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자의 흡연상태에 따른 영양섭취, 혈압, 혈액 성상 및 지질패턴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 Intakes,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Profile of Korean Adult Men According to Smoking Stat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2, 2006년, pp.164 - 170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혜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승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흡연율이 높은 성인 남자에 있어 흡연상태에 따라 비흡연군(47명), 흡연군(58명), 흡연경험군(44명)으로 나눠 영양섭취와 혈압, 혈액 성상 및 지질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전체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각각 54.7세, 165.8 cm, 67.3 kg, $24.5\;kg/m^2$이었으며, 흡연 상태에 따른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평균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1740.9 kcal와 59.69 g이었으며, 흡연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엽산 섭취량은 비흡연군 $324.2{\mu}g$, 흡연군 $235.1{\mu}g$, 흡연경험군 $272.7{\mu}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비흡연군 175.6mg, 흡연군 232.5 mg, 흡연경험군 154.3 m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비흡연군 1250.0 g, 흡연군 1180.1 g, 흡연경험군 1237.5 g으로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버섯류의 섭취량은 비흡연군 1.5g, 흡연군 0.4g, 흡연경험군 4.8 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낮은 반면, 난류의 섭취량은 세 군 각각 8.3 g, 17.8 g, 4.4 g으로 흡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대상자의 적혈구수와 혈청 GOT, GPT는 각각 $4598.2\times1000/mm^2$, 27.3 U/L, 27.3 U/L이었으며 비흡연군, 흡연군, 흡연경험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백혈구수,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농도는 흡연군이 각각 $6727.7/mm^3,\;45.9\%$, 14.7g/dL로 비흡연군($4921.5/mm^3,\;43.4\%$, 13.9 g/dL)이나 흡연경험군($5845.4/mm^3,\;44.2\%$, 13.9 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대상자의 평균 혈압은 128.3/75.5 mmHg이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는 각각 180.2 mg/dL, 160.8 mg/dL, 41.5 mg/dL, 106.5 mg/dL, 3.5로 흡연상태에 따른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흡연군의 중성지질 농도는 비흡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엽산 섭취가 낮고 콜레스테롤 섭취가 높았으며, 백혈구수, 헤마토크릿과 헤모글로빈, 중성지질 함량이 높게 나타나 흡연이 일부 영양소의 섭취와 혈액성상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흡연경험자는 비흡연자와 영양소 섭취와 혈액성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흡연으로 인한 일부 영양소 섭취와 혈액성상의 변화는 금연으로 인해 비흡연 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교육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흡연으로 인한 영양섭취의 변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할 수 있는 직접적이고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흡연자의 영양 문제점과 그에 따른 식사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ent intakes,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values and lipid profile in blood according to smoking status.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Korean adult men, which included non-smoker (n=47), smoker (n=58), and ex- smoker (n=44) . Anthropometrical m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연율이 높은 성인 남자에 있어 흡연 상태에 따라 영양섭취와 혈압, 혈액성상 및 지질패턴을 비교 분석 하고 이들 간에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흡연자에 대 한 영양 및 건강증진을 위한 지도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식사섭취조사는 조사 전날 아침 기상부터 취침할 때까지 1일 동안 섭취한 식사를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중심으로 시간대별로 간식을 포함하여 섭취한 식사의 식품 또는 음식의 종류와 각각의 섭 취 량을 조사하였 匸卜. 조사 연구원은 식사에 대한 조사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한 모형과 사진을 제시해 가면서 조사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양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된 식사섭 취 조사 결과는 CAN-Pro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Yearbook of statistics. Seoul, Korea 

  2. McGill HC. 1998. The cardiovascular pathology of smoking. Am Heart J 125: 250-257 

  3. Loft S, Poulsen HE. 1996. Cancer risk and oxidative DNA damage in men. J Mol Med 74: 297-312 

  4. Brown KM, Morrice PC, Arthur JR, Duthie GG. 1996. Effects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erythrocyte antioxidant defence mechanism of smoking and non-smoking men. Clin Sci 91: 107-111 

  5. Kim JS, Kim HY, Park YK, Kim TS, Kang MH. 2003. The effects of green vegetable juice (Angelica Keiskei)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s and antioxidant status in smokers. Korean J Nutr 36: 933-941 

  6. Fogari R, Zoppi A, Lusardi P, Marasi G, Villa G, Vanasia A. 1996. Cigarette smoking and blood pressure in a worker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J Cardiovasc Risk 3: 55-59 

  7. Green MS, Jucha E, Luz Y. 1986. Blood pressure in smokers and nonsmokers: epidemiologic findings. Am Heart J 111: 932-940 

  8. Mitchell BE. 1999.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tobacco and tobacco-related products. Primary Care 26: 463-498 

  9. Nordenberg D, Yip R, Binkin NJ. 1990. The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hemoglobin levels and anemia screening. JAMA 264: 1556-1559 

  10. Smith JR, Landaw SA. 1978. Smoker's polycythemia. N Engl J Med 298: 6-10 

  11. Stonesifer LD. 1978. How carbon monoxide reduce plasma volume. N Engl J Med 299: 311-312 

  12. Diplock AT. 1994. Antioxidants and disease prevention. Mol Aspects Med 15: 293-376 

  13. Subar AF, Harlen LC, Mattson ME. 1990. Food and nutrient intake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in the US. Am J Public Health 80: 1323-1329 

  14. Midgette AS, Baron JA, Rohan TE. 1993. Do cigarette smokers have diets that increase their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Am J Epidemiol 137: 521-529 

  15. Friedewald WY,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6. Reisin E. 1997. Nonpharmacologic approaches to hyper-tension. Weight, sodium, alcohol, exercise, and tabacco cnsiderations. Med Clin North Am 81: 1289-1303 

  17. Kim SK, Yeon BY, Choi MK. 2003.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and serum mineral level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Korean J Nutr 36: 635-645 

  18. Lee HW. 1998. Analysis of dietary intakes,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s in female adolescent smoker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Korea 

  19. Cade JD, Margetts BM. 1991.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smoking: Is the diet of smokers different?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45: 270-272 

  20. Song KH, Kim SR. 2003. The effects of smoking on nutritional intake, dietary behaviors and blood lipid profile of college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Culture 18: 407-417 

  21. Fisher M, Gordon T. 1985. The relation of drinking and smoking habits to diet: The lipid research clinics prevalence study. Am J Clin Nutr 41: 623-630 

  22. Faruque MO, Khan MR, Rahman M, Ahmed F. 1995.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antioxidant status. Br J Nutr 73: 625-632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Nutrition Survey (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24. Huang RF, Hsu YC, Kin HL. 2001. Folate depletion and elevated plasma homocysteine promote oxidative stress in rat livers. J Nutr 131: 33-38 

  25. Hu R, Zhang XX, Wang WQ, Lau CP, Tse HF. 2005. Smoking, homocysteine and degree of arteriolar retinopathy. Atherosclerosis 183: 95-100 

  26. Chang NS, Kim KN, Kim YS, Seo JB, Kwon OO. 1998. Effects of alcohol administration and dietary folate on plasma homocysteine and liver histopathology. Kor J Nutr 31: 1121-1129 

  27. Kondo H, Kusaka Y, Morimoto K. 1993. Effects of life style on hematologic parameter; I. Analysis of hematologic data in association with smoking habit and age. Sangyo Igaku 35: 98-104 

  28. Yun SH, Choi YH, Moon YS, Ahn SH, Kim TG. 2002. Difference in hemoglobin between smokers and non- smokers. J Korean Acad Fam Med 23: 80-86 

  29. Brischetto CS, Conoor WE, Conner SI, Matarazzo JD. 1983.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profiles of cigarette smokers from randomly selected families: enhancement of hyper-lipidemia and depression of high density lipoprotein. Am J Cardiol 52: 675-684 

  30. Craig WY, Palomaki GE, Haddow JE. 1989. Cigarette smok-ing and serum lipid and lipoprotein concentration: an analysis of published data. Br Med J 298: 784-788 

  31. Rosenberg L, Palmer JR, Shapiro S. 1990. Decline i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women who stop smoking. New Engl J Med 322: 213-217 

  32. Imamura H, Tanaka K, Hirae C, Futagami T, Yoshimura Y, Uchida K, Tanaka A, Kobata D. 1996. Relationship of cigarette smoking to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men. Clin Exp Pharmacol Physiol 23: 397- 402 

  33. Shim SJ. 1989. Effects of smoking on blood lipid level in male smokers. MS Thesis. Joongang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