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탕을 원료로 제조된 프락토올리고당 액상 제품에서 프락토올리고당의 가수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Hydrolysis of Fructooligosaccharides in Fructooligosaccharides Liquid Mixture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9 no.1, 2006년, pp.86 - 89  

인만진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청 (순천제일대학 식품영양과) ,  채희정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탕을 원료로 제조한 액상 프락토올리고당 제품의 품질 유지기간을 향상시키기위하여 pH, 고형분 농도, 과당 농도가 프락토올리고당(FOS)의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효소 반응액의 pH 6.0 이상과 최종 제품의 고형분 농도 80%에서 FOS의 잔존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과당 농도가 증가할수록 FOS의 잔존율은 감소하였다. 효소 반응액의 pH 6.0, 고형분 농도 80%, 과당 농도 1.1%의 시료를 $60^{\circ}C$에 16 일간 보관한 결과 FOS의 잔존율은 95%로 높게 유지되었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소 반응으로 50%(w/w) 설탕 용액에서 설탕의 55% 이상이 FOS로 전환된 효소 반응액을 고형분 농도 75%(w/ w) 이상으로 농축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농축하기 직전의 효소 반응액의 pH가 FOS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응액의 pH를 5.
  • 본 연구에서는 설탕을 원료로 제조한 저순도 FOS 액상 제품의 저장과 유통 과정에서 FOS의 분해를 최소화하여 액상 제품의 품질 유지기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순도 액상 제품에서 FOS의 분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FOS의 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안정성 조사. 제품의 고형분 농도, pH 및 최종 제품에서 과당 농도 등이 FOS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효소 반응액을 70에서 진공 농축하여 제조한 FOS 액상 제품 200 g을 FOS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유리병에 넣은 후 완전히 밀봉하지 않고 60℃ incubator0!] 보관하면서 경시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FOS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piegel, J. E., Rose, R., Karabell P., Frankos, V. H., and Schmitt, D. F. (1994) Safety and benefits of fructooligosaccharides as food ingredients. Food Technol. 48, 85-89 

  2. Yun, J. W. (1996) Fructooligosaccharides-Occurrenc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Enzyme Microb. Technol. 19, 107-117 

  3. Tomomatsu, H. (1994) Health effects of oligosaccharides. Food Technol. 48, 61-65 

  4. Kaplan, H. and Hutkins, R. W. (2000) Ferment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by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6, 2682-2784 

  5. Park, M. K., In, M. -J. and Jung, Y. C. (2002)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chlorella powder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60-764 

  6. Bornet, F. R. J., Brouns, F., Tashiro, Y. and Duvillier, V. (2002) Nutritional aspects of short-chain fructooligosaccharides: natural occurrence, chemistry, physiology and health implications. Digest. Liver Dis. 34 (Suppl. 2), s111-s120 

  7. Hidaka, H., Hirayama, M. and Sumi, N. (1988) A fructooligosaccharide-producing enzyme from Aspergillus niger ATCC 20611. Agric. Biol. Chem. 52, 1181-1187 

  8. Yun, J. W. and Song, S. K. (1996) Continuous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using fructosyltransferase immobilized on ion exchange resin. Biotechnol. Bioprocess Eng. 1, 18-21 

  9. Sheu, D. -C., Duan, K. -J., Cheng, C. -Y., Bi, J. -L. and Chen, J. -Y. (2002) Continuous production of high-content fructooligosaccharides by a complex cell system. Biotechnol. Prog. 18, 1282-1286 

  10. Katapodis, P., Kalogeris, E., Kekos, D., Macris, B. J. and Christakopoulos, P. (2004) Biosynthesis of fructo-oligosaccharides by Sporotrichum thermophile during submerged batch cultivation in high sucrose media.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378-382 

  11. Kweon, H. K. and Yook, C. (199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its application to foods. Bioindustry News 7(2), 26-30 

  12. L'Homme, C., Arbelot, M., Puigserver, A. and Biagini, A. (2003) Kinetics of hydrolysis of fructooligosaccharides in mineral-buffered aqueous solutions: Influence of pH and temperature. J. Agric. Food Chem. 51, 224-228 

  13. Kim, M. -H., In, M. -J., Coo, H. J. and Yoo, Y. J. (1996) An empirical rate equation for the fructooligosaccharide-producing reaction catalyzed by ${\alpha}$ -fructofuranosidase. J. Ferment. Bioeng. 82, 458-463 

  14. Blecker, C., Fougnies, C., van Herck, J. -C., Chevalier, J. -P. and Paquot, M. (2002) Kinetic study of the acid hydrolysis of various oligofructose sample. J. Agric. Food Chem. 50, 1602-1607 

  15. Heyraud, A., Rinaudo, M. and Taravel, F. (198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ligosaccharides containing D-fructose from juices of Jerusalem artichoke. Kinetic constants for acid hydrolysis. Carbohydr. Res. 128, 311-320 

  16. Jung, K. H., Yun, J. W., Kang, K. R., Lim, J. Y. and Lee, J. H. (1989) Mathematical model for enzymatic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from sucrose. Enzyme Microb. Technol. 11, 491-4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