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Medicinal Herb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0, 2013년, pp.1712 - 1716  

신유진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황정만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풍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고 장기간 쉽게 복용하기에 적합한 식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한의학 및 식품 관련 서적에서 통풍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29가지 식용 가능 한약재를 선별하였다. 각 한약재의 열수추출액의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황금추출액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황금추출액을 주 소재로 하여 항산화능과 통증 개선에 유용한 식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ur study, as many as 29 edible medicinal herbs were selected for testing their ability in the effective treatment of gout based on oriental medicine theory. We extracted each medicinal herb (135 g) with 4 L of distilled water at $100{\sim}105^{\circ}C$ for 210 min. Thereafter, we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약초 135 g을 정제수 4 L에 넣고 무압력추출기(Tower-KS220, Kyungseo, Incheon, Korea)로 100~105°C에서 3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 페놀성 화합물은 페놀기의 수소원자를 라디칼에 제공하여 라디칼을 안정하게 만들고, 공명 혼성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항산화능에 크게 기여한다(19). 본 논문에서는 gallic acid를 표준용액으로 하여 작성한 검정곡선으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의 페놀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Table 2). 그 결과 황금 추출액(2.
  • 본 연구에서는 한방에서 심한 통증을 없애고 뭉쳐진 기와담, 어혈을 파기하고 염증과 독을 없애며 통증 부위의 열을 내리고 소변 등 배설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전체 경락을 통하게 할 수 있는 약초 중에서 식품으로 허용되어 있는 29종을 선정하여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 이 반응물에 1.25 mM의 ABTS와 peroxidase(1 U/mL)를 각각 30 μL 넣고 다시 37°C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 후, 405 nm에서 Multiplate Reader(Sunrise RC/TS/TS Color-TC/TW/BC/6Filter, Tecan Austria GmbH, Grödig, Austri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총 페놀 함량은 Gutfinger의 방법(14)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추출액을 증류수로 10배 희석한 후 1 mL를 취하여 2%(w/v) Na2CO3 용액 1 mL를 가하고 3분간 방치한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0.
  • 1 mL를 가하여 37°C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1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반응액 중에 생성된 요산의 흡광도를 292 nm 에서 측정하였다. 추출액에 대한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 추출물 대신 L-ascorbic acid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Folin-Ciocalteu 시약은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Osaka, Japan)에서 구입하였다. 기타 시약 및 용매는 모두 일급 이상의 등급을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소재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13)에서 모두 식용 가능을 확인한 약초로서, 한의학에서 지통(止痛), 파기(破氣), 이기(理氣) 효능이 알려진 목천료, 몰약, 백지, 지실, 진피, 현호색와, 이수(利水), 통경락(通經絡), 거어(祛瘀) 효능을 알려진 목과, 백복령, 백출, 우슬, 위령선, 의이인, 창출, 해동피, 희렴, 그리고 청열해독(淸熱解毒)과 해표(海表) 효능이 있는 감초, 건지황, 금은화, 길경, 독활, 백개자, 연교, 죽여, 천궁, 총백, 포공영, 형개, 홍화, 황금을 선정하였다(Table 1). 상기 29가지 약초는 2012년 8월~10월경 서울 경동시장의 (주)동광물산에서 구입하였다.
  • 본 연구에서 높은 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보인 황금에 대한 국내 논문은 1990년부터 2011년까지 총 298편이 발표되었고, 그중에서 2007년부터 2011년에 103편이 발표되어 최근에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25). 황금에 대한 연구 주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항염과 항과민에 관한 연구이며(66편), 항균 및 항 바이러스 연구(61편), 항산화 연구(51편), 신경세포사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연구(22편), 간세포 보호 연구(20편), 항암연구(14편), 지질 대사 연구(14편) 등이 뒤를 잇고 있다.
  • 본 실험에 사용된 소재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13)에서 모두 식용 가능을 확인한 약초로서, 한의학에서 지통(止痛), 파기(破氣), 이기(理氣) 효능이 알려진 목천료, 몰약, 백지, 지실, 진피, 현호색와, 이수(利水), 통경락(通經絡), 거어(祛瘀) 효능을 알려진 목과, 백복령, 백출, 우슬, 위령선, 의이인, 창출, 해동피, 희렴, 그리고 청열해독(淸熱解毒)과 해표(海表) 효능이 있는 감초, 건지황, 금은화, 길경, 독활, 백개자, 연교, 죽여, 천궁, 총백, 포공영, 형개, 홍화, 황금을 선정하였다(Table 1). 상기 29가지 약초는 2012년 8월~10월경 서울 경동시장의 (주)동광물산에서 구입하였다.
  • 통풍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고 장기간 쉽게 복용하기에 적합한 식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한의학 및 식품 관련 서적에서 통풍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29가지 식용 가능 한약재를 선별하였다. 각 한약재의 열수 추출액의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황금 추출액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데이터처리

  •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를 구하였으며, 모든 처리값의 차이는 신뢰수준 95%(P<0.05)로 비교하여 분석되었다.

이론/모형

  • ABTS 라디칼 소거능은 Pellegrini 등(1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0배로 희석한 추출액 100 μL에 0.
  • DPPH 라디칼 소거능은 Jeong 등(15)의 방법에 준하여 10배로 희석한 추출액 0.1 mL에 0.041 mM DPPH 용액 0.9 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Sirpe와 Della Corte(17)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5배로 희석한 추출 액기스 0.
  • 모든 실험은 3회 반복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평균값은 SPSS software(Ver. 12,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General Linear Model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다(18).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를 구하였으며, 모든 처리값의 차이는 신뢰수준 95%(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풍이란? 통풍은 퓨린 대사의 이상으로 혈청 요산 농도가 높아지면서 혈액 내에서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극심한 통증과 발열 및 종창을 일으키는 질병이다(1). 혈청의 요산 농도가 7.
통풍이 여성보다는 주로 남성에게 발생하는 이유는? 0 mg/dL 이상)이면 고요산혈증으로 정의되며 고요산혈증만으로 통풍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한다(2). 발병은 여성보다는 주로 남성에게 발생하며, 이는 남성은 신장에서의 요산 제거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우리나라에서는 서구화에 따른 육류 소비량의 증가, 비만 인구의 증가, 운동 부족, 그리고 우리나라 고유의 각종 회식문화에 기인한 음주문화로 인해 통풍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4).
고요산혈증으로 정의되기 위해선 혈청 요산 농도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통풍은 퓨린 대사의 이상으로 혈청 요산 농도가 높아지면서 혈액 내에서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극심한 통증과 발열 및 종창을 일으키는 질병이다(1). 혈청의 요산 농도가 7.0 mg/dL 이상(여성의 경우에는 6.0 mg/dL 이상)이면 고요산혈증으로 정의되며 고요산혈증만으로 통풍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한다(2). 발병은 여성보다는 주로 남성에게 발생하며, 이는 남성은 신장에서의 요산 제거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rrold L. 2013. Curr Opin Rheumatol 25: 304-309. 

  2. Lee YH.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out. 2002. J Korean Acad Fam Med 23: 261-266. 

  3. Janson RW. 2002. Gout. In Rheumatology Secrets. West S, ed. Hanley & Belfus Inc., Philadelphia, PA, USA. p 325-333.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20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Korea. p 559-578. 

  5. Lee MH, Graham GG, Williams KM, Day RO. 2008. A benefit-risk assessment of benzbromarone in the treatment of gout. Was its withdrawal from the market in the best interest of patients? Drug Saf 31: 643-665. 

  6. Lee YS.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Ailanthus altissima. Korean J Food Preserv 14: 170-176. 

  7. Kwak CS, Lee KJ, Chang JH, Park JH, Cho JH, Park JH, Kim KM, Lee MS. 2013. In vitro antioxidant,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sweet potato leaves and stal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369-377. 

  8. Chae JW, Park HJ, Kang SA, Cha WS, Ahn DH, Cho YJ. 2012.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mulberry fruits (Morus alba L.) on related enzymes to adult disease. J Life Sci 22: 920-927. 

  9. Ardan T, Kovaceva J, Cejkova J. 2004. Comparative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xanthine oxidoreductase/xanthine oxidase in mammalian corneal epithelium. Acta Histochem 106: 69-75. 

  10. Lee YS, Kim KK, Kim NW. 2011.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rk extract of Albizia julibrissin. Korean J Food Preserv 18: 79-86. 

  11. Seo SJ, Kim NW.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root extracts from Liriope platyphylla. Korean J Food Preserv 17: 123-130. 

  12. Jee SO.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 145-151. 

  13. Food Materials Information. http://fse.foodnara.go.kr/origin/search_data_list.jsp?query (accessed Jun 2013). 

  14.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5.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6. 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17.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563. 

  18. SPSS. 2006. SPSS 14.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 

  19. Ahn SI, Heuing BJ,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20. Yun-Choi HS. 1992. Flavonoid components in plants of the genus Scutellaria. Kor J Pharmacogn 23: 201-210. 

  21. Son KH, Kim JS, Kang SS, Kim HP, Chang HW. 1994.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Lonicera japonica. Kor J Pharmacogn 25: 24-27. 

  22. Lee MJ, Oh JS, Park JW, Kim JK, Choi DY, Kim CH.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Korean J Life Sci 10: 236-240. 

  23. Song JC, Park NK, Hur HS, Bang MH, Bae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94-101. 

  24. Shin JH, Yoo SK. 2012. Antioxidant properties in microbial fermentation produ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95-102. 

  25. Kim KS, Kim LH, Rhee YJ, Lee SH, Choi JH, Ko HN. 2011.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studies related with Scutellariae Radix in Kore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5: 1095-1101. 

  26. Kim Y, Yang SY, Oh YS, Lee JW, Lee YK, Park YC. 2010. Research trends of Lonicera japonica over the last 10 years. J Daejeon Oriental Med 19: 17-23. 

  27. Li H, Choi Y, Lee J, Park JS, Yeon KS, Han CD.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28. Joo S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12-519. 

  29. Kim SI, Moon JY, Kim KS, Kim DH, Nam KS, Lim JK. 1997. Antioxidative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aaquaacupuncture solution on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free radical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1: 48-54. 

  30. Kim SC, Ahn KS, Park CK, Jeon BS, Lee JT, Park WJ. 2006.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212-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