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 및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학교에서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39 no.4, 2006년, pp.403 - 416  

박유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희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경희 (북삼초등학교) ,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인숙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is survey, 833 dietitians, 808 principals and 3,141 teachers across the country were asked about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as wel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지역 초등학교 영양사(833명) 교장(808명), 교사(3, 141명)를 대상으로 하여 영양교육 실시현황, 학생 식생활의 문제점, 영양교육의 필요성, 영양교육 실시를 위해 해결해야할 과제, 영양교육 시기, 교육대상자 및 교육자, 교육 인원, 교육시간, 영양교육의 효과적인 방법, 교육 내용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등학교 영양사 및 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육 실시 실태를 조사하고 급식유형별 초등학교 영양사, 교장, 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시에 관한 인식도를 파악함으로써 급식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영양교사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인수, 고 전, 권순달, 이수희, 이애랑, 임경숙, 정영진, 김종만, 강병구, 조혜영, 김운종. 영양교사 자격.양성 및 임용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정책연구 2003-지정-29, 2003 

  2. 곽동경. 학교영양사의 영양교사로서의 역할 확대와 자세. 국민영양 250: 15-17, 2003 

  3. 손숙미. 학교영양교사임용의 당위성 및 기대효과. 한국영양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토론회 자료집, pp.1-21, 2002 

  4. 양일선. 학교급식 전담직원의 배치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제도.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99-4-5-1, 1999 

  5. 이보숙. 학교급식과 영양교사. 국민영양 250: 18-23, 2003 

  6. 정진환. 학교영양교사 임용.배치 방안 모색, 한국영양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토론회 자료집, pp.1-13, 2002 

  7. ?見俊雄. これからの學校の食の指導者に望むこと-榮養敎 師制度の創設にあたって- 榮養日本 46(12): 4-13, 2003 

  8.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ociety for Nutrition Education, and American School Food Service Association nutrition services: an essential component of comprehensive school health programs. J Am Diet Assoc 103(4): 505-513, 2003 

  9. Yang IS, Lee YE, Cha JA, Yoo TY, Chung LN. Work measurement of dietetic staff through work sampling methodology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Nutrition 35(2): 263-271, 2002 

  10. Moon HK, Jang YJ. Analysis of the dietitian's job description in the school. J Korean Diet Assoc 8(2): 143-153, 2002 

  11. Bae IS, Shin KH, Lee YK, Lee SK.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4): 393-405, 2005 

  12. Shin KH, Shin EK, Park YH, Kim HH, Bae IS, Lee YK.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to set up the job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12): 105-117, 2006 

  13. Lee KH, Her ES, Jung WT.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1(2): 205-215, 2005 

  14. Choi EY, Joo NM.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Dietary Culture 20(1): 86-95, 2005 

  15. 박종렬, 신상명. 신교육행정학개론. pp.116, 형설출판사, 대구, 2004 

  16. Koo NS, Park JY, Park CI. Study on foodservice management of dietitia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aejon and Chung Nam. J Korean Diet Assoc 5(2): 117-127, 1999 

  17. Kim GM, Lee YH. A Study on nutrition management of dietitia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J Korean Diet Assoc 9(1): 57-70, 2003 

  18. Lee KH, Hwang KJ, Her ES.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4): 577-591, 2001 

  19. Park JA, Chang KJ.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Nutr 37(10): 928-937, 2004 

  20. Yeom CA, Kim HR, Park HR, Kim HS, Kim SA, Park OJ, Shin MK, Son SM. Parents and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 with meal service want sou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erformed by dietitian. J Korean Diet Assoc 1(1): 89-95, 1995 

  21. Her ES, Lee SG, Par k HJ, Lee KH.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795-804, 2005 

  22. Kim GM, Lee SY. A study on consciousness of administrator and dietitian for school food - 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al education. J Korean Diet Assoc 7(2): 129-137, 2001 

  23. Lee KS.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Suwon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4 

  24. Sin JW.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age children. Seoul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3 

  25. 구재옥.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와 발전방향, 전국영양사 학술대회, pp.37-71, 1999 

  26. Park S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6(1): 17-25, 2000 

  27. 김숙희. 2002년도 정책연구과제. 학교급식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연구 2001-특-07. 교육 인적자원부, 2002 

  28. Smith SF, James MA. School lunch and nutrition education resource for fourth graders. J Nutr Educ 12(2): 40-49, 1980 

  29. Yang IS, Kim EK, Bai YH, Lee SJ, Ahn HJ.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 Korean J Dietary Culture 8(2): 125-137,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