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고압 처리한 생굴의 저장 중 미생물수 및 품질 변화
Microbial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Raw Oyster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0, 2006년, pp.1449 - 1455  

박환준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좌미경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현선희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임상빈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송대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굴을 $10^{\circ}C$$22^{\circ}C/350$ MPa/15분의 조건에서 초고압 처리하여 $10^{\circ}C$ 저능 중 미생물수와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무처리한 굴의 초기 총세균수는 $1.6\times10^2\;CFU/mL$이었는데, 저장기간 동안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저장 4일에 $5.6\times10^4\;CFU/mL$이었다. 초고압 처리한 굴은 초기 총세균수가 약 $10^1\;CFU/mL$ 이었는데, 저장 7일에는 약 $10^3\;CFU/mL$ 로 저장기간 동안 세균수의 증가가 적었다. 무처리한 굴에는 초기에 젖산균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저장 2일 이후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여 저장 3일에는 $3.3\times10^3\;CFU/mL$를 시작으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4일에 $7.2\times10^4\;CFU/mL$이었다. 초고압 처리한 굴은 저장 4, 5일가지 젖산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과 이후에는 검출되기 시작하여 저장 8일에는 약 $10^2\;CFU/mL$이었다. 무처리한 굴의 초기 pH는 6.19이었는데, 저장 중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 4일에 5.83이었다. 초고압 처리한 굴은 저장 중 pH 변화가 매우 작았으며 저장 4, 8, 14일에 pH가 각각 6.07, 6.03, 5.82로 매우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무처리한 굴의 초기 휘발성 염기질소는 16.8 mg%이었는데, 저장 1일까지는 변화가 없다가 그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저장 4일에 30.1 mg%이었다. 초고압 처리한 굴의 휘발성 염기질소는 저장 중 변화가 크지 않아 저장 4일과 8일에 각각 약 20과 23 mg%로 보통 선도의 어육에 해당되는 값을 나타내었다. 초고압 처리한 굴은 무처리 굴에 비하여 Hunter $L*,\;a^*$$b^*$값이 모두 높았으며, 처리여부에 관계없이 저장 초기에 $L*,\;a^*$$b^*$값이 증가한 후 저장 2일부터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Demerit score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해동한 생굴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10^{\circ}C$에서 초고압 처리한 후 $10^{\circ}C$에서 4일 저장한 굴, 8일 저장한 굴의 순이었고, 초고압 처리를 행하지 않고 4일 저장한 생굴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w oysters were treated at $10^{\circ}C$ and $22^{\circ}C/350$ Mpa/15 min, and microbial counts and quality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of 14 days at $10^{\circ}C$. Total viable cell count (TVCC) in untreated oyster increased greatly during storage from starting 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Vibrio sppz는 고압에 비교적 민감하여 상온/250 〜350 MPa에서 1〜3분의 처리로 멸균되므로 대다수의 연구는 Vibrio spp.의 살균조건에서 굴을 초고압 처리하여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9). 한편 E.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 c泌의 초고압 멸균 조건에서 생굴을 처리하여 10°C 저장 중 미생물수와 품질 변화를 측정하여 저장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다.
  • 생굴 100 g를 멸균된 폴리프로필렌 병 에 가한 후 멸균 인공해수 50 mL을 가하여 밀봉하였다. 이 병을 압력 매체로 증류수가 들어 있는 초고압 장치 (MFP-7000, Mitsubishi, Japan)의 고압 용기 (55x5.
  • 50 mL을 가하여 밀봉하였다. 이 병을 압력 매체로 증류수가 들어 있는 초고압 장치 (MFP-7000, Mitsubishi, Japan)의 고압 용기 (55x5.1 cm) 에 가한 후 초고압 처리하였다. 굴의 초고압 처리조건은 상온(22°C)/350 MPa/15분과 10°C/350 MPa/15분이 었다.
  • 5 MPa 이었고, 감압에 걸리는 시간은 15초였다. 무처리 시료와 초고압 처리한 시료는 10°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와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 총세균과 저온세균은 표준한천 배지에서 각각 35°C와 25°C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젖산균수는 0.133%의 초산을 가하여 최종 pH를 5.5로 조정한 Rogosa SL agar 배지에서 37°C/72시간 배양한 후 집락수 30 〜300개인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측정하고 희석배수를 곱하여 단위부피당 미생물수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하였 匸卜.
  • Conway 미량확산용기 내실에 붕산흡수제 1 mL를 가하고, 외실에 포화 K2CQ3 1 mL와 시료 1 mL를 가한 후 즉시 덮개를 덮어 클립으로 고정하였다 . 미량 확산용기를 전후좌우로 기울이면서 회전하여 외실에 있는 시료와 K2CO3 포화용액이 잘 섞이도록 하였다. 이를 30°C의 배양기에서 2시간 방치한 후 0.
  • 생굴을 10°C와 22°C/350 MPa/15분의 조건에서 초고압 처리하여 10°C 저장 중 미 생물수와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무처리한 굴의 초기 총세균수는 1.

대상 데이터

  • 굴(Crassostrea gigas)은 경 남 통영 의 한산만 소재 양식장에서 채취하여 탈각한 것(체장 7.2±0.5 cm, 체중 10.5± 2.5 g)을 2004년 12월에 구입한 후 -20°C에 저장하면서 필요시 흐르는 물에서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 켰다. 상징 액을 여과지(Toyo No. 5A)로 여과한 후 2% TCA로 50 mL 정용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Conway 미량확산용기 내실에 붕산흡수제 1 mL를 가하고, 외실에 포화 K2CQ3 1 mL와 시료 1 mL를 가한 후 즉시 덮개를 덮어 클립으로 고정하였다 .
  • . 첨가물 등의 규격기준(13)에 의거하여 냄새, 굴의 색, 굴의 상태, 침수의 색, 침수의 상태에 대하여 식품생명공학과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Table 1). 3점 척도(13)를 이용하여 각 품질 특성 에 대하여 demerit point에 대하여 점수화하였는데, 낮은 점수일수록 고품질을 의미한다.

데이터처리

  • 통계처리 : 실험결과는 SAS package(14)를 이용하이 통계 처리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a=0.05에서 시행하였다.
  • The same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이론/모형

  • 굴 중의 미생물은 표준평판배양법(11)으로 총세균수, 저온 세균수, 젖산균수를 측정하였다. 총세균과 저온세균은 표준한천 배지에서 각각 35°C와 25°C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4a. Fisheries Production Statistics. Vol 12, p 34-36 

  2.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4b. Annual Report of Exports & Imports of Fishery Products. p 28-29 

  3. Linehan LG, O'Connor TP, Burnell G. 1999. Season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atty acid profile of Pacific oyster. Food Chem 64: 211-214 

  4. Hur SH, Lee HJ, Hong JH. 2002.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for retort processing in oyster porrid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70-774 

  5. Styles MF, Hoover DG, Farkas DF. 1991. Response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o high hydrostatic pressure. J Food Sci 56: 1404-1407 

  6. Berlin DL, Herson DS, Hicks DT, Hoover DG. 1999. Response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to high hydrostatic pressure. Appl Environ Microbiol 65: 2776-2780 

  7. Ohshima T, Ushio H, Koizumi C. 1993. High pressure processing of fish and fish products. Trends Food Sci Technol 4: 370-375 

  8. Lopez-Caballero ME, Perez-Mateos M, Montero P, Bonderias AJ. 2000. Oyster preservation by high-pressure treatment. J Food Protect 63: 196-201 

  9. Patterson MF. 2005. A review: microbiology of pressure-treated foods. J Appl Microbiol 98: 1400-1409 

  10. Park WJ, Jwa ML, Hyun SH, Lim S, Song DJ. 2006. High hydrostatic pressure sterilization of V. parahaemolyticus and E. coli in raw oys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35-939 

  11.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2002. Code of Food. p 630-632, 641 

  12. Yang ST, Lee EH. 1972. Freshness of fish and shrimp during cold storage. Bull Pusan Fish Coll 12: 703-712 

  13.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1984. Panel test (visual examination, sensory examination): standardized criteria on food and additives in Japan. Notification No. 370 

  14. SAS Institute Inc. 1996.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5. Carlez A, Rosec JP, Richard N, Cheftel JC. 1994. Bacterial growth during chilled storage of pressure-treated minced meat. Lebensm-Wiss Technol 27: 48-54 

  16. Smelt JPPM. 1998. Recent advances in the microbiology of high pressure processing. Trends Food Sci Technol 9: 152-158 

  17. Seyderhelm I, Boguslawski S, Michaelis G, Knorr D. 1996. Pressure induced inactivation of selected food enzymes. J Food Sci 61: 308-310 

  18. He H, Adams RM, Farkas DF, Morrissey MT. 2002. Use of high-pressure processing for oyster shucking and shelf-life extension. J Food Sci 67: 640-645 

  19. Jay JJ. 1996. Modern Food Microbiology. 5th ed. Chapman Hall, New York. p 127 

  20. Cruz-Romero M, Smiddy M, Hill C, Kerry JP, Kelly AL. 2004. Effects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oysters.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5: 161-169 

  21. Zhang JZ. 2000. The use of pH and buffer intensity to quantify the carbon cycle in the ocean. Marine Chem 70: 121-131 

  22. Park YH, Chang DS, Kim SB. 1994.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Fisheries. Hyungseul Publisher, Seoul. p 403 

  23. Ledward DA. 1998. High-pressure processing of meat and fish. In Fresh Novel Foods by High-Pressure. Autio K, ed. Proceedings of VTT Symposium 186, Technical Research Center of Finland, Espoo, Finland. p 165-175 

  24. Lee KH, Choe WK, Pyeun JH, Kim MN. 1976. Discolorization of canned boiled oyster. Bull Kor Fish Soc 9: 111-119 

  25. Nielsen J, Jessen K. 1997. New development in sensory analysis for fish and fishery products. In Seafood from Producer to Consumer Integrated Approach to Quality. Luten JB, Borresen T, Oehlenschlager J, eds. Elsevier, Amsterdam. p 537-54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