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대기 중 Trimethylamine (TMA)의 측정: Tedlar bag 방식의 채취와 SPME 분석법의 특성 연구
Measurements of Trimethylamine (TMA) in air by Tedlar bag sampling and SPME analysi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19 no.1, 2006년, pp.96 - 102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현성혁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임문순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methylamine(이하 TMA)은 물질특성상 시료의 채취 및 분석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TMA의 채취방법으로 황산용액 흡수법이나 황산여과지 방법을 추천하고있다. 이들 방법은 아직까지 운용상 어려움과 분석시 숙련도를 요구한다. 본문에서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Tedlar bag에 기초한 채취 및 SPME 를 이용한 분석기법의 특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Tedlar bag은 시료의 채취 및 보관과 관련한 불안정성, 분석시 재현성 등에 대해 일부 문제점들이 지적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여러 가지 기준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가지 관점에서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1) Tedlar bag에 TMA 시료를 보존할 때의 경시 변화, (2) Tedlar bag의 표면에 의한 TMA의 흡착 손실 정도, (3) SPME를 이용한 반복 분석시 파이버에 의한 시료의 흡착손실 등을 조사하였다. 최대 20일까지를 기준으로 경시 변화의 경향성을 조사한 결과, 48시간 까지 저농도에서 40~50% 정도로 시료의 감소가 일어났다. 그리고 두 가지 농도대에서 Tedlar bag 내부의 표면흡착에 의한 손실 여부를 평가한 결과, 저농도에서 약 20%, 고농도에서는 5% 이내의 손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Tedlar bag의 시료를 SPME로 반복분석한 결과, SPME fiber를 반복사용할 때 마다 백내부의 시료가 매회 2-3% 수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methylamine (TMA) is one of the difficult odorous compound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Although sulfuric acid absorption and/or sulfuric acid impregnated filter method are commonly recommended for its sampling, these methods also suffer from difficulties involved in sample treatment and 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이런 문제점이 규칙적이고 일정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Tedlar bag의 활용 가능성을 세밀하게 제시한 연구사례도 발견할 수 있다.8,9 이런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감안하여 본문에서는 TMA 시료를 Tedlar bag 방식으로 채취하고 분석하는데 따른 기본적인 오차 요인들을 분석 및 평가하고자 하였다.
  • 실험 2는 Tedlar bag들 간에 표준시료를 옮겨주는 방식으로 동일한 농도의 시료를 여러 개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들 시료의 분석을 통해, 백의 내부 표면에 의해 TMA 시료가 손실되는 경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초에 10 L Tedlar bag에 준비한 표준시료를 5, 3, 1 L로 각각 옮긴 후에 분석한 결과를 Table 3에 제시하였다.
  • 2005년 2월 악취방지법이 시행된 이후, 악취 분석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더불어 정확한 분석 자료를 확보하는데 대한 객관적인 분석방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황산용액 흡수법이나 산성여과지 채취법대신) 수월하고 빠르게 현장적용이 가능한 Tedlar bag 채취법과 SPME 분석기법에 기반을 둔 TMA 측정방법을 연구하였다. Tedlar bag을 사용할 경우, 황화합물과 같은 악취물질의 분석이 보관성, 흡착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 따라서, SPME에 의한 TMA의 다량 흡착을 감안한다면, Tedlar bag을 반복분석할 경우, 실질적인 농도의 저감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TMA 표준시료를 채운 하나의 Tedlar bag을 SPME방식으로 수차례 반복분석 하는 조건에서 Tedlar bag 내부의 TMA 농도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 실험에서 초기농도의 고저에 따른 차이를 예상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황산용액흡수법에 비해 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Tedlar bag TMA 시료 채취법의 분석오 차를 평가하고,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활용 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TMA는 Tedlar bag으로 채취/보관, 분석할 경우 여러모로 오차의 발생 소지가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TMA를 쉽고 빠르게 채취 및 분석을 할 수 있는 Tedlar bag 채취 및 SPME 분석방법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편의상 다음과 같이 3단계의 실험으로 구분하였다: (1) 실험 1-보관 시간대별로 농도변화의 추이분석, (2) 실험 2-Tedlar bag 자체의 표면접촉 등에 의한 시료의 손실비교, (3) 실험 3-SPME의 반복분석에 따른 백 내부 TMA 시료의 농도변화 경향분석 등을 주제로 설정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Tedlar bag에 TMA 시료를 보관 할때, 백내 체류시간대에 따른 TMA의 경시변화를 위한 분석은 2차례에 걸쳐 시도하였다. 설정 시간대는 Table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1차 실험은 짧은 기간(1주간 진행)으로, 6, 12, 24, 168 시간을 포함하는 총 4가지 시간대에서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Y.-C. Chien, S.-N. Uang, C-T Kuo, T-S Shih and J F Jen, Analytica Chimica Acta, 419, 73 (2000) 

  2. M. T. Veciana-Nogues, M. S. Albala-Hurtado, M. Izquierdo-Pulido and M. C. Vidal-Carou, Food Chemistry, 57(4), 569-573 (1996) 

  3. A. E. Goulas, and M. G. Kontominas, Food Chemistry 93(3), 511-520 (2005) 

  4. Y. Nagata and N. Takeuchi, Bulletin of Japan Environmental Sanitation Center, 7, 75-86 (1980) 

  5. Y. Nagata and N. Takeuchi, Bulletin of Japan Environmental Sanitation Center, 17, 77-89 (1990) 

  6. 박종호, 생활폐기물 매립장의 악취 분석 및 배출 특성 연구, 동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7. OSHA Sampling & analytical methods,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Partially Validated Method #2060(http://www.osha.gov/dts/sltc/methods/partial/pv2060/2060.html) (1993) 

  8. K.-H. Kim, Environ. Sci. & Technol., 39(17), 6765-6769 (2005) 

  9. K.-H. Kim, Y.-J. Choi, E.-C. Jeon and Y. Sunwoo, Atmospheric Environment, 39(6), 1103-1112 (2005) 

  10. A. Bene, A. Hayman, E. Reynard, J.L. Luisier and J.C. Villettaz, Sensors and Actuators B, 72, 204-207 (2001) 

  11. M. Visan and W.J. Parker, Water Research 38, 3800-380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