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피도박테리아의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세포 표면 소수성
Adhesion of Bifidobacteria to Caco-2 Cells and in Relation to Cell Surface Hydrophobicit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6 no.4, 2006년, pp.497 - 502  

임광세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허철성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10종의 분리균주를 포함하여 총 16종의 bifidobacteria에 대한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였다. 부착성과 세포 표면소수성 모두 균주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균종에 따른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균주 중에서 B. longum D6, B. longum H4, B. breve Ml, B. thermophilum ATCC 25525, B. suis ATCC 27533, B. animalis subsp. lactis BB12 균주가 세포 표면 소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은 B. bifidum B3, B. longum D6, B. longum H4, B. thermophilum ATCC 25525, B. suis ATCC 27533, B. animalis subsp. lactis BB12, B. longum 2 등이 우수하였다. 또한 Caco-2세포에 200개 이상이 부착되는 실험 균주는 모두 60% 이상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부착성이 우수한 균주 선발 시 분리 균주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hesion of 16 bifidobacterial strains, including 10 isolates from Korea infants, to Caco-2 cells and their cell surface hydrophobicity were tested. The results of adhesion an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for various bifidobacterial strains were obtained and correlations between adhesion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robiotics 균주의 주요한 선발기준인 세포 부착성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선발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리원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 균주의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이 균주들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연구를'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el Re, B., Sgorbati, B., and Palenzona, D. (2000) Adhesion, autoaggregation and hydrophobicity of 13 strains of Bifidobacterium longum. Lett. Appl. Microbiol. 31, 438-442 

  2. Finegold, S. M., Shutter, V. L., Sugihara, P. T., Elder, H. A, Lehmann, S. M., and Phillips, R. L. (1977) Fecal microbial flora in seventh day against populations and control subjects. Am. J. Clin. Nutr. 30, 1781-1792 

  3. Holzapfel, W. H., and Schillinger, U. (2002) Introduction to pre- and probiotics. Food Res. Int. 35, 109-116 

  4. Huis in't Veld, J. H. H., Havenaar, R., and Marteau, P. (1994) Establishing a scientific basis for probiotics R & D. Tibtech. 45, 74-83 

  5. Ishibashi, N., and Shimamura, S. (1993) Bifidobacteria: Research and development in Japan. Food Technol. 47, 126-134 

  6. Kitjavainen, P. V., Ouwehand, A C., Isolauri, E., and Salminen, S. J. (1998) The ability of probiotic bacteria to bind to human intestinal mucus. FEMS Microbiol. Letters 167, 185-189 

  7. Mitsuoka, T. (1978)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An Introductory Narrative. lwanami Shoten Publ. Tokyo. Jpn 

  8. Mitsuoka, T. (2000) Significance of dietary modulation of intestine flora and intestinal environment. Biosci. Microflora. 19, 15-25 

  9. O'Sullivan, M. G., Thorton, G., O'Sullivan, G. C., and Collins, J. K. (1992) Probiotic bacteria: Myth or reality? Trends Food Sci. Technol. 3, 309-314 

  10. Ouwehand, A. c., Kiljavanen, P. V., Shortt, c., and Salminen, S. (1999) Probiotic: mechanisms and established effects. Int. Dairy J. 9, 43-52 

  11. Perez, P. F., Minnard, Y., Disalvo, E. A., and Antoni, G. L. (1998) Surface properties of bifidobacteria strains of human origin. Appl. Environ. Microbiol. 64, 21-26 

  12. Saxelin, M., Tynkkynen, S., Mattila-Sansholm, T., and de Vos, W. M. (2005) Probiotic and other functional microbes: from markets to mechanisms. Curr. Opinion Biotechnol. 16, 204-211 

  13. Simmering, R. and Blaut, M. (2001) Pro- and prebioticsthe tasty guardian angels? Appl. Microbiol. Biotechnol. 55, 19-28 

  14. Teraguchi, S., Uehara, M., Ogasa, K., and Mitsuoka, T. (1978)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in dairy products. Jpn. J. Bact. 33, 753-761 

  15. Tuomola, E. M., and Salminen, S. J. (1988) Adhesion of some probiotic and dairy Lactobacillus strains to Caco-2 cell cultures. Int. J. Food. Microbiol. 41, 45-51 

  16. Tuomola, E., Crittenden, R., Playne, M., Isolauri, E., and Salminen, S. (2001)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probiotic bacteria. Am. J. Clin. Nutr. 73, 393S-398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