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한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울산시민을 대상으로-
A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s in the Ulsan Area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2 no.3 = no.93, 2006년, pp.346 - 354  

최수근 (영남대학교 외식산업) ,  하미옥 (영남대학교 외식산업)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과) ,  변광인 (영남대학교 외식산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ther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marketing direction by investigating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the quality,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s in the Ulsan area. A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500 citize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울산 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만족수준을 파악하여 향후 울산지역의 향토음식의 개발과 관광 상품화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올바른 향토음식문화 재정립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울산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만족수준을 파악하여 향후 울산지역의 향토음식의 개발과 관광 상품화에 보탬이 되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HJ, Yang IS, Chung LN,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19(4); 392-398 

  2. Choi SK, Lee YJ, Park SS. 2004. A verification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recognition of native cuisine - with respect to Hadong-Gun area, Kyungsangnarn-Do . Korean J. Food Culture 19(3): 285-294 

  3. Jang DJ, Kim SA, Kim SH, Lee KK, Lee HJ.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6): 800-812 

  4. Jin YH, Kim SH, Kim JY. 2001.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tourism resource . J. Culture & Tourism 3(2):49-83 

  5. Kang YW. 1999. A verification study on menu satisfaction of hotel restaurant customers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Thesis 

  6. Kim KH, Cho MS. 2002. A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traditional food development in Jeju. Korean J Tourism & Culture 4(1): 115-138 

  7. Kim KY, Lee SH. 2000. A study on the menu composition factors for management activation of hotel & restaurant.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3(1):5-21 

  8. Kim SC. 2000.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commercial scale in regional festive events. Korean J. Culinary Research 6(3): 193-223 

  9. Kwon SJ, Lee JH. 2004.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of the northern part of Gyongsang-Bukdo and their commercialization. Tourism Research 19: 49-60 

  10. Lee AJ, Park DH, Park JW. 2003.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ng intention and oral transmitting intention.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2(1):191-213 

  11. Lee HJ. 2004. Korean food culture. ShinKwang Publishing Company 

  12. Lee SH, Park YB. 2002.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Korean J. Culinary Research 8(3): 147-168 

  13. Lee YJ. 2005.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PA) of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beverag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5): 693-702 

  14. Lee YJ, Choi SK.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native foods in Gyeongju area.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7(1): 157-174 

  15.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0(2): 283-291 

  16. Martilla, JA,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nal of Marketing, 41(1): 13-17 

  17. Sa SO. 2005. Die globalisierung des lokalfestes: Oktoberfest in Munchen. Korean J. Kafka Research, 12: 91-110 

  18. Shin AS. 2000. A Research of traditional & native local foods in Busan. Korean J. Culinary Research 6(2): 67-78 

  19. Son YJ. 2005. A study on the need of development for tourism merchandising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Tourism Research 21:211-226 

  20. Yang IS, Chang HJ, Shin SY, Chung LN. 2004. Inbound tourism product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7(3):87-116 

  21. Yoon SS. 1987.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food. ShinKwang Publishing Company 

  22. Ulsan City. 2001. Taste and flavor of Ulsan 

  23. Ulsan Agriculture Technic Center. 2001. Local food of Ul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