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6, 2006년, pp.950 - 958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이가언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덕 (대구보건대학 간호과) ,  김영희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현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손수경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이우숙 (한라대학 간호과)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정복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Method: The developmental process was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development of secondary items, verific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 한의사 결정을 할 때 비판적으로 사고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측정하는 비판적 사고성향 척도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척도의 양호도 검증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2004년 10월 1일부터 15일까지 5개 시에 소재하는 8개 4년제 간호학과의 전학년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그 대학에 재직하는 연구자가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ams, M. H., Whitlow, J. F., Stover, L. M., & Johnson, K. W. (1996). Critical thinking as an educational outcome; an evaluation of current tools of measurement. Nurs Educ, 21(3), 23-32 

  2. Alfaro-LeFevre, R. (1995).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Philadelphia, Penn : Saunders Company 

  3. Chae, S. I. (2002).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Seoul : Hakhyunsa 

  4. Daly, W. M. (2001).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method in the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as an outcome of nursing education. J Adv Nurs, 36(1), 120-130 

  5. Ennis, R. H. (2003). An annotated list of critical thinking tests. Retrieved June 13, 2003, from the Thinking Resource Web site: http://www.criticalthinking.net/CTTestList1199.html 

  6. Eom, H. J. (2001). Methodological comparisons between principal component and common factor models : Use, misuse and abuse. Korean J Measurement Eval Physic Educ Sport Science, 3(1), 101-130 

  7. Facione, N. C., Facione, P. A., & Sanchez, C. A. (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 Nurs Edu, 33(8), 345-350 

  8. Facione, P. A. (1992). Test manual.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CCTDI). Millbrae, CA : California Academic Press 

  9. Francis, G. (2004). Introduction to SPss for Windows(4th ed.). North Sydney, NSW : Pearson Education Australia 

  10. Hwang, J. W.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Huether, S. E. (1999).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and teaching strategies. Paper presented at the 3rd Symposium of Nursing College of Keimyung University of Korea, Daegu 

  12. Jung, D. Y. (2001).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about student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3. Jung, I. S., Joo, H. O., Hwang, S. K., Seo, J. M., & Jung, Y. H. (2004). Data analysis for Nursing research. Busan : Pus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1). A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for increasing thinking ability(V). Seoul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5. Lee, H. S., & Kim, Y. (2002). Korean SPSS 10.0 guide for the beginner. Seoul : Bubmoonsa 

  16. Leppa, C. L. (1997). Standardized measures of critical thinking; Experience with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Tests. Nurs Educ, 22(5), 29-33 

  17. Martin, Chery (2002). Theory of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Sep/Oct 

  18. McPeck, J. E. (1981).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New York : St. Martin's Press 

  19. Miller, M. A. (1992). Outcomes evaluation : Measuring critical thinking. J Advce Nurs, 17, 1401-1407 

  20. Park, S. H. (1998).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critical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1. Park, Y. S. (1998). Practice of psychological assessment. Seoul : Hana Medical Company 

  22. Huether, S. E. (1999, Jul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and teaching strategies(p. 23). Paper presented at the 3rd Symposium of Nursing College of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3. Yang, S. A., & Jung, D. Y. (2004).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bout student nurse. J Korean Adult Nurs, 16(1), 156-165 

  24.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