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공적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Needs f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5 no.5 = no.58, 2006년, pp.157 - 166  

윤지혜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  김정곤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t appears several counterproposals about desirable figures of urban architecture. All of them proposes 'publicity' with cohernt tendency. The reason why it concentrates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without united design by urban plannar is that neglect quality values of city. As a sol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공적공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무소 건축물을 중심으로 현재 조성되어 이용되고 있는 내부 공공공간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실내공적공간의 법적 제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그러한 공간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공공성을 구현하고 있는지 공공성에 관련된 요소를 도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사무소 건축물의 저층부 공간과 지하공간의 공공성 대한 연구이다. 현재 서울 도심지에 위치한 사무소 건축물들의 공적공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여러 다양한 공공성들의 요소들 중에서 접근성 (Approach)과 개방성(Openess), 쾌적성(Ameuity)에 관련된 요소들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공개공지의 도입타당성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 현실에서의 필요성과 사무소 건축물의 내부공간 사례조사를 통해 그 계획특성들에 대해 고찰하고 공공성 구현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이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조성되고 이용되기 위해서는 건축주와 이용자 모두의 공감이 가능한 형평성있는 제도의 도입이 선행되어야 한다.
  • 서울 도심의 사무소 건축물의 공공성에 대한 항목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평가하여야 하는지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설정하였다. 공공성 있는 도시건축공간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 일반적인 내용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세용, 해외대도시의 공개공지제도 운영사례조사 및 시사점, 서울시정 개발연구원, 2005. 7 

  2. 김진애, 서울성, (주)서울포럼 

  3. 남광우.이응백.이을환 감수, 한국어 대사전, 현문사, 1980년도 수정판 

  4. 양윤재, 도시건축 대지 내 공지와 조경, 도시문제, 1985. 5 

  5. 윤정섭, 도시계획사 개론, 문운당, 1990 

  6. 전홍규 역, 토토로의 숲을 찾다, 도서출판 이후, 2000 

  7.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대형 고층건물의 건축계획, 구조, 설비 및 시공 기술개발, 2001. 1.1 

  8. 국토개발연구원, 도시설계 I, 1985 

  9. 관서정보센터편, 장준효역, 세계도시재개발 NOW, 1990 

  10. F. Stuart Chapin, Urban Land Use Planning, Univ. of Illinois Press, Chicago, 1970 

  11. 日本建築 ヒソタ-, 建築基準法に基づく總合設計制度, 1996. 7 

  12. 川村聖治, 半公共空間としての公開空地, 都市小空間-ポケットバク 

  13. 김선미, 대지 내 공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6 

  14. 이광석, 도시공간에서의 실내공개공지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 대 석사논문, 2003 

  15. 이승우, 건축법에 의해 조성된 공개공지의 활용가능성 검토, 서울대 석사논문, 1998 

  16. 이은비, 도시건축공간을 통한 도시건축 공공성 확보방안, 서울대 환경 대학원 석사논문, 1998 

  17. 전병혜, 서울도심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2001 

  18. 정석, 건축외부공간의 공공성 분석을 통한 협력형 도시공간설계 접근 방안, 서울대 박사논문, 1994 

  19. 하삼진.박춘근, 고층사무소 내외부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학술발표논문집 19권 1호, 1994. 4 

  20. 김진애, 건축의 여섯 가지 도시해석, 건축문화, 9201 

  21. 양윤재, 건축과 도시, 건축문화, 84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