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적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5세 유아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는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경력 및 연령과,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연령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은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적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5세 유아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는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경력 및 연령과,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연령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은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s, and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to educate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5 teachers at 48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Jeonl...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s, and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to educate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5 teachers at 48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Jeonlabukdo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factor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ypes of childcare institution. Seco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s' experiences. General teaching efficacy,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factor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s' age. Third, factor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rsonal teaching efficacy. Lastly,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s, and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to educate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5 teachers at 48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Jeonlabukdo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factor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ypes of childcare institution. Seco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s' experiences. General teaching efficacy,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factor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s' age. Third, factor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rsonal teaching efficacy. Lastly,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질적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48곳에 재직 중인 교사 20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만 3세 이상~만 5세 이하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질문지로 직접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6월 13일부터 17일까지 어린이집 48곳의 만 3세 이상~만 5세 이하의 유아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에게 질문지로 직접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5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48곳에 재직 중인 교사 20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만 3세 이상~만 5세 이하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질문지로 직접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6월 13일부터 17일까지 어린이집 48곳의 만 3세 이상~만 5세 이하의 유아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에게 질문지로 직접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5부를 회수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어린이집의 3세 이상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대상의 확대 개념으로 유치원 교사와 영아교사를 포함한 연구를 실시하여 학령전기 교육을 대표할 수 있는 모든 교사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영유아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데이터처리
5를 이용하였다. 보육교사의 근무기간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경력은 몇 년 몇 개월로 설문받은 자료를 전체 개월수로 전환하여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경력 및 연령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근무기간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경력은 몇 년 몇 개월로 설문받은 자료를 전체 개월수로 전환하여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경력 및 연령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효능감 척도로 이를 유아교사효능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수효능감 12문항, 개인적 교수효능감 13문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5점 Likert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 ‘조금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구성되었으며, 5, 7, 11, 12, 14, 16, 17, 19, 21, 22, 23, 25번 문항은 부정형 문항으로 이를 역산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여성부 보육지원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사무국에서 2005년 발행한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의 4번째 영역인 상호작용에서 문항을 추출하여 요인분석한 결과로 구성된 김현지(2005)의 도구이다. 이 도구는 8개의 주요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7문항,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8문항, ‘낮잠시간 배려’ 5문항, ‘화장실사용배려’ 5문항,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5문항,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4문항,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4문항,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4문항 등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효과
연구대상의 경향을 살펴보면, 근무기관유형은 법인 및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가 45.6%이고, 민간어린이집 교사는 54.1%이며, 경력으로는 전체 3개월부터 13년 3개월까지, 연령은 22세-46세까지 분포되었다. 학력은 전문대졸(3년제 포함)이 62.
표 1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인 및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효능감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경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연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령이 많을수록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에 의하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모든 하위영역은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중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수준은 일반적 교수효능감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낮잠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수준,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화장실 사용 배려’의 설명에 영향을 미치며,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인의 설명력은 14.
보육교사의 일반적 교수효능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경력과 연령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의 설명에 영향을 미치며,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 및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개 변인의 설명력은 27.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연령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수준의 설명에 영향을 미치며,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2개 변인의 설명력은 각각 19.
첫째, 보육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볼 때,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법인 및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효능감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육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볼 때,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는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인 및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수준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변인(경력, 연령)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볼 때,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경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경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다고 한 안상미(2002), 이금란(2004)의 연구와 유사하며, 경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다고 한 신은경(2004)의 연구,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교직경력에 가장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는 최동선(1996)의 연구와 일치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해 준다.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연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령이 많을수록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은경(2004)의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라 교수효능감의 인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명주(2003)의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라서 전체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다고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 주었다.
보육교사의 교사변인(경력, 연령)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볼 때,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모든 하위영역은 연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낮잠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가 높으며,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수준,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볼 때,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모든 하위영역은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중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수준은 일반적 교수효능감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낮잠시간 배려, 화장실 사용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수준,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수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수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수준,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경력 및 연령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설명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볼 때,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경력과 연령은 ‘식사와 간식시간 배려,’ ‘낮잠시간 배려,’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수준의 설명에,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화장실 사용 배려’의 설명에, 보육교사의 일반적 교수효능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경력과 연령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의 설명에,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연령은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수준의 설명에 영향을 미치며, 전체적으로 볼 때,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개인적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수준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후속연구
이렇듯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유아에 대한 상호작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볼 때 교사교육에 있어 교사들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또한 교사 개인의 내면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요구되며, 교사교육과정 편성시 이를 반영하여 보육교사들이 교직생활을 근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교사의 연령 및 경력차가 많은 중소도시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전라북도의 지역적 정서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 전체교사를 대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도시를 포함한 전국 각 지역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둘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알아보는데 있어 교사자신의 자기보고식으로 교사 자신이 스스로 평가해 본 결과에 근거하였다. 이는 주관적인 평가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객관적으로 평정할 수 있는 직접 관찰이나, 면접,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어린이집의 3세 이상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대상의 확대 개념으로 유치원 교사와 영아교사를 포함한 연구를 실시하여 학령전기 교육을 대표할 수 있는 모든 교사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영유아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개념인가?
평가인증지침 내용의 영역중 교사와 관련된 영역은 4영역인 상호작용이다.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보육시설에서 유아와 함께 하는 언어적, 정서적인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일상적 양육과 같은 행동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육시설의 교사는 영유아의 일상적 양육과 상호작용을 통해 영유아의 개별적 차이를 이해하게 되며, 영유아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평가인증제란?
최근 여성부에서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사무국을 두어 보육시설의 질적 제고를 위해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평가인증제는 보육서비스에 대한 교화적인 질적 관리 시스템을 마련, 부모들에게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보육시설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2005년에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범운영을 통해 보육현장의 의견수렴을 거쳐 2006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하려는 제도이며, 평가인증제 지침은 7개 영역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평가하는 제도이다. 보육시설의 질적 제고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사의 질에 관한 문제일 것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교사변인(경력, 연령)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교사효능감은 연령 및 경력을 통제한 후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는가?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