in mice fed a high fat diet. J Food Sci Nutr 10: 251-256 

  31. Kwon M-S, Chung S-K, Choi J-U, Song K-S, Lee I-S. 1999.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y of triterpenoids fraction from Poria cocos Wol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29-1033 

  32. Sekiya N, Goto H, Sjimada Y, Endo Y, Sakakibara I, Terasawa K. 2003. Inhibitory effects of triterpenes isolated from hoelen on free radical-induced lysis of red blood cells. Phytother Res 17: 160-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