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에 미치는 LDL의 영향
The Effect of LDL on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1 no.4, 2006년, pp.213 - 217  

김종현 (전북대학교 병원 산부인과학교실) ,  김종석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류완희 (전북대학교 병원 내과학교실) ,  허현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미생물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어패류와 바닷물에 의해 간경화 같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 주로 감염되어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항생제 같은 대증적 요법 외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최근 혈중 LDL같은 지단백질 이 감염 과 염증반응에 중요한 방어작용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졌다. 따라서 LDL이 비브리오 패혈증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해 보았다.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을 배양하고, 대표적인 병태 인자인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를 추출하여 cytolysin의 용혈 활성에 혈청, 콜레스테롤 및 LD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우스에 직접 LDL를 복강 내 주입하여 혈중농도를 변화시킨 후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의 마우스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북 지역 대학 병원에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에서 생존한 환자와 사망한 환자의 콜레스테롤과 LDL를 조사하였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의 용혈 활성은 혈청, cholesterol 및 LDL에 의해 억제되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의 마우스 사망률은 LDL을 주입한 경우 40%나 사망률이 낮게 나타났다. 전북 지역 대학 병원에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입원 중인 환자 (15명)의 혈액 분석에서 정상 수준의 콜레스테롤 $(190.8{\pm}16.3)$과 혈청 지단백질 LDL $(53.3{\pm}40.7)$을 가진 환자는 모두 생존하였다 (4명). 그러나 정상보다 낮은 수치 ($35.6{\pm}13.9,\;LDL;\;59.2{\pm}15.1$, 콜레스테롤)를 보이는 환자는 사망하였다 (11명). 콜레스테롤과 LDL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의 독작용의 억제 요소로서, 비브리오 패혈증의 예후에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또한 이는 콜레스테롤과 LDL이 비브리오 패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lophilic bacterium Vibrio vulnificus is known to be a foodborne pathogen that causes septicemia in human. V. vulnificus infection is characterized by the high fatality rates and the primary attack against a person who have underlying diseases such as liver cirrhosis. However, there is no eff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제된 cytolysin의 용혈 활성에 미치는 마우스 혈청, 콜레스테롤 및 LDL의 영향을 관찰 하였다. 정제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0.
  • LDL이 비브리오 감염병의 강력한 억제자임이 in vitro 또는 in vivo 실험을 통하여 밝혀져 본 연구자는 전북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판명된 환자들의 혈액 내의 lipoprotein 및 콜레스테롤 농도를 추적 조사하였다.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입원 중인 환자 (15명)의 혈액분석에서 정상 수준의 콜레스테롤 (190.
  • 결과적으로 다음실험에서 본 연구자는 lipoprotein 이 직접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에 보호작용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in vivo model을 이용하여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에 대한 lipoprotein 의 방어작용을 관찰 하였다. 이 실험을 위하여 lipoprotein중에 콜레스테롤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을 이용하였다.
  • 10) 이러한 결과들은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LDL 이 세균감염증에 중요한 방어 인자임을 시사하여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으로부터 cytolysin을 정제하고, 사람의 혈액으로부터 LDL 등의 지질단백질을 추출하여 마우스에 주입하여 cytolysin의 용혈 활성 억제 정도와 사망률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실저비브리오 패혈증환자의 혈액의 LDL수치가 환자의 병태진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lakes, P.A., Merson, M.H., Weaver, R.E., Hollis, D.G., Heublein, P.C.: Disease caused by a marine Vibrio.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y. N. Engl. J. Med 300, 1-5 (1979) 

  2. Kreger, A.S. and Lockwood, D.: Detection of extracellular toxin(s) produced by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33, 583-590 (1981) 

  3. Gray, L.D. and Kreger, A.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cytolysin produced by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48, 62-72 (1985) 

  4. Miyoshi, S. and Shinoda, S.: Role of the protease in the permeability enhancement by Vibrio vulnificus. Microbial. Immunol. 32, 1025-1032 (1988) 

  5. Wright, A.C., Simpson, L.M. and Oliver, J.D.: Role of iron in the pathogenesis of Vibrio vulnificus infections. Infect. Immun. 34, 503-507 (1981) 

  6. Kim, HR., Rho, HW., Jeong, MH., Park, JW., Kim, JS., Park, BH., Kim, UH. and Park, SD.: Hemolytic mechanism of cytolysin produced from V. vulnificus. Life Sci. 53, 571-577 (1993) 

  7. Kim, HR., Park, SD., Park, JW., Jeong, MH., Kim, JS. and Park, BH.: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tolysin produced by Vibrio vulnificus. Kor. J. Biochem. 24, 7-12 (1992) 

  8. Park, JW., Ma, SN., Song, ES., Chae, MR., Park, BH., Rho, HW., Park, SD. and Kim, HR.: Pulmonary damage by V. vulnificus cytolysin. Infect. Immun. 64, 2873-2879 (1996) 

  9. Kim, BS. and Kim, JS.: Cholesterol induces Oligom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cytolysin specifically. Exp. Mol. Med 34, 239-242 (2002) 

  10. Canturk, N.Z., Canturk, Z., Okay, E., Yirmibesoglu, O. and Eraldemir, B.: Risk of nosocomial infections and effects of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in surgical patients. Clin. Nutr. 21, 431-436 (2002) 

  11. Kreger, A.S., Kothary, M.H. and Gray, L.D.: Cytolytic toxins of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damsela. Methods Enzymol. 165, 176-189 (1988) 

  12. Bernheimer, A.W. and Schwartz, L.L.: Isolation and composition of staphylococcal alpha toxin. J. Gen. Microbiol. 30, 455-468 (1963) 

  13. Koo, BS., Lee, DS., Yang, JY., Kang, MK., Sohn, HS. and Park, JW.: Lipoprotein lipase-mediated uptake of glycated LDL. J. Biochem. Mol. Biol. 33, 148-154 (2000) 

  14. Delgado-Rodriguez, M., Medina-Cuadros, M., Gomez-Ortega, A., Martinez-Gallego, G, Mariscal-Ortiz, M., Martinez-Gonzalez, M.A. and Sillero-Arenas, M.: Cholesterol and serum albumin levels as predictors of cross infection, death,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rch. Surg. 137, 805-812 (2002) 

  15. Parker, TS, Levine, DM, Chang, JC, Laxer, J, Coffin, CC. and Rubin, AL.: Reconstituted high-density lipoprotein neutralizes gram-negative bacterial lipopolysaccharides in human whole blood. Infect. Immun. 63, 253-258 (1995) 

  16. Netea, M.G., de Bont N, Demacker, P.N., Kullberg, B.J., Jacobs, L.E., Verver-Jansen, T.J., Stalenhoef, A.F. and Van der Meer, J.W.: Lipoprotein(a)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production by human mononuclear cells. Infect. Immun. 66, 2365-2367 (1998) 

  17. Fussle, R., Bhakdi, S., Sziegoleit, A., Tranum J.J. and Kranz, T. & Wellensiek, H.J.: On the mechanism of membrane damage by Staphylococcus aureus $\alpha$ -toxin. J. Cell Biol. 91, 83-94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