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아동간호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imulation- Based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4, 2014년, pp.294 - 303  

김성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남현아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간호대학 3학년 학생 214명으로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Yoon (2008)이 개발한 5점 척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문제해결과정 정도는 Lee 등(2008)가 개발한 5점 척도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는 연구자가 개발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는 $3.76{\pm}0.46$ (점수범위 1-5점), 문제해결과정 정도는 $3.67{\pm}0.47$ (점수범위 1-5점)으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는 비판적 사고 성향이 평균점수(3.67점) 이상으로 높은 간호대학생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문제해결과정 정도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의 하부 영역 중 간호사정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은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는 복합적인 상황에서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간호사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은 학습자의 이러한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평가 전 단계에서 충분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현 시점에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simulation- based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based on a surve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Methods: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for 214 n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뮬레이션 실습에 이용된 SimBaby(Laerdal)라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는 영아 전신시뮬레이터로 다양한 질환의 징후 구현, 간호중재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 건강사정, 다양한 간호사례를 구현 가능하며 특히 본 연구의 시나리오에서 보여지는 경련 발작 증상을 현실감있는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방법이 학생들의 수행평가와 자가 평가에 만족도를 높인다고 한 Kolb과 Shugart(1984)의 주장에 근거하여 표준화 환자를 보호자로 포함한 시나리오를 구성함으로써 아동간호실무에 있어 보호자와의 관계 형성에 대한 선학습을 기하고자 노력하였다. 실습교육의 실행과 효과 분석을 위해 교수용 시나리오와 핵심술기 프로토콜, 표준화 환자용과 학생용 시나리오, 교수자와 표준화 환자 평가지, 학생 자가 평가지 등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은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는 복합적인 상황에서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간호사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임상수행능력 평가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간호학생이 지니고 있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와 아동간호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해봄으로써 향후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설계에 있어 시나리오 주제 및 알고리듬, 평가도구 구성과 같은 내용 측면과 그룹의 구성 및 상황 해결에 필요한 역할 담당 구획 설정과 같은 운영 측면을 고려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동간호 이론 학습과 아동간호학 실습 및 아동시뮬레이션 핵심술기 실습 과정을 모두 이수한 후, 아동간호영역 이론과 실습을 통합하여 반영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자율성을 두어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 간호대학 졸업예정자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 및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실습운영 여부를 평가하고 시나리오의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시나리오를 간호 학생들을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액 조절이 필요한 상황을 추가하여 학생들의 전체적 상황파악 여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학생 반응에 따른 표준화 환자의 반응 변화가 관찰되어 표준화 환자 교육을 보완하였다.
  • 이렇듯 아동의 성장발달에 따라 표준치가 다르고 소아환자의 안정성 측면과 함께 아동의 부모가 함께 포함되기 때문에 경험과 기술이 부족한 간호학생측면에서 다양한 실습 경험을 가지기에 제한이 많은 아동간호 영역(Shin & Shin, 2010)에서 본 연구를 적용해보고자 한다.
  • 즉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설계 시 시뮬레이션 학습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것, 시뮬레이션 학습의 목적, 주제 선정, 시나리오의 난이도 및 평가체계를 설정함에 있어 실습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과정 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방법의 체계적인 설계와 학습자 수준의 면밀한 사정은 시뮬레이션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 정도와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수행능력 평가 점수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핵심요소인 임상실습교육의 역할은? 간호교육의 핵심요소인 임상실습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실습현장으로 확대해 놓은 교육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효과적인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환시켜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Bowles, 2000).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체계와 진보된 임상 실무 상황, 타 분야 의료진들과의 의사소통 부족, 환자의 권리강화로 인한 간호학생의 수행 거부, 최첨단 의료기기와 그에 대한 설비 및 작동의 지식 부족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간호학생은 효과적인 임상실습의 기회를 제공받기 어렵다(Bowles, 2000).
임상실습교육의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체계와 진보된 임상 실무 상황, 타 분야 의료진들과의 의사소통 부족, 환자의 권리강화로 인한 간호학생의 수행 거부, 최첨단 의료기기와 그에 대한 설비 및 작동의 지식 부족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간호학생은 효과적인 임상실습의 기회를 제공받기 어렵다(Bowles, 2000). 실습 교육의 평가는 수행평가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지식, 기술, 태도가 고르게 평가되고, 실제로 적용 가능성 여부를 파악하는 수행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Yoo, Oh, & Lee, 2010). 그러나 임상실습 장소와 현장지도자의 부족으로 인해 간호학생들의 직접간호의 경험이 감소되고 충분한 수행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Ko et al.
간호학생이 효과적인 임상실습의 기회를 받기 어려운 이유는? 간호교육의 핵심요소인 임상실습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실습현장으로 확대해 놓은 교육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효과적인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환시켜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Bowles, 2000).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체계와 진보된 임상 실무 상황, 타 분야 의료진들과의 의사소통 부족, 환자의 권리강화로 인한 간호학생의 수행 거부, 최첨단 의료기기와 그에 대한 설비 및 작동의 지식 부족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간호학생은 효과적인 임상실습의 기회를 제공받기 어렵다(Bowles, 2000). 실습 교육의 평가는 수행평가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지식, 기술, 태도가 고르게 평가되고, 실제로 적용 가능성 여부를 파악하는 수행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Yoo, Oh, & 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land, A. J., Topping, A., & Wood, B. (2011). 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7), 664-670. 

  2. Bowles, K. (2000). The relationship of critical-thinking skills and the clinical judgement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9(8), 373-376. 

  3. Chaung, S. K.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8(1), 71-78. 

  4. Facione, P. A., & Facione, N. C. (1993). Test manual: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s Test.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5. Hay, A. D., Redmond, N. M., Costelloe, C., Montgomery, A. A., Fletcher, M., Hollinghurst, S., et al. (2009). Paracetamol and ibuprofen for the treatment of fever in children: The PITC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3(27), 1-163. http://dx.doi.org/10.1136/bmj.a1302 

  6. Hicks, F. D., Coke, L., & Li, S. (2009). The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performance: A Pilot Study.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40, 1-27. 

  7. Hur, H. K., Park, S., Shin, Y. H., Lim, Y. M., Kim, G., Kim, K. K., et al. (2013).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2), 228-240. 

  8. Hyland, J. R., & Hawkins, M. C. (2009). High-fidelity huma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guide for implement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4(1), 14-21. 

  9. Jeffries, P. R. (2005).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on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 96-103. 

  10. Kim, M. S., Park, C., Kim, Y. J., Min, C. H., & Oh, H. S. (2002). A Study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est (II): Construction of the Test.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1-146. 

  11. Kim, Y. H., & Jang, K. S. (2010).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245-255. 

  12. Ko, I. S., Kim, H. S., Kim, I. S., Kim, S. S., Oh, E. G., Kim, E. J., et al. (2010).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3), 371-381. 

  13. Kolb, S. E., & Shugart, E. B. (1984). Evaluation: Is simulation the answe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3(2), 84-86. 

  14. Kwon, I. S., Lee, G. E., Kim, G. D., Kim, Y. H., Park, K. M., Park, H. S., et al.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50-951. 

  15. Larew, C., Lessans, S., Spunt, D., Foster, D., & Covington, B. (2006). Innovation in clinical simulation: Application of Benner's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 car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1), 16-21. 

  16. Lee, M. S., & Hahn, S. W. (2011).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7(2), 226-234. 

  17. Lee, S. O., Eom, M. R., & Lee, J. H. (2007).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 90-94. 

  18. Lee, W. S., & Kim, M. O. (2011).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each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41(4), 433-44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33 

  19. Lee, W. S., Park, S. H., & Choi, E. Y. (2008). Development of a Korean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ory fo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4), 548-557. 

  20. Martin, C. (2000). Theory of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3(5), 243-247. 

  21. Seo, M. G. (2013). A study on class design of clinical critical thin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nurs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5), 317-341. 

  22. Shepherd, C. K., McCunnis, M., Brown, L., & Hair, M. (2010). Investigating the use of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Nursing Standard, 24(35), 42-48. 

  23. Shin, H. S., & Shin, K. K.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47-155. 

  24. Sullivan-Mann, J., Perron, C. A., & Fellner, A. N. (2009). The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scores: A quantitative study.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9(2), 111-116. http://dx.doi.org/10.1053/j.nainr.2009.03.006 

  25. Wilkinson, J. M. (2007).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4th ed.). Pearson, NJ: Prentice Hall 

  26. Yang, J. J.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0(4), 548-560. 

  27. Yang, S. H., Lee, O., Lee, W. S., Yoon, J., Park, C. S., & Lee, S. J. (2009).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5(2), 149-158. 

  28. Yoo, E. Y. (2005). Medical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3, 267-276. 

  29. Yoo, S. H., Oh. J. A., & Lee, Y. M.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I - Understand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in nursing education. Health Science, 2, 62-73. 

  30. Yoon, J.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4(2), 159-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