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향 소재 개발을 위한 붉은 대게 자숙액 및 내장의 정미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Taste Compounds of Red Snow Crab Cooker Effluent and Hepatopancreas for Developing a Crab-like Flavora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9 no.4, 2006년, pp.466 - 472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우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붉은 대게 가공공정 중에 얻어지는 자숙액 및 내장의 천연 게향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정미성분을 포함한 신품학적인 특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붉은 대게 자숙액을 $40\;^{\circ}Brix$까지 농축시키면서 관능 검사 및 냄새 특성 강도를 수행한 결과 $30\;^{\circ}Brix$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붉은 대게 농축 자숙액$(30^{\circ}Brix)$과 내장의 불휘발성 유기산에서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이었다. 핵산 관련 물질은 IMP, Hx 및 GMP가 내장에서 대부분이었고, AMP, HxR, IMP 및 GMP 등이 자숙액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내장의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농축 자숙액에 비해 5.6배나 많았다. 조성면에서는 methionine, lysine, arginine, valine, histidine, alanine, hydroxy proline 및 glycine 등 8종이 자숙액 전체 아미노산의 72%를 차지하였고, 내장에서는 methyl histidine, leucine, alanine, glutamic acid, glycine, valine, threonine, taurine, isoleucine 및 serine 등 10종이 전체의 74%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천연 게향 제조를 위한 소재로서는 $30\;^{\circ}Brix$ 농도의 붉은 대게 농축 자숙액에 0.5%(w/w)의 붉은 대게 내장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materials of crab-like flavorant, taste compounds includ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red snow crab cooker effluent(RSCCE) and hepatopancreas. The $30\;^{\circ}Brix$ was a suitable condition in from 1.5 to $40\;^{\circ}Brix$ RSCCE b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붉은 대게 자숙액(제공 당시 1.5 oBrix)의 효율적 용도를 목적으로 이 중 솥에서 농축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Brix 가 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붉은 대게 가공공정 중에 얻어지는 게 자숙액 및 내장을 천연 게향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정미 성분을 포함한 식품학적인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HS, Park, CH, Choi, SG, Han, BW, Kang, KT, Shim, NH, Oh, HS, Kim, JS and Heu, MS.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paste as food processing sour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77-1081. 2005 

  2. Cha, YJ, Cadwallader, KR and Baek, HH.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snow crab cooker effluent and effluent concentrate. J. Food Sci. 58:525-530. 1993 

  3. Cha, YJ and Baek, HH. Quantitative analysis of alkylpyrazine in snow crab cooker effluents. J. Korean Soc. Food Nutr. 24:454-458. 1995 

  4. Choi, SH, Kim, YM and Hyun, SK.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boil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and its concentrated cooker effluent. J. Food Sci. Nutr. 6:87-90. 2001 

  5. No, HK and Lee, MY. Isolation of chitin from crab shell w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05-113. 1995 

  6. Chang, DS, Cho, HR, Goo, HY and Choe, WK. A development of food preservative with the waste of crab processing. Bull. Korean Fish. Soc. 22:70-78. 1989 

  7. Kim, HR, Baek, HH, Meyers, SP, Cadwallader, KR and Godber, JS. Crayfish hepatopancreatic extract improves flavor extractability from a crab processing by-product. J. Food Sci. 59:91-96. 1994 

  8. KSFSN.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Part.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ed., pp.198- 200. Hyoil Press Seoul. 2000 

  9. Lee, KH, Kim, MG, Jung, BC and Jung, WJ.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3. Taste compounds of ascidian, Halocynt hia roretzi. Bull. Korean Fish. Soc. 26:150-158. 1993 

  10. Lee, EH, Koo, JG, Ahn, CB, Cha, YJ and Oh, KS. A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in dried fish and shellfish products using HPLC. Bull. Korean Fish. Soc. 17:368-372. 1984 

  11. Cha, YJ and Cadwallader, KR. Aroma-active compounds in skipjack tuna sauce. J. Agric. Food. Chem. 46:1123-1128. 1998 

  12. Weenen, H and Van Der Ven, JGM. The formation of strecker of aldehyde. In: Aroma Active Compounds in Foods, Chemistry and Sensory Properties. Takeoka, GR, Guntert, M and Engel, KH (eds), pp.183-195. ACS Symposium Series No. 794. Washington, DC. 2001 

  13. Ho, CT, Bruechert, LJ, Zhang, Y and Chiu, EM. Contribution of lipid to the formation of hetrocyclic compounds in model systems. In: Thermal Generation of Aromas. Parliment, TH, McGorrin, RJ and Ho, CT (eds), pp.105-113. ACS Symposium Series No.409. Washington, DC. 1989 

  14. Hayashi, T, Asakawa, A, Yamaguchi, K and Konosu, S.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in boiled crabs-III. Sugars, organic acids and minerals in the extracts. Bull. Japan Soc. Sci. Fish. 45:1325-1329. 1979 

  15. Park, YH, Jang, DS and Kim, SB. Sea 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pp.201-208. Hyungseul Press. Seoul. 1994 

  16. Cho, WJ, Kim, H, Jeong, EJ, Lee, YM, Kim, HJ, Lee, JS and Cha, YJ.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orean soy sauce produced by alkali treatment following acidic hydrolysis. Nutraceuticals & Food 7:427-431. 2002 

  17. Cha, YJ, Baek, HH and Hsieh, TC-Y. Volatile components in flavour concentrates from crayfish processing waste. J. Sci. Food Agric. 58:239-248. 1992 

  18. Hayashi, T, Yamaguchi, K and Konosu, S. Sensory analysis of taste-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boiled snow crab meat. J. Food Sci. 46:479-483.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