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스타일별 색채에 대한 이미지 분석
Image Analysis of Color in Clothes Styl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4 no.2, 2010년, pp.266 - 279  

최재란 (한국폴리텍섬유패션대학 패션마케팅과) ,  류숙희 (계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olor 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visual image created by clothe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the adjectives describing the images of clothes shows that the images of clothes are classified into 4 factors that include attraction, brightness, femininit...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강진석. (1990). 샤넬 복식에 나타난 기능주의와 클래식스타일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혜원, 고애란. (1991). 여자 한복의 인상 형성 연구-디자인의 변형과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2), 211-272. 

  3. 김문진, 임숙자. (1989). 상표이미지 선호도와 패션 광고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3(3), 197-206. 

  4. 김미영. (1989).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미지자. (1996). Texture와 Colour Coordination의 감성공학적 Technology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영인. (1989). 선호디자인 감각에 따른 의복구매자 유형과 관련된 생활양식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18, 269-281. 

  7. 김영인, 고애란, 홍희숙. (2000). 의복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4(1), 3-14. 

  8. 김현주. (1996). 의복스타일 이미지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아른하임, 루돌프. (1981).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 역 (1996). 서울: 미진사. 

  10. 류숙희, 박종희, 최재란. (2000). 4가지 무채색 의복의 형태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8), 1177-1186. 

  11. 유금화. (2001). 여성 정장의 2색 배색에 의한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은소영. (2000).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윤주. (1999). 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색채계획 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이은미. (1986). 생산직 근로여성의 자아수용성과 의복행동과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주현, 조긍호. (1995). 의상디자인 요소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제1보)-Dress 및 Pants/Blouse의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747-764. 

  16. 이현주. (1999). 노란색 이미지에 의한 복식디자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혜숙. (1997).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 여자 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한 준 실험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임원희. (2001). 한국 전통 복식의 배색이미지-조선시대 후기 복식유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장은영. (1993). 의류상품이미지에 의한 의복색채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정은영. (2001). 원피스 드레스 디자인에 관한 감성공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정인희. (1991). 의복이미지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4), 379-391. 

  22. 조현주, 이광훈, 정혜민. (2006). 쉽게 이해하는 색채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3. 주소현, 이경희. (1998).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1), 78-89. 

  24.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최윤혜, (2004). 조각보의 면구성과 색채를 응용한 의복의 감성이미지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추선형. (2000). 색채와 질감에 의한 패션 소재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황주란. (1989). 상황별 의복선택에 관한 연구: 의복스타일과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加膝雪枝. (1982). ブラウスの 衿のイメヅに反ばす形態反で色の效. 纖維製品消費科學誌, 23(4), 159-164. 

  29. 藤原康晴. (1987). 女子大學生の好きな被服のイメジと自己 ?念との關聯性. 日本家政學會誌, 38(7), 593-598. 

  30. Eckman, D. M.,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31. McJimsey, H. J., & Harriet,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Ames, Iowa: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2. Osgood, L. E., & Suci, G. J. (1955). Factor analysis of mea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ology, 50(5), 325-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