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자생식물 열수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1 no.2, 2006년, pp.164 - 169  

문영건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최광식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이경준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기영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자생식물의 열수 추출물 10종의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검색하였다. 실험 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음건 한 후 열수 추출하여 시료화하여 어류 질병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각 식물의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 하였다. 항균 실험은 어류 질병미생물로 분류된 그람 음성균 12종과 그람 양성균 1종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두메꿀풀 꽃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풀고사리 잎과 돌잔고사리 잎, 들깨 잎, 들깨 열매 순으로 나타났으며 큰천남성 뿌리나 왕모시풀 잎, 열매에서는 눈에 띄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SOD 유사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실험하였다. 각 식물의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측정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으며 2.0%(20 mg/ml)농도에서 두메꿀풀 잎과 열매 그리고 들깨 잎과 열매, 돌잔고사리 잎은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와 높거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which, using water were extracted. The reducing activity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and $O^{2-}$ and OH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식품 원료로 사용 가능한 식물로 분류되어 있는 식물을 포함, 주변에서 흔히 자생하는 야생 잡초류의 식물에서 항산화 효과 및 어류질병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유기용매 추출 시제기되는 잔류독성 문제를(8) 피하기 위해 유기용매 추출액이 아닌 열수추출액으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B. H., B. W. Choi, J. H. Chun, and B. S. Yu (1996),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J. Kor. Ind. & Eng. Chemistry 7(6), 1066-1077 

  2. Talalay, P. and A. M. Benson (1982), Elva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by anticarcinogenic antioxidants, Advances in Enzyme Regulation 20, 287-300 

  3. Fridovich, I. (1983), Superoxide radical: An endogenous toxicant, Ann. Rev. Pharmacol. Toxicol. 23, 239-257 

  4. Dalton, D. A., L. Langeberg, and N. C. Treneman (1993), Correlations between the ascorbate-glutathione pathway and effectiveness in legume root nodules, Physiol. Plants 87, 365-370 

  5. Choe, S. Y. and K. H. Yang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in Korean), Kor.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6. Yashodhararan Kumarasamy, Philip John Cox, Marcel Jaspars, Lutfun Nahar, and SatyajitDey Sarker (2002), Screening seeds of Scottish plants for antibacterial activity. J. Ethnopharmacology 83, 73-77 

  7. Lee, Y. C., Oh, S. W., and Hong, H. D.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00-709 

  8. Eloff, J. N. (1998), Which extractant should be used for the screening and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nents from plants? J. Ethnopharmacology 60, 1-8 

  9. Young-No Lee. (2002), Flora of Korea. 4th ed.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0. Kim, T. 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I., pp11-21.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Korea 

  11. Murray P. R., Baron E. J., Pfaller M. A., Tenover F. C., and Yolke R. H.(1999),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th. ed. ASM, Washington, DC 

  1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3. Eugene E., Roth. Jr, and Harriet S. Gilbert (1983), The pyrogallol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absence in glutathione artifact, Anal. Biochem. 137, 50-53 

  14. Marklud, S. and G. Marklud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5. Kawagan, S. (1996), Protocol for control of body functional material in food, pp8-15. Kakuen press center, Japan 

  16. Trush, M. A., Mimnaugh, E. G., and Gram, T. E. (1982), Activation of pharmacologic agents to radical intermediate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free radicals in drug action and toxicity, Biochem. Pharmacol. 31, 3335-3346 

  17. Aruoma, O. I. (1994), Nutrition and health aspects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2, 671-683 

  18. Miquel, J., Quintanilha, A. T. and Weber, H. (1989), In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I p223 

  19. KoguKuchi, N. (1999), Protocol for free radical experimant, pp40-45, suiyoonsa.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