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에서 분리한 수종 세균의 농약분해력 검정 및 동정
Pesticide Degradation Activity of Several Isolates of Soil Bacteria and Their Identification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0 no.2, 2006년, pp.138 - 148  

박경훈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영기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이수헌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박병준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찬섭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최주현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엄재열 (경북대학교 농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약분해에 관여하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작지 시설하우스 토양 및 밭토양시료에서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해 생육저해를 받지 않는 12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이들을 표준사용농도 및 그 1/10의 농도가 함유된 배지 상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한 2균주, B52 및 B71을 선발하여 농약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분리균을 6종의 농약(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parathion, alachlor, pendimethalin)이 40 mg a.i. $L^{-1}$의 농도로 함유된 TSB배지에서 분해율을 조사한 바, 대조구에 비해 분리균 B52는 최고 53.2%, 분리균 B71은 25.0%의 차이를 보여 분리균이 농약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한 분해율이 높았다. 이들 3종 농약의 농도에 따른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5{\sim}40$ mg a.i. $L^{-1}$까지는 균의 생육이 왕성하였고 농약의 분해율도 높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농약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균의 생육과 분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배양일수별 분해율의 변화는 농약의 종류 및 균주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B59는 parathion을 6일간의 배양으로 거의 분해하였고 procymidone과 alachlor는 배양 21일까지 거의 비슷한 속도로 분해되었다. 배양액의 pH는 농약의 분해와는 거의 상관이 없어 pH 5 이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pH 4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했으므로 분해율 또한 매우 낮았다. 선발균은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동정장치를 이용하여, B59는 Acinetobacter sp. B71은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continuously pesticide-used soil under plastic film house and upland condition. The degradation test of several pesticides by the selected bacteria, B59 and B71, were conducted. The degradation rates for 6 pesticides, 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pa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 procymidon과 살충제 parathion 및 제초제 alachlor 에대해 분해력이 있는 토양세균을 선발하여 각종 농약의 분해효과, 분해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농약의 분해능이 높은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ill, I. R. and S. J. L. Wright (1978) Pesticide microbiology. Academic Press. pp.626-637 

  2. Holt, J. G., N. R. Krieg, P. H. A. Sneath, J. T, Staley and S. T. Williams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ed. Williama and Wilkins, Baltimore, MD 21202. p.787 

  3. Jones, J. B., A. R. Chales and G. K. Harris (1993) Evaluation of the Biolog GN microplate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some plant-pathogenic bacteria. Plant Dis. 77:553-558 

  4. Lewis, D. L., R. E. Modson and L. F. Freeman (1985) Multiphasic kinetics for transformation of methyl parathion by lavobacterium species. Appl. Environ. Microbiol. 50:553-557 

  5. Munnecke, D. M. and D. P. H. Asih (1974)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parathion and p-nitrophenol in aqueous media. Appl. Microbiol. 28:212-217 

  6. Ou, L,-T. (1984) Methyl parathion degradation and metabolism in soil : influence of high soil-water contents. Soil BioI. Biochem. 17(2):241-243 

  7. Ou, L.-T. and A. Sharma (1989) Degradation of methyl parathion by a mixed bacterial culture and a Bacillus sp. isolated from different soils. J. Agric. Food Chem. 37:1514-1518 

  8. Rosenberg, A. and N. Alexander (1979) Microbical cleavage of various organophosphorus insectides. Appl. Environ. Microbial. 37(5):886-891 

  9. Smith, A E and D. V. Phillips (1974) Degradation of Alachlor by Rhizoctonia solani. Agronomy Journal 67:347-349 

  10. Sethunatban, N. (1973) Degradation of parathion in flooded acid soils. J. Agric. Food Chem. 21(4):602-604 

  11. Sneath, P. H. A, N. S. Nair, M. E. Shape and J. G. Holt (1986)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MD 21202. p.1599 

  12. Tiedje, J. M. and M. L. Hagedorn (1975) Degradation of alachlor by a soil fungus, Chaetomium globosum. J. Agr. Food Chem. 23:77-81 

  13. Tomlin, C. D. S. (1994) The Pesticide Manual (10th).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p.1606 

  14. 後?正夫, 龍川雄一(1984a) 植物病原細菌同定을 위한 細菌學的 性質의 조사방법. 植物防疫 38(7):339-344 

  15. 後?正夫, 龍川雄一(1984b) 植物病原細菌同定을 위한 細菌學的 性質의 조사방법. 植物防疫 38(8):385-389 

  16. 後?正夫, 龍川雄一(1984c) 植物病原細菌同定을 위한 細菌學的 性質의 조사방법. 植物防疫 38(9):432-437 

  17. 後?正夫, 龍川雄一(1984d) 植物病原細菌同定을 위한 細菌學的 性質의 조사방법. 植物防疫 38(10):479-484 

  18. 국립환경연구원 (1998) 내분비장애물질이란? pp.35-37 

  19. 김찬섭. 최주현. 최용철. 정영호 (1991)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pp.192-196 

  20. 농약공업협회 (2005) 농약사용지침서. 삼정인쇄공사 p.1015 

  21. 박창규 (1993) 농약의 생화학과 사용법. 신일상사 p.697 

  22. 이재구 (1984) 제초제 Alacholr의 토양미생물에 의한 분해. 한국농화학회지 17:64-72 

  23. 정영호, 박영선 (1990) 농약학. 문선사. pp.58-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