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Evalua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2, 2014년, pp.129 - 138  

유소영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초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velop a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construct concepts were drawn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hospital nurs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students (n=607) from nursing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CTST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신뢰받는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로 간호 분야에서도 많이 이용되어 왔다. CCTST와 본 도구 모두 델파이리포트를 토대로 개발된 것이므로 두 도구의 형태, 영역과 하위요인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CCTST는 델파이보고서에서 제시한 비판적 사고력의 6가지 영역 중 분석, 추론, 평가를 중심으로 제작된 34문항의 사지선다형 또는 오지 선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 2% 정도를 차지하며[12], 졸업간호사는 그 이상의 비율이 임상 분야에 취업하므로 임상 환경에서 요구하는 졸업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력은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졸업간호사의 대다수가 취업하는 병원 임상에 한정하여 비판적 사고의 인지적 측면인 비판적 사고기술(비판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2004년도에 비판적 사고 성향을 평가하는 도구[13]가 개발된 이래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가 교육평가 연구에 유용한 도구로 평가되고 있고[14,15] 향후 비판적 사고 기술 평가도구가 개발된다면 간호학부 교육프로그램 평가 연구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고찰과 면담을 통해 도구의 개념 틀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포괄적인 간호실무 상황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30문항의 사지선다형 도구를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에서 내적 일관성 신뢰도 계수인 KR 20 계수는 .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비판적 사고 증진을 위한 간호학부 교육프로그램 평가에 기여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예비 조사는 도구의 특성 규명과 보완할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2년 9월 13일부터 9월 20일까지 1주간 이루어졌다. 본 조사는 2012년 10월 15일부터 11월 23일까지 5주간 이루어졌으며, 예비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보완된 문항들을 확정하고 확정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조사 방법은 연구자가 사전에 약속된 시간에 대학 강의실을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직접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여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조용한 강의실에서 실시하였다.
  • 그 중 20개 간호대학이 설문 조사를 승인하였으며 자료 조사가 가능한 시기를 조율하여 예비 조사 또는 본 조사에 포함되도록 계획하였다. 예비 조사는 도구의 특성 규명과 보완할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2년 9월 13일부터 9월 20일까지 1주간 이루어졌다. 본 조사는 2012년 10월 15일부터 11월 23일까지 5주간 이루어졌으며, 예비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보완된 문항들을 확정하고 확정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조사 자료는 비례 할당법에 의해 표본을 수집한 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왜도, 첨도를 포함하여 표본의 분포가 정규분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므로 정규성을 가정하여 원점수를 T점수로 환산하여 규준을 제시하였다. T점수 환산 공식은 “Z=(원점수-평균)/표준편차”와 “T=10Z+50”을 이용하였고 개발된 도구의 점수대에 따라 높은 점수의 순서대로 ‘매우우수’, ‘우수’, ‘보통’, ‘조금부족’, ‘매우부족’의 5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의 제작에 앞서 도구의 개념 틀을 도출한 과정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의 제작에 앞서 도구의 개념 틀을 도출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철학 분야의 대표적 비판적 사고 이론가들[16-18]의 이론과 미국철학협회의 델파이보고서[2]에 나타난 개념, 그리고 국내외 표준화된 비판적 사고력 평가 도구들[3,5,6]을 검토하였다. 또한, RISS와 PUBMED, CINAHL 검색엔진을 통해 “간호”와 “비판적 사고능력”을 주요어로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검색된 국내 문헌은 41편으로 학위논문 24편과 학술논문 17편이었고, 국외 논문은 1980년부터 2012년까지 발표된 문헌 246편이 검색되었다. 이 중 본 연구와 관련성이 뚜렷하고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81편을 선별하여 참고하였는데 학위논문이 7편, 학술논문 74편이었다. 또한, hand searching을 통해 추가된 문헌이 10편이었다. 문헌고찰 결과 간호의 비판적 사고 합의문[19], 25가지 비판적 사고 핵심능력[20], 17가지 임상적 추론기술[21]이 간호 분야의 비판적 사고력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델파이 보고서[2]의 해석, 분석, 추론, 평가, 설명, 자기규제의 각 항목을 중심으로 간호 분야의 문헌고찰 결과 각 영역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최대한 도출하고 간호학에서 독특하게 제시되는 비판적 사고 항목들을 추가하여 4개의 비판적 사고력 영역(분석, 추론, 평가와 통합적 사고)과 36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간호사에게 비판적 사고란? 비판적 사고는 간호사가 실무 환경 안에서 사상, 가정, 원리, 신념, 행위를 검증하는데 사용하는 목적적이고 반성적인 추론과정으로[1] 참여 교육과 성찰적인 사고의 기회가 병행되는 경험이 토대를 이룬다. 비판적 사고는 1983년 미국 정부의 공교육 교육 개혁 이후 간호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중요 화두가 되어 왔고, 국내 간호계에서는 1990년대부터 관심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비판적 사고는 국내 간호계에서 언제부터 관심이 증가하였는가? 비판적 사고는 간호사가 실무 환경 안에서 사상, 가정, 원리, 신념, 행위를 검증하는데 사용하는 목적적이고 반성적인 추론과정으로[1] 참여 교육과 성찰적인 사고의 기회가 병행되는 경험이 토대를 이룬다. 비판적 사고는 1983년 미국 정부의 공교육 교육 개혁 이후 간호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중요 화두가 되어 왔고, 국내 간호계에서는 1990년대부터 관심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비판적 사고는 크게 비판적 사고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며[2] 이 중 비판적 사고기술은 분석, 추론, 평가의 세 영역이 기본틀을 이룬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unt BA. Models, measurement, and strategies in developing criticalthinking skill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05;36 (6):255-262. 

  2. Facione PA.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Executive summary, the Delphi report.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0. 

  3. Kim MS, Park C, Kim KS. A study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est (I): Development of pilot test items.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1 December. Report No.: RRE 2001-6. 

  4. Park JH. Study of abilities required to develop for student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1):74-8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1.74 

  5. Facione PA.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s test: College level technical report 1: Experimental validation and content validity.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0. Report No.: ERIC Document ED 327-549. 

  6. Watson G, Glaser E. 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 Cleveland, OH: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1980. 

  7. Giddens J, Gloeckner GW. The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to performance on the NCLEX-R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5; 44(2):85-89. 

  8. Leppa CJ. Standardized measures of critical thinking. Experience with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tests. Nurse Educator. 1997;22(5):29-33. 

  9. Saucier BL, Stevens KR, Williams GB. Critical thinking outcomes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versus written nursing process. Nursing and Health Care Perspectives. 2000;21(5):240-246. 

  10. Shin KR, Ha JY, Kim KH. A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2):382-389. 

  11. Thompson C, Rebeschi LM. Critical thinking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t program entry and exit. Nursing and Health Care Perspectives. 1999;20(5):248-252. 

  12. Lee YK, Kang JA. The demand and supply of regostered hospital nurs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2008. 

  13. Yoon 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4. 

  14. Son YJ, Song YA.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 (1):43-52.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43 

  15. Yang SH, Lee O, Lee WS, Yoon J, Park CS, Lee SJ.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s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15(2):149-158.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2.149 

  16. Ennis RH. A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Harvard Educational Review. 1962;32(1):81-111. 

  17. McPeck JE.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1981. 

  18. Paul RW. Dialogical thinking: Critical thought essential to the acquisition of rational knowledge and passions. In: Baron JB, Sternberg RJ, editors. Teaching thinking skills: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NY: W. H. Freeman; 1987. p. 127-148. 

  19. Scheffer BK, Rubenfeld MG. A consensus statement on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0;39(8):352-359. 

  20.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Aronson S, Donohue M. Assessing individual frontline nurse critical thinking.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41(4):168-171.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118528 

  21. Alfaro-LeFevre R.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A practical approach. 2nd ed. Philadelphia, PA: W.B. Saunders; 1999. 

  22. Lee EO, Gu MO, Kwon IG, Kim KS, Kim IJ, Kim JI, et al. Research evaluation & utilization. Seoul: Koonja; 2007. 

  23. Morrison S, Nibert A, Fliack J. Critical thinking and test item writing. 2nd ed. Houston, TX: Health Education Systems, Inc.; 2006. 

  24. Seong TJ. Modern educational evaluation. 3rd ed. Seoul: Hakjisa Publisher; 2010. 

  25. Lee JK. SA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Seoul: Hakjisa Publisher; 2001. 

  26. Kim DH, Lee Y, Hwang MS, Park JH, Kim HS, Cha HG.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3):499-509.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99 

  27. Ham Y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8. Park DS. Technology for test-item writing. Seoul: Kyoyook book; 2000. 

  29. Facione PA, Facione NC, Blohm SW, Giancarlo CA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s test (CCTS): Test manual 2002 updated edition.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2002. 

  30. Kim MS. Factor construct and other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KICE critical thinking test as a complex higher-order thinking tes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7;21(3):513-5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