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2경간 연속 강합성보의 초기 긴장력 결정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Tendon Force in Two-span Continuous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Strengthened with External Tendons 원문보기

구조물진단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10 no.4 = no.38, 2006년, pp.145 - 154  

최동호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유동민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재동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은지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본 논문은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2경간 연속 강합성보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긴장재를 정모멘트 구간의 강주형 하부에 설치하였다. 이 방법은 정모멘트 뿐만 아니라 부모멘트도 감소시킬 수 있다. 강합성보를 긴장재로 보강함으로써 내하율 식에서 목표 내하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긴장재 개수와 초기 긴장력의 결정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방법을 실교량의 강합성보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enhance the load carrying capacity for a two-span continuous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strengthened with external tendons. The tendon is placed at the bottom of steel beam where the positive bending moment occurs. This results in the reduction of the negative be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속 강합성 교량의 내하력 향상을 위해 내하율 산정식을 이용한 외부 긴장재의 초기 긴장력과 긴장재 개수의 결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실교량에 적용하여 합리성을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논문에서는 식 (10)의 내하율 산정식을 이용하여 2경간 연속 강합성교량의 초기 긴장력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외부 긴장재로 2경간 연속보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모멘트 구간에만 긴장력을 도입하는 경우, 초기 긴장력은 정 .
  • 본 논문에서는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2경간 연속 강 합성 보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긴장력 도입에 의한 강합성보의 거동을 해석하였으며, 내하율 산정 식을 이용하여 보강 후 목표 내하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초기 긴장력과 긴장재 개수의 결정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교량에 적용하여 합리성을 보였다.

가설 설정

  • 도입 긴장력을 인장하중의 60%로 가정하면 긴장 재의 개수는 식 (20)에 의해 883.27/(0.6 x 260.68) = 5.65 이 되고, 긴장재의 개수는 5.65 이상인 짝수 6개로 정하였으며, 긴장재 한개에 도입되는 긴장력은 883.27 /6 = 147.21kN으로 이것은 인장하중의 약 56%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건설교통부, "도로교의 내하력평가 실무메뉴얼," 2002. 

  2. 박영훈, 최준혁, 박용걸, "공용중인 판형교의 강성을 고려한 외부 후 긴장 보강,"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3A호, 2004, pp. 445-453. 

  3. 백동훈, 이우현, 김기봉, "후긴장을 이용한 연속 합성 격자형교의 보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 9, No. 3, 1997, pp. 441-455. 

  4. 조두용, 박대열, 박선규, "현장실험을 통한 외부 후긴장 Steel I-Beam의 휨 거동 특성,"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Vol. 6, No. 3, 2002, pp. 151-158. 

  5. 최형규, 한경봉, 엄준식, 박선규, "연속화된 프리스트레스트 Steel H-Beam의 휨거동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3, pp. 271-276. 

  6. 한만엽, 이상욱, "외부강선 보강공법의 실보강량 분석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4년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04, pp. 4766-5771. 

  7. Klaiber, F. W., Wipf, T. J. and Fanous, F. S., "Strengthening of Two Continuous-span Steel Stringer Bridg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2(2-3), 1998, pp. 151-159. 

  8. Saadatmanesh, H, Albrecht, P. and Ayyub, B. M., "Analytical Study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5 No. 9, 1989a, pp. 2364-2381. 

  9. Saadatmanesh, H, Albrecht, P. and Ayyub, B. M., "Experimental Study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5 No. 9, 1989b, pp. 2348-2363. 

  10. Saadatmanesh, H, Albrecht, P. and Ayyub, B. M., "Guidelines for Flexural Design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5 No. 11, 1989c, pp. 2944-2961. 

  11. Tong, W. and Saadatmanesh, H., "Parametric Study of Continuous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8 No. 1, 1992, pp. 186-206. 

  12. Troitsky, M. S., Zielinski, Z. A. and Nouraeyan, A., "Pre-Tensioned and Posttensioned Composite Girder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5, No. 12, 1989, pp. 3142-3153. 

  13. Troitsky, M. S., "Prestressed Steel Bridges Theory and Design,"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USA,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