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of Nursing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316 - 324  

황민희 (우리세상어린이집) ,  유경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 효능감의 두 변인간의 관계와 함께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와 수도권의 어린이집 에서 보육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아개념검사와 교사효능감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와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개념은 인지적 자아, 정의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보육교사의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과 교사 효능감 전체 점수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전체 및 각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경우는 낮은 집단보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 교사 효능감이 더 의미있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교사 효능감의 수준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자아개념과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of nursing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concept of nursing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of nur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유아교육기관의 팽창과 더불어 보육교사의 수도 증가하였는데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 관련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가운데 주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는 어떤 능력이 요구되는가? 교사라는 직업은 본질적으로 지식, 기술, 능력 등 외적 조건뿐 아니라 교사 자신의 인간적, 도덕적, 감상적,지각적 능력의 내적 조건이 요구된다. 충분한 기술과 지식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임에는 틀림없으나 훌륭한 교사란 지적 능력과 기술만으로 부족하며 교사의 성품과 인성, 태도 및 적성, 자신감과 만족감과 같은 정서적 소명감 등의 정의적인 자아가 교사 역할에 있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는 통계적 수치는 어떠한가?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기관에 맡겨지는 영·유아의 연령이 낮아지면서 보육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되는 동시에 교육의 질에 대한 요구는 상승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통계적 수치를 살펴보면 2005년에는 989,390명이었으나 2015년에는 1,452,813명으로 약 463,000명이 증가하였고 이는 보육 시설의 증가와 함께 기관에 종사하는 교사의 수도 증가시켰다. 2005년에는 136,916명에서 2015년에는 321,067명으로 보육 교사는 10년 동안 약 180,000명으로 2.
교사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이분려[20]는 교사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자신의 활동에 있어 가치를 갖고 유아의 성취와 행동에 긍정적 기대를 갖는다고 하였다. 또한 유아의 학습에 대하여 책임감을 갖고, 유아들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교수방법을 적용하며, 의사결정 과정에 민주적인 방법을 적용하기도 한다. 한편, 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유아를 대하는데 유아가 자신의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좌절감을 쉽게 느끼며, 학습에 실패하는 경우를 두려워하고 학습에 대한 책임을 유아에게 있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of the end of December 2015, Childcare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 Lee, K. H., Goh, J. Y.,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Self-Concept in Early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7, no. 1, pp. 257-279, 2003. 

  3. Huh, K. C., The implication of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of autonom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18, pp. 67-84, 1991. 

  4. Kim, M. J., A study on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991. 

  5. Kim, M. H., Correlations of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efficacy, discipline styles and the child's adjustment, Dongduk Women's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1. 

  6. Jang, M. J.,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Ewha Womans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1. 

  7. Kang, M. R.,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Self?.Concept and Their sense of Efficacy.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005. 

  8. Park, M. H.,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s by their Self-concept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999. 

  9. Shavelson, R. J., Bolus, R., Self-concept: The interplay of theory and metho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pp. 3-17, 1982.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74.1.3 

  10. Marsh, H.W., Yeung, A. S., Longitudin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chievement: Gender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ath and English constructs,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vol. 35, no. 4, pp. 705-738, 1998. DOI: https://doi.org/10.3102/00028312035004705 

  11. Song, I. S., Exploring human self-concept. Seoul: Hakjisa, 1998. 

  12. Son, B. H., Educational Psychology. Kyungbuk: Taegu Hyosung Catholic University Press, 2000. 

  13. Trowbridge, Norma T., Self-Concept and Socio-Economic Statu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 9, no. 4, pp. 525-537, 1972. DOI: https://doi.org/10.3102/00028312009004525 

  14. Jeon, S. 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Concept of Korean Teachers, Journal of Korea University, vol. 12, no. 12, pp. 1-31, 1987. 

  15. Lew, K. H., & Kang, S. M.,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on Preschooler's Creative Environment,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0, no. 1, pp. 419-436, 2013. 

  16. Lim, Y. 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01. 

  17. Song, I. S.,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Self-concept and Teach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ocial Education Science Research, 6, pp. 3-21, 2002. 

  18.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pp. 191-215. [This is Bandura's seminal article in which he introduced the construct of self-efficacy, 1977. 

  19. Ashton, P. T.,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pp. 28-32, 1984. DOI: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20. Cho, W. P.,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stress coping behaviors by personality type, Kore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1997. 

  21. Jang, E. J., Effects of Self-en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Joo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Thesis. 1997. 

  22. Ryu, M. Y.,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u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Thesis, 2014. 

  23. Lee, K. H., & Goh, J. Y., SCI-II Self-Concept Test: Adult. Seoul: Insight, 2015. 

  24. Shin, H. Y., 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 care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Yonsei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1. 

  25. Park, H. J.,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