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2, 2017년, pp.163 - 169  

하태만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전두영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임현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윤연희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신미영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윤기복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 ,  김중범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다소비 식품인 수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수산물, 수족관수, 해수, 갯벌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28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V. vulnificus 28주 모두에서 vvhA 유전자가 검출되고 good identification 이상의 생화학 동정 결과를 나타내어 V. vulnificus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V. vulnificus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어 환자 발생 시 이 두 종류의 항생제가 치료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 cholerae NCCP 13589와 V. parahemolyticus NCCP 11143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2.5%와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었다. 또한 V. vulnificus 분리균주와 V. vulnificus NCCP 11135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1.25%, 2.5%,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어 V. cholerae와 V. parahemolyticus에 비해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 최소살균농도가 1.6%로 나타나 수산물 중 V. vulnificus 생육억제에 매실 추출물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산물과 관련된 비브리오균 중 패혈증을 일으키는 V. vulnificus균은 국내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환자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수산물 생식 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매실 추출물 활용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The strains tested in the study were 28 V. vulnificus isolates originated from fish, seawater, mud flat and seawater in fish restaurant. The vvhA gene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 섭취와 연관되어 가장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다소비 식품인 수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 섭취와 연관되어 가장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다소비 식품인 수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Concentration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loaded on paper disk was 50 µL/ 10 mm paper dis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산물 취급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2015년 수산물 생산액이 7조원 이상을 기록하는 등 축산물 보다 수산물을 통한 단백질 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산물의 영양학적 가치로 수산식품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1,2). 수산물은 미생물에 의한 변패가 용이하여 식중독 원인식품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주요 병원성세균으로 비브리오균이 보고1)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산물 섭취가 많고 어패류를 생식하는 식습관 상 비브리오균에 의한 감염 위험이 높게 보고3)되고 있다.
2011~2015년 기준 5년간 V. vulnificus에 의한 치사율은 어느 정도인가? vulnificus 감염은 오염된 수산물을 섭취하거나 해수에 상처가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며 발열, 오한, 복통, 설사 등의 증상과 피부 병변이 나타난다5). 질병관리본부 보고6)에 의하면 2011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 269명 중 147명(54.6%)이 사망하는 등 비브리오 패혈증은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비브리오 패혈증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ampicilin, moxalactam, cefoperazone, cefomandole 등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며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7) 되고 있다.
병원성 비브리오균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산물 섭취가 많고 어패류를 생식하는 식습관 상 비브리오균에 의한 감염 위험이 높게 보고3)되고 있다. 병원성 비브리오균에는 Vibrio parahemolyticus, Vibrio cholerae, Vibrio vulnificus 등이 대표적이며, 수산물 섭취와 관련된 사망사고의 95% 이상이 V. vulnificus와 연관된 것으로 보고4)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oon, J.H., Bae, Y.M., Oh, S.W., Lee, S.Y.: Current microbiological safety of sliced raw fish. Safe Food, 11(3), 3-9 (2016). 

  2. Mok, J.S., Shim, K.B., Cho, M.R., Lee, T.S., Kim, J.H.: Contents of heavy metals in fishes from the Korean coa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4), 517-524 (2009). 

  3. Kim, J.H., Park, J.H., Lee, T.S., Lee, H.J., Kim, S.J.: 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in the seawater of live fish tank. J. Food Hyg. Saf., 16(3), 241-246 (2001). 

  4. Hoi, L., Dalsgaard, A., Larsen, J.L., Warner, J.M., Oliver, JD.: Comparison of ribotyping an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polymerase chain reaction (RAPD-PCR) for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Appl. Environ. Microbiol., 63, 1674-1678 (1997). 

  5. Hwang, K.W, Oh, B.Y., Gong, Y.W., Lee, J.H., Go, J.M., Kim, Y.H.: Distribu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in Incheon coastal area, Korea J. Sanitation, 22(4), 55-63 (2007). 

  6. Korea Center for Diseases and Control. Disease web statistics system. Available at: https://is.cdc.go.kr/dstat/jsp/stat/stat0001.jsp (Accessed date February 15th 2017). 

  7. Kim, D.M., Hong S.J.: Vibrio vulnificus sepsis. The Korean J. Medicine. 82(6), 671-670 (2012). 

  8. Ko, S.M., Yang, J.B.: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of Prunus mume by sugar. Korean J. Food Precerv., 16(5), 759-764 (2009). 

  9. Jun, J.H., Yoon, I.K., Yun, S.K., Nam, E.Y., Kwon, J.H., Chung, K.H.: The story of small stone fruits. RDA Interrobang., 127, 1-20 (2014). 

  10. Mitsuo, M., Hirotoshi, U., Ken-ichi, I., Tomoki, Y., Yoshiharu, O., Harunari, T., Masae, T.: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motility by (+)-syringaresinol from unripe Japanese apricot, Bio. Pharm. Bull., 29(1), 17-173 (2006). 

  11. Park, W.P., Lee, S.C., Kim, S.Y., Choi, S.G., Heo, H.J., Cho, S.H.: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5(6), 878-883 (2008). 

  12. Bae, J.H., Kim, S.M., Lee, W.J., Lee, S.J.: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 713-719 (2000). 

  13. Sheo, H.J., Ko, E.Y., Lee, M.Y.: Effects of Prunus mume extract on experimentally alloxan induced diabetes in rabbits, Korean Soc. Food Nutr., 16(3), 41-47 (1987). 

  14. Sheo, H.J., Lee, M.Y., Chung, D.L.: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and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damage of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9(1) 21-26 (1990). 

  15. WU, Z.H., LOU, Y.L., LU, Y.Y., YAN, J.: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the detection of Vibrio vulnificus based on hemolysin (vvhA) coding system. Biomed. Environ. Sci., 21(4), 296-301 (2008). 

  16.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0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20-U. Wayne, PA, USA (2010). 

  17. Ko, M.S., Yang, J.B.: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5, 568-575 (2008). 

  18. Hwang, K.J., Young, I.J., Young, H.L., Kwang, J.L., Song, M.B., Ki, S.K.: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of Korea in 2001. J. Bacterilogy Virology, 33(4), 285-291 (2003). 

  19. Lee, H.A., Nam, E.S., Park, S.I.: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Nutr., 16(1), 29-34 (2003). 

  20. Lee, Y.G., Choi, Y.W., Joo, W.H.: Extraction process optimization of Poncirus trifoliata and Prunus mume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J. Life Sci., 16(4), 640-646 (2006). 

  21. Lee, A.N.: Physiochemical Evaluation for Prunus mume Products in Kwangyang area. Master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16). 

  22. Beuchat, L.R., Golden, D.A.: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42 (1989). 

  23. Freese, E., Sheu, C.W., Galliers, E.: Function of lipophilic acids as antimicrobials food additives. Nature, 241, 321-325 (1973). 

  24. Kim, B.R., Yoo, J.H., Jung, K.S., Heu, S.G, Lee, S.Y.: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acids and natural occurring antimicrobial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various origins. J. Food Hyg. Saf., 27(4), 449-455 (2012). 

  25. Ha, M.H., Park, W.P., Lee, S.C., Heo, H.J.: Inhibition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s on physicological funtion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Preserv., 14(3), 323-32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