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5, 2006년, pp.640 - 648  

고정군 (제주도 한라산연구소) ,  송관필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문명옥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지은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이은주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황석인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정진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김찬수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 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 구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 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8%)의 순이었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otal of 254 taxa including 47 families, 161 genera, 248 species and 6 varieties. By the growth habits, annuals held the most percentage inclu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외래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생태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해 외래식물의 위해성 구명과 함께 생태계 관리방법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ang, B.H. and S.I. Shim. 2002. Research reports: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2: 207-226 (in Korean) 

  2. Kim, C.-S., Y.J. Kang, M.O. Moon, G.P. Song, S.H. Cheong, J,K. Oh and W.B. Kim. 2006a. The lists of animals and plants of Mt. Hallasan. Jeju-do Prov. & Hallasan Ecology and Culture Institute, Jeju (in Korean) 

  3. Kim, C-S., G.P. Song, M.O. Moon, E.J. Lee and C.H. Kim. 2006b.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Papaver setigerum DC. (Papaveraceae) and Veronica serpyllifolia L. (Scrophulariaceae). Kor. J. Plant Taxon. 36(2): 147-153 (in Korean) 

  4. Kim, M.H. 1985. Flora of vascular plant in Cheju-do.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Hallasan (Mountain) natural preserve, pp. 246-298 (in Korean) 

  5. Lee, D.B. 1957. Flora of Cheju Island. Theses Coll. Korea Univ. (Coll. Lib. & Arts) 2: 339-412 (in Korean) 

  6.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7.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ic Press, Seoul (in Korean) 

  8. Lim, D.O., Y.M. Ryu and I.C. Hwang.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 J. Environ. & Ecol. 18(3): 288-296 (in Korean) 

  9. Makino, T. 2000. Newly Revised makino's illustrated flora of Japan. The Hokuryukan Co., Tokyo (in Japanese) 

  10. Nakai, T. 1914. Flora of Quelpaert and Wando Island. Govern. Chosen, Seoul (in Japanese) 

  11. Park, M.K., K.C. Oh, B.K. Park, Y.N. Lee, E.C. Lee and C.S. Yook. 1964. Plants of Hallasan mounta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Hanlasan and Is. Hongdo, pp. 59-153 (in Korean) 

  12. Park, S,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oon. 2002. Distribution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16 (in Korean) 

  13.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lchogak, Seoul (in Korean) 

  14. Park, S.H., J.H. Kil and Y.H. Yang. 2003. Unrecorded an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18). Kor. J. Plant Taxon. 33(1): 79-90 (in Korean) 

  15. Park. S.H. 1992.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1). Kor. J. Plant Taxon. 22(1): 59-68 (in Korean) 

  16. Park. S.H. 1993.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2). Kor. J. Plant Taxon. 23(1): 27-33 (in Korean) 

  17. Park. S.H. 1997.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10). Kor. J. Plant Taxon. 27(3): 369-377 (in Korean) 

  18. Pimentel, D., Lach, L., Zuniga R. and Morrison, D. 2000. The economics of biological invasions. Elgar, Cheltenham 

  19. Pysek, P. 1995. Plant Invasions: General Aspects and Special Problems (Pysek, P.et al. (eds.). Academic Pub., Amsterdam 

  20. Randal, J. 1999.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perspective on invasive species management. Paper presented at the GISP workshop on Management and Early Warning Systems, Kuala Lumpur, Malaysia, 22-27 March 1999 

  21. Raunkia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22. Sherly G. 2000. Invasive species in the pacific: a technical review and draft regional strategy. South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SPREP), Samoa 

  23. Shimizu, T. 2003.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in Japanese) 

  24. Sun, B.Y. C.H. Kim and T.J. Kim. 1992. Naturalized weed and new location of plant to Korean flora. Kor. J. Plant Taxon. 22(3): 235-240 (in Korean) 

  25. Tokarska-Guzik, B. 2001. Plant invasions: species ecology and ecosystem management (Brunda, G. et al. (eds.)), Backhuys Pub., Leiden 

  26. Yang, Y.H., S.H. Park and M.H. Kim. 2001a. Flora of naturalized plants of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14(3): 277-285 (in Korean) 

  27. Yang, Y.H., S.H. Park and M.H. Kim. 2001b.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Jeju (1). Korean J. Plant Res. 14(3): 247-250 (in Korean) 

  28. Yang, Y.H., S.H. Park, K.H. Kil and M.H. Kim. 2002.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Jeju (2). Korean J. Plant. Res. 15(1): 81-88 (in Korean) 

  29.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our. Bot. 23(3-4): 69-83 (in Korean) 

  30. Zerbe, S., I.K. Choi and I. Kowarik. 2004. Characteristics and habitats of non-native plant species in the city of Chonju, souther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 9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