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귤박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과 열처리 효과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omace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9 no.1, 2006년, pp.60 - 64  

김종완 (경남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전유진 (제주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이종화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적외선 조사 및 일반 열처리가 감귤박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0, $150^{\circ}C$에서 각각 0, 10, 20, 30, 40, 50, 60분간 처리한 후, 70% 에탄올 추출물(EE)과 물추출물(WE)을 제조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 무처리구 EE의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각각 14.9%, 0.290이었으나 $100^{\circ}C$에서 30분간 원적외선 조사한 EE는 44.2%, 0.886이었고,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EE는 44.7%, 1.045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무처리구 WE의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각각 13.3%, 0.322였으나 $100^{\circ}C$에서 20분간 원적외선 조사한 WE는 54.0%, 0.938이었고, $100^{\circ}C$에서 50분간 열처리한 WE는 48.6%, 1.146로 각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당한 조건에서의 원적외선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감귤박의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의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far-infrared (FIR)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omaces (CP) was evaluated. CP were placed in pyrex petri dishes (8.0 cm diameter) and irradiated at $100^{\circ}C$ and $150^{\circ}C$ for 5, 10, 15, 20, 40 or 6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 또한, Lee 등은 원적외선이 아닌 일반적인 열처리에 의해서도 감귤 과피의 항산화능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귤박에 원적외선과 열처리를 하여 그 항산화력의 변화를 조사하여 감귤박의 가치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어떤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대상 활성 산소족에 따라 다양하다. 본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활성 산소족인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DPPH는 분자 내에 안정한 라디칼을 함유하지만,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라디칼이 소거되며, 이때의 DPPH의 거동은 PH와 유사하다.

가설 설정

  • 원적외선은 생물적으로 활성이 있으며, 물질의 중심까지 고르게 열을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15) 열을 동반하는 원적외선 조사는 복사 방식으로 열을 전달한다. 이는 열전달을 위한 매체가 필요 없이 전열 속도가 빠른 속도가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식품의 내외에 균일하게 열전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utteridge, J. M. C. and Halliwell, B. (1994) In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pp. 1-62 

  2. Jayat, C. and Ratinaud, M. H. (1993) Cell cycle analysis by flow cytometr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Biol. Cell 78, 15-25 

  3. Chance, B., Sies, H. and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4. Miyake, Y., Yamamoto, K., Tsujihara, N. and Osawa, T. (1998) Protective effects of lemon flavonoids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Lipids 33, 689-695 

  5. Jeong, W. S., Park, S. W. and Chung, S. K. (1997)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Citrus unshiu peels. Foods Biotechnol. 6, 292-296 

  6. Mouly, P. P. M., Arzouyan, C. G., Gaydou, E. M. and Estienne, J. M. (1994) Differentiation of citrus juices by factorial discriminant analysi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of flavanone glycosides. J. Agric. Food Chem. 42, 70-79 

  7. Rousff, R. L., Martin, S. F. and Youtsey, C. O. (1987) Quantitative survey of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citrus. J. Agric. Food Chem. 35, 1027-1030 

  8. Sohn, J. S. and Kim, M. K. (1998) Effect of heperidin and naringin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rat. Korean Nutr. Soc. 31, 687-696 

  9. Kawaguchi, K., Mizuno, T., Aida, K. and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02-104 

  10. Chen, Y. T., Zheng, R. L., Jia, Z. L. and Ju, Y. (1990) Flavonoides as superoxide scavengers and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l. Med. 9, 19-21 

  11. Guengerich, E. P. and Kim, D. M. (1990) In vitro inhibition of dihydropyridine oxidation and aflatoxin B1 activation in human liver microsomes by naringenine and other flavonoids. Carcinogenesis 11, 2275-2279 

  12. Francis, A. R., Shetty, T. K. and Bhattacharya, R. K. (1989) Modulating effect of plant flavonoids on the mutagenec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Carcinogenesis 10, 1953-1955 

  13. Braddock, R. J. and Crandall, P.G. (1981) Carbohydrate fiber from orange albedo. J. Food Sci. 46, 650-655 

  14. Braddock, R. J. (1983) Utilization of citrus juice vesicle and peel fiber. Food Tech. 12, 85-89 

  15. Inoue, S. and Kabaya, M. (1989) Biological activities caused by far-infrared radiation. Int. J. Biometeorol. 33, 145-150 

  16. Masushits, K. 1988. Evaluation of the state of water by NMR spectrometry, FIR Joho 5, 6-10 

  17. Niwa, Y. and Miyachi, Y. (1986) Antioxidant action of natural health products and chinese herbs. Inflammation 10, 79-91 

  18. Lee, S. C., Kim, J. H., Jeong, S. M. and Kim, D. R. (2003)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s. J. Agric. Food Chem. 51, 4400-4403 

  19. Jeong, S. M., Kim, S. Y., Kim, D. R., Jo, S. C., Nam, K. C., Ahn, D. U. and Lee, S. C. (2004)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eels. J. Agric. Food Chem. 52, 3389-3393 

  20. Jeong, S. M., Kim, S. Y., Park, H. R. and Lee, S. 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21.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 307-315 

  22. SAS Institute. (199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 1199-1200 

  24. Larson, R. 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25. Manthey, J. A. and Grohmann, K. (2001) Phenolics in citrus peel byproducts. Concentrations of hydroxycinnamates and polymethoxylated flavones in citrus peel molasses. J. Agric. Food Chem. 49, 3268-3273 

  26. Her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27. Jeong, S. M., Kim, S. Y., Kim, D. R., Nam, K. C., Ahn, D. U. and Lee, S. C. (2004) Effect of seed roasting condition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efatted sesame meal extracts. J. Food Sci. 69, 377-381 

  28. Meir, S., Kanner, J., Akiri, B. and Philosoph-Hadas, S.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reducing compounds in oxidative defense systems of vari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1813-1819 

  29. Diplock, A. 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 Res. 27, 511-5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