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Vocal cord paralysis(VCP) is a complex disorder which may result from numerous causes.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trend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VCP in Korean patient. Method : A total 197 patients with VCP who visited St.Mary's hospital from March, 2000 to August, 20...
Objectives : Vocal cord paralysis(VCP) is a complex disorder which may result from numerous causes.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trend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VCP in Korean patient. Method : A total 197 patients with VCP who visited St.Mary's hospital from March, 2000 to August, 2006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age, cause of VCP, position of paralyzed vocal fold, treatment methods. Results :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1.6 : 1. The unilateral paralyzed vocal fold was fixed at paramedian position in 84% of the cases. The left vocal fold was paralyzed about 2 1/2 times as much as the right vocal fold. Among the causes of VCP 30.9% of the cases were due to postoperative paralysis, and most of those were developed after lung, mediastinal surgery. laryngeal EMG was performed in 47 patients for determines the prognosis and treatment method. In the unilateral VCP, 90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jection laryngoplasty, 21 patients were performed thyroplasty type I. Conclusion : The causes of VCP include various diseases, so, detection of the primary disease is very important, because many fatal diseases are included among the primary diseases, and late detection can cause serious problems. VCP is not only a disease entity in itself, but can be seen as a sign of an underlying disease.
Objectives : Vocal cord paralysis(VCP) is a complex disorder which may result from numerous causes.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trend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VCP in Korean patient. Method : A total 197 patients with VCP who visited St.Mary's hospital from March, 2000 to August, 2006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age, cause of VCP, position of paralyzed vocal fold, treatment methods. Results :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1.6 : 1. The unilateral paralyzed vocal fold was fixed at paramedian position in 84% of the cases. The left vocal fold was paralyzed about 2 1/2 times as much as the right vocal fold. Among the causes of VCP 30.9% of the cases were due to postoperative paralysis, and most of those were developed after lung, mediastinal surgery. laryngeal EMG was performed in 47 patients for determines the prognosis and treatment method. In the unilateral VCP, 90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jection laryngoplasty, 21 patients were performed thyroplasty type I. Conclusion : The causes of VCP include various diseases, so, detection of the primary disease is very important, because many fatal diseases are included among the primary diseases, and late detection can cause serious problems. VCP is not only a disease entity in itself, but can be seen as a sign of an underlying disea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저자들은 최근 6년 동안 성대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 197 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대마비의 원인과 임상적 특성의 경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제안 방법
성대마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후두암이나 하인두암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 환자 19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성별, 연령, 증상의 이환기간, 병력, 성대마비의 원인, 마비된 성대의 위치별 및 측별분포, 치료 방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병력으로는 갑상선, 흉부 수술, 경부외상, 뇌졸중, 결핵 등의 기왕력을 파악하였고, 흉부단순촬영과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 음성검사,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환자 필요에 따라서는 식도-위조영술, 갑상선 검사, 뇌 전자기공명촬영, 후두 근전도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이 중 후두암이나 하인두암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 환자 19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성별, 연령, 증상의 이환기간, 병력, 성대마비의 원인, 마비된 성대의 위치별 및 측별분포, 치료 방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병력으로는 갑상선, 흉부 수술, 경부외상, 뇌졸중, 결핵 등의 기왕력을 파악하였고, 흉부단순촬영과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 음성검사,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환자 필요에 따라서는 식도-위조영술, 갑상선 검사, 뇌 전자기공명촬영, 후두 근전도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7%)는 성대내 주입술을, 21례(12%)는 갑상연골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호흡곤란이 주증상인 양측 성대마비 환자의 19례(82.6%)에서 후성대절제술이나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다(Table 3). 일측성 성대마비환자 중 성대내주입술을 받았던 환자 중 2명에서 합병증으로 호흡 곤란이 발생하여 후성 대절제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6%)에서 후성대절제술이나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다(Table 3). 일측성 성대마비환자 중 성대내주입술을 받았던 환자 중 2명에서 합병증으로 호흡 곤란이 발생하여 후성 대절제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그러나 식도나 종격동, 특히 대동맥-폐동맥 창 (aortopulmonary window) 부위나 기관주위병변은 흉부방사선 검사에서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특히 좌측 성대마비 환자에서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 및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하여 확인하도록 한다.D 신경학적 증상이나 인두 마비와 같은 미주신경증상(vagal symptom)이 동#자의 경우 드물지만 중추신경계나 두개저 부위에 #는지 뇌 MRI검사를 통해 확인하도록 한다.1) 본 연구에서는 총 47례에서 후두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D 신경학적 증상이나 인두 마비와 같은 미주신경증상(vagal symptom)이 동#자의 경우 드물지만 중추신경계나 두개저 부위에 #는지 뇌 MRI검사를 통해 확인하도록 한다.1) 본 연구에서는 총 47례에서 후두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후두 근전도 검사는 성대마비의 병태생리, 병변부위, 마비정도, 치료계획과 예후를 판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그러나 후두근전도 검사를 시행해봄으로써 신경손상의 정도와 잔존 신경기능을 정량화할 수 있어 객관적인 예후 지표로 사용할수 있게 되면서 적절한 치료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8)본 연구에서는 후두 근전도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대부분이 발생 시점으로부터 6개월 이상 지난 상태로 반회후두신경의 완전마비가 많아 음성수술을 원할 경우 1~2개월 이내에 성대 내주입술이나 갑상연골성형술등을 시행해 주었다.
대퇴부근막이나 측두근막 등 자가 근막도 사용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이식되었을 때 부피의 변화가 거의 없고 감염된 조직에서도 매우 안정되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 그 음성효과에 대한 결과도 많이 보고되어 있다.12)13 Calcium hydroxyapatite 와 Artecolle 영구적 성대내전 물질로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Artecoll에 의한 성대주입술을 시행하였다. 일측성 성대마비의 가장 보편적인 수술방법인 제1형 갑상연골 성형술은 1970년대에 Isshiki 등6)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현재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측성 성대마비의 가장 보편적인 수술방법인 제1형 갑상연골 성형술은 1970년대에 Isshiki 등6)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현재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용물질은 Silastic, 16) VoCom (hydroxyapatite) ,17) Titinium, 18) Gore -Tex (polytetrafluoroethylene)19) 등을 이용해서 시행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전례에서 VoCom을 사용하여 갑상연골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2000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이비인후과에 애성이나 흡인, 호흡곤란 등을 주소로 외래 방문하거나 협진 의뢰된 환자 중 후두 내시경 검사에 의해 성대마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후두암이나 하인두암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 환자 19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성별, 연령, 증상의 이환기간, 병력, 성대마비의 원인, 마비된 성대의 위치별 및 측별분포, 치료 방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5배 호발 하였다. 양측 성대마비 환자는 23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일측성 성대마비 환자 174명중 90례(51.7%)는 성대주입술을, 21례(12%)는 갑상연골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실제로 성대주입술을 시행한 경우와 갑상연골성형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치료결과 및 예후를 비교분석한 결과, 이들에 있어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한 후두폐쇄, 음성검사의 최대발성지속시간 등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알려져 있으며20)저자들의 경우에도 성대주입술의 경우반복 시행한 수가 많은 것 이외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성능/효과
1).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이 0.5%, 10대 3%, 20대 5%, 30대 12%, 40대 16%, 50대 18%, 60대 이후 44.2%의 분포를 보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대마비 이환율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진단 시 이환기간은 6개월 미만인 경우가 104례(53%), 1년 이내가 18례(9%), 1년 이상인 경우가 75례(38%) 였다.
일측성 성대마비의 위치를 분석한 결과 부정중위가 146례(8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정중위, 중간위의 순이었다 (Table 1).
197명의 환자 중 20례는 자연적으로 회복되었고, 39례에서는 추적 관찰이 되지 않았다. 일측성 성대마비 환자의 90 례(51.
3-5)미주신경에서 분지된 반회 후두신경이 우측은 우 쇄골하동맥을 돌아서 올라오며, 좌측은 대동맥궁을 돌아올라 각각 기관-식도 고랑을 따라 상행하는 특수한 주행을 보이므로 흉부 질환 확인을 위한 흉부 X선 검사와 두개저부터 시작하여 종격동까지 포함한 경부전산화단층촬영이 필수적이다.1)2)흉부 방사선 검사는 흉부 질환으로 유발된 성대마비를 확인하는 진단의 첫 번째 단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식도나 종격동, 특히 대동맥-폐동맥 창 (aortopulmonary window) 부위나 기관주위병변은 흉부방사선 검사에서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특히 좌측 성대마비 환자에서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 및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후두 근전도 검사는 성대마비의 병태생리, 병변부위, 마비정도, 치료계획과 예후를 판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보통 성대마비가 발생하였을 경우 결정적인 음성 외과적 수술 시기를 최소한 6개월 이후, 발생 9개월에서 12개월에 주로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반대 측 성대의 보상 및 자연회복, 그리고 상피열관절고정을 피할 수 있는 기간을 최대한 고려하여 제시한 것이었다.9)그러나 후두근전도 검사를 시행해봄으로써 신경손상의 정도와 잔존 신경기능을 정량화할 수 있어 객관적인 예후 지표로 사용할수 있게 되면서 적절한 치료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해 마비 성대가 내전되기 때문이다. 마비된 성대의 위치를 Tchiassny의 임상 분류 방법에 따라 양측 성대 간격이 없는 경우를 정중위, 부정중위는 3mm, 중간위는 7mm 의 간격으로 구분해 보았을 때, 현재까지 국내 보고된 성대마비의 위치별 비율은 부정중위가 가장 많았고, 2)3-5) 본 연구에서도 부정중위가 84%를 차지해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보고들과 마찬가지로 성대마비의 발생이 노년층 남자에서 그리고 좌측에서 주로 발생하며 대부분 부정중위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진단 및 수술방법의 발달에 따라 특발성 원인과 수술 후 마비가 줄어들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여전히 수술 후 성대마비의 빈도가 높게 나왔다.
내원한 모든 성대마비 환자는 후두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성대마비 부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성대마비환자가 내원하였을 경우,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뇌신경평가를 포함한 일반적인 신체검사 및 이비인후과적 후두 내시경 검사가 일차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후두 및 하인두의 원발 병소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