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긴산 분해 미생물의 탐색 및 생육 특성
Screening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Alginate Degrading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 2006년, pp.109 - 114  

어명희 (강릉대학교 해양생물산업협동과정) ,  주동식 (한중대학교 오리엔탈웰빙학부) ,  조순영 (강릉대학교 동해안해양생물자원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생물 및 토양으로부터 총 619주의 알긴산 분해능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여 이중 분해능이 강력했던 균주의 배양 조건 및 효소 생산 조건을 실험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Na-alginate $2\%$, 질소원으로 nutrition broth $0.1\%$, NaCl 농도 $2\%$, pH 7.5, 배양 온도는 $30^{\circ}C$, 배양 시간은 $144\~150$ 시간이 최적 배양 및 효소 생산 조건이었다. 아울러 균체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본 실험 균주가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 되어 최종 Bacillus licheniformis AL-577로 명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oligosaccharide production from alginate, the main component in cell walls of brown algae, the alginate degrading bacteria have been screened from the seaweeds and soil. Among the isolated 69 strains, one strain showing the highest degrading activity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효소를 이용하여 알긴산을 분해하여 유용한 올리고당을 제조할 목적으로 알긴산을 특이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효소를 미생물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자연계로부터 본 효소의 생산 능이 우수한 세균검색을 행하여, 그중 알긴산 분해능이 높은 효소 생산 미생물을 동정함과 동시에 그 생육 특성을 구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Fisher FG, Dorfel H. 1955. The polyuronic acids of brown algae. Part I. Z Physiol Chem 302: 186-203 

  2. Hirst EL, Percival E, Wold JK. 1964. The structure of alginic acid. Part IV. Partial hydrolysis of the reduced poly-saccharide. J Chem Soc 8: 1493-1499 

  3. Hirst EL, Ress DA. 1965. The structure of alginic acid. Part V. Isolation and unambiguous characterization of some hy-drolysis products of the methylated polysaccharide. J Chem Soc 7: 1182-1187 

  4. Haug A, Larsen B, Smidsrod O. 1966. A study of con-stitution of alginic acid by partial acid hydrolysis Acta Chemica Scand 20: 183-190 

  5. Haug A, Larsen B, Smidsrod O. 1967. Studies on the se-quence of uronic acid residues in alginic acid. Acta Chemica Scand 21: 691-704 

  6. Penman A, Sanderson GR. 1972.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sequence in alginates. Carbohydrate Research 25: 273-282 

  7. Guven KC, Ozsoy Y, Ulutin ON. 1991. Anticoagulant, fibrinotic and antiaggregant activity of carrageenans and alginic acid. Biotanica Marina 34: 429-435 

  8. Joo DS, Lee JS, Park JJ, Cho SY, Kim HK, Lee EH. 1996.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alginic acid enzymeic hydr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46-151 

  9. Joo DS, Lee JS, Park JJ, Cho SY, Ahn CB, Lee EH. 199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cellular al-ginase from Vibrio sp. AL-145.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2-438 

  10. Waksman SA, Allen MC. 1934. Decomposition of poly-uronides by fungi and bacteria. J Bacteriol 28: 213-220 

  11. Eller J, Payne WJ. 1960. Studies on bacterial utilization of uronic acid. IV. Alginolytic and nuronic acid oxidizing isolates. J Bacteriol 80: 193-199 

  12. Ando Y, Inoue K. 1961. Decompostion of alginic acid by microorganism-IV. On the Vibro-type bacteria newly iso-lated from the decaying Laminaria. Bull Jap Soc Sic Fish 27: 339-341 

  13. Kashiwabara Y, Hiroshi S, Nisizawa K. 1969. Alginate lyases of Pseudomonas sp. J Biochem 66: 503-512 

  14. Davidson IW, Sutherland IW, Lawson CJ. 1976.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n alginate lyase from a marine bacterium. Biochem J 159: 707-713 

  15. Stevens RA, Levin RE. 1967. Viscometric assay of bacterial alginase. Appl Environ Microbiol 31: 896-899 

  16. Riesen VL. 1980. Digestion of algin by Pseudomonas malt-ophila and Pseudomonas putida. Appl Environ Microbiol 39: 92-96 

  17. Linker A, Evans LR. 198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ginase from mucoid stranis of Pseudomonas aer--oguinosa. J Bacteriol 159: 958-964 

  18. 18.Hansen JB, Nakamura LK. 1985. Distribution of alginate lyase activity among strains of Bacillus circulans. Appl Environ Microbiol 49: 109-1021 

  19. Dunne WM, Buckmire FL. 1985.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olymannuronic acid depolymerase produced by a mucoid strain of Pseudomonas aeroguinosa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cystic fibrosis. Appl Environ Microbiol 50: 562-567 

  20. Kim BJ, Ha SD, Lim DJ, Song C, Kong JY. 1998. Production of agarase from marine bacterium Bacillus cereus ASK202. Korean H Biotechnol Bioeng 13: 524-529 

  21. Joo DS, Cho SY, Lee EH. 1993. Isolation of alginate- degrading bacteria and production of alginate degrading activities by the bacteria. Kor J Micorbiol Biotechnol 21: 207-211 

  22. Joo DS, Cho SY, Lee EH. 1998. Preparation of agar hy-drolysates by agarase and functionality of the hydrolysat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378-382 

  23. Yang ST, Joo DS, Park JJ, Lee JS, Kim MS, Lee EH. 199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arrageenan degrading bac-teria and optimization of enzyme producti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ol 24: 652-656 

  24. Nelson NJ. 1944. A photometric adapta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0 

  25. Somogyi M. 1952.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l Chem 195: 19-23 

  26. Baumann P, Furniss AL, Lee JV. 1984. Genus I. Vibrio.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Krieg NR,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Vol 1, p 518-538 

  27. Gibbs BM, Skinner FA. 1966. Identification methods for microbiologist. Academic press, New York 

  28. Yonemoto Y, Mutata K, Kimura A, Yamaguchi H, Okayama K. 1991. Bacterial alginate lyase;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producing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the enzyme. J Ferm Bioeng 72: 152-157 

  29. Baxter RM. 1959. An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of salts on the lactic dehydrogenase of Halobacterium salinarium. Can J Microbiol 5: 47-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