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약재료 및 식품부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감잎, 산초, 곽향 열수추출물의 페놀함량과 항산화성을 조사 하였다. 감잎 추출물의 페놀성 물질 함량은 곽향과 산초 추출물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감잎 추출물이 250 ppm에서 $70\%$, 곽향 및 초피 추출물은 1000 ppm에서 모두 $70\%$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곽향과 산초 추출물에 비해 감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특히 감잎 추출물의 농도가 1000 ppm에서는 $99\%$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감잎 추출물이 곽향 추출물과 초피 추출물에 비해 모든 농도에서 월등히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와 농도가 각각 1.2, 1000 ppm 농도에서 감잎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99\%$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곽향 추출물과 초피 추출물은 각각 53, $72\%$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가 3.0에서도 감잎 추출물의 아질산 소거능력도 다른 추출물에 비 해 뚜렷이 높았다. pH 6.0에서는 모든 추출물의 아질산 소거능력은 $10\~20\%$ 정도로 낮았다. 따라서 감잎, 곽향, 초피 추출물의 아질산염의 소거능력은 pH가 증감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감잎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력은 곽향과 초피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Diospyros kaki, Teucerium veronicoide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 of Diospyros kaki extacts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고 각종 약리 성분과 항산화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재료로 널리 이용되어 온 한방재료인 감잎, 곽향 및 초피의 열수 추출물 첨가에 의한 식품의 품질과 저장성을 증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이들의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한약재료 및 식품부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감잎, 산초, 곽향열수추출물의 페놀 함량과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감잎 추출물의 페놀성물질 함량은 곽향과 산초 추출물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82-887 

  2. Chung SH, Moon KD, Kim JK, Seong JH, Sohn TH. 199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for processing persimmon leaves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41-146 

  3. Kim BG, Rhew TH, Choe ES, Chung HY, Park KY, Rhee SH. 1993. Effect of selected persimmon leaf components against sarcoma 180 induced tumor in mice. J Korean Soc Food Nutr 22: 334-340 

  4. Funayama S, Hiki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27: 2865-2868 

  5. Kameda K, Takaku T, Okuda H, Kimura Y. 1987.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flavonoids isolate from leave of per-simmon o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tivity. J Nat Products 50: 680-686 

  6. Nose K. 1984. Inhibition by flavonoids of RNA synthesis in permeable WI-38 cells and of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Bioshem Pharm 33: 3823-3826 

  7. Kang WW, Kim GY, Park MR, Choi SW. 1996. Antioxidative propertis of persimmon leaves. Food and Biotech 5: 48-53 

  8. Choi SW, Kang WW, Cnung SK, Cheom SH.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in persimmon leaves. Food and Biotech 5: 119-123 

  9. Moon SH, Kim JO, Park KY. 1996. Antimutagenic com-pounds identified from chloroform fraction of persimmon leaves. J Food Sci Nutr 1: 203-207 

  10. Song HS, Lee HK, Jang HD, Kim JI, Park OJ, Lee MS, Kang MH. 1996. Antimutagenic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s in sister chromatid exchange assay system. J Korean Soc Food Nutr 25: 232-239 

  11. Moon SH, Kim KH, Park KY. 1996. Antitumor effect of persimmon leaves in vivo using sarcoma-180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65-870 

  12. 구본홍. 1994. 한글완역본 동의보감. 도서출판 대중서관, 서울. p 155, 1448 

  13. 서부일. 2004. 알기쉬운 본초학. 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 대구. p 172-173 

  14. Lee SI. 1981. Bonchohak. Sooseowon, Seoul. p 255 

  15.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Chopi (Zanthoxylum pip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71-377 

  16. Kim YD, Kang SK, Choi OJ, Lee HC, Jang MJ, Shin SC. 2000.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hopi (Zanth-oxylum pipperitum A. P.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16-1122 

  17. An MS, Won JS, Kim HJ, Han MN. 2004.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hopi (Zanthoxylum pipperitum DC.) solvent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170-176 

  18. Lee JR, Jung JD, Lee JI, Song YM, Jin SK, Kim IS, Kim HY, Lee JH. 2003. The effects of emulsion-type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on lipid oxidation, nitrite, 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8 

  19.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20. Blos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21.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s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22. Kato H, Le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3. Balentine DA, Wiseman SA, Bouwens LCM. 1997. The chemistry of tea flavonoids. Crit Rev Food Sci Nutr 37: 693-704 

  24. Aoshima H, Tsun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25.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26.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7. 한대석, 김석중. 1994. SOD유사활성물질과 기능성 식품의 개발. 식품기술 7: 41-50 

  28.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a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9.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 nitrosocompounds. J Sci Food Agric 26: 1761-1769 

  30. Fiddler W, Pensabene JW, Piotrowski EG, Doerr RC, Wasserman AE. 1973. Use of sodium ascorbate or erythrobate to inhibit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frankurters. J Food Sci 38: 1084-10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