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세균을 확보하고 선정된 균주의 효소생산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긴산과 NaCl의 농도, 질소원 종류, 온도, pH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조류 섭식 동물인 전복, 소라, 해삼, 멍게, 개불 등에서 유래한 총 5만여 콜로니 중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27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전복 유래의 균주를 선정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 선정된 균주를 Methylobacterium sp. HJM27으로 명명하였고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1.0% sodium alginate, 0.5% peptone, 0.3% yeast extract, 1.5% NaCl, $25^{\circ}C$, 48시간 배양에서 가장 높았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25^{\circ}C$, pH 9에서 최대로 0.8%(w/v) sodium alginate 용액에서 30분만에 1.217 g/L의 환원당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균주와 이 균주의 알긴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해조류를 바이오에너지와 식 의약 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screen bacteria of high alginate-degrading activity, to select the nitrogen source and concentration of NaCl and sodium alginate for the production of alginate-degrading enzyme, and to determine reaction conditions of enzyme. A novel alginate-degrading bacterium was isol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 3과 같이 세포성장에는 yeast extract가 가장 우수하였고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에는 peptone이 우수하여 peptone이 함유된 배지에 yeast extract를 첨가하여 이들이 효소활성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개발과 식의약소재로 활용가능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소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알긴산 분해능이 우수한 새로운 미생물 균주를 해조류 섭식동물에서 선별하고, 선별된 균주의 성장과 알긴산 분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세균을 확보하고 선정된 균주의 효소생산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긴산과 NaCl의 농도, 질소원 종류, 온도, pH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조류 섭식 동물인 전복, 소라, 해삼, 멍게, 개불 등에서 유래한 총 5만여 콜로니 중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27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전복 유래의 균주를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는 균주가 성장하면서 floc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환원당 생성능은 세포를 제거한 조효소액을 사용하여 세포들이 floc을 형성하여도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겠지만 세포성장 측정에는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따라서 NaCl이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긴산이란 무엇인가? 알긴산(alginic acid)은 D-mannuronic acid와 L-guluronic acid가 α-1,4 결합 또는 β-1,4 결합으로 이루어진 hetero형 다당류로 주로 갈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한다[3, 6]. 또한 알긴산은 비만 억제효과, 장의 연동운동 촉진을 통한 변비 치유, 항콜레스테롤 억제 작용, 체내의 중금속 흡수와 제거, 유해물질의 독성을 억제하는 효과[15]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처를 보호하는 창상피복재 및 지혈[14] 등의 생리활성효과를 가지고 있어 의약품 소재로도 응용될 수 있다.
알긴산은 주로 어떤 것을 구성하는 성분인가? 알긴산(alginic acid)은 D-mannuronic acid와 L-guluronic acid가 α-1,4 결합 또는 β-1,4 결합으로 이루어진 hetero형 다당류로 주로 갈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한다[3, 6]. 또한 알긴산은 비만 억제효과, 장의 연동운동 촉진을 통한 변비 치유, 항콜레스테롤 억제 작용, 체내의 중금속 흡수와 제거, 유해물질의 독성을 억제하는 효과[15]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처를 보호하는 창상피복재 및 지혈[14] 등의 생리활성효과를 가지고 있어 의약품 소재로도 응용될 수 있다.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세균을 확보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실험에서 선정된 전복 유래의 균주의 알긴산 분해 특성은 무엇인가? 해조류 섭식 동물인 전복, 소라, 해삼, 멍게, 개불 등에서 유래한 총 5만여 콜로니 중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27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전복 유래의 균주를 선정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 선정된 균주를 Methylobacterium sp. HJM27으로 명명하였고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1.0% sodium alginate, 0.5% peptone, 0.3% yeast extract, 1.5% NaCl, 25℃, 48시간 배양에서 가장 높았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25℃, pH 9에서 최대로 0.8%(w/v) sodium alginate 용액에서 30분만에 1.217 g/L의 환원당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균주와 이 균주의 알긴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해조류를 바이오에너지와 식·의약 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rancourt, M., P. Berger, and D. Raoult. 2004. Systematic 16S rRNA gene sequencing of atypical clinical isolates identified 27 new bacterial species associated with humans. J. Clin. Microbiol. 42: 2197-2202. 

  2. Eller, J. and W. J. Payne. 1960. Studies on bacterial utilization of uronic acid. IV. Alginolytic and mannuronic acid oxidizing isolates. J. Bacteriol. 80: 193-199. 

  3. Fisher, F. G. and H. Dorfel. 1955. The polyuronic acids of brown algae. Part I. Z. Physiol. Chem. 302: 186-203. 

  4. Gacesa, P. and F. S. Wusteman. 1990. Plate assay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alginate lyase and determination of substrate specificity. Appl. Environ. Microbiol. 56: 2265-2267. 

  5. Guven, K. C., Y. Ozsoy, and O. N. Ulutin. 1991. Anticoagulant, fibrinolytic and antiaggregant activity of carrageenans and alginic acid. Botan. Marin. 34: 429-435. 

  6. Haug, A., B. Larsen, and O. Smidsrod. 1966. A study of constitution of alginic acid by partial acid hydrolysis. Acta. Chemica. Scand. 20: 183-190. 

  7. Jung, J. Y., S. S. Hur, and Y. H. Choi. 1999. Studies on the efficient extraction process of alginic acid in sea tangle. Food Eng. Prog. 3: 90-97. 

  8. Joo, D. S., S. Y. Cho, and E. H. Lee. 1993. Isolation of alginate-degrading bacteria and production of alginatedegrading activities by 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 207-213. 

  9. Joo, D. S., J. S. Lee., J. J. Park., S. Y. Cho., C. B. Ahn, and E. H. Lee. 199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cellular alginase from Vibrio sp. AL-145.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2-438. 

  10. Joo, D. S., J. S. Lee., J. J. Park., S. Y. Cho., H. K. Kim, and E. H. Lee. 1996.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alginic acid enzymatic hydr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46-151. 

  11. Kim, B. J., S. D. Ha., D. J. Lim., C. Song, and J. Y. Kong. 1998. Production of agarase from marine bacterium Bacillus cereus ASK202.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524-529. 

  12. Kim, H. K., J. C. Lee, N. H. Kang, S. H. Kim, J. G. Kim, and K. C. Chung. 200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ellular alginate lyase from Streptomyces sp. MET 0515. J. Life Sci. 17: 625-633. 

  13. Kim, Y. S. 2008.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rend of biofuel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KFBS 27: 1-10. 

  14. Lee, B. H., S. B. Lee, and W. K. Kim. 2009. Alginate fiber. Fiber Technol. Ind. 13: 21-24. 

  15. Lee, J. H. and E. Y. Lee. 2003. Isolation of alginate degrading marine bacteria and characterization of alginase. J. Life Sci. 23: 718-722. 

  16. Lee, K. E., J. Y. Lee, and K. Kim. 2008. Effect of content of crop component on the bioethanol production. Korean J. Crop Sci. 53: 339-346 

  17. Mil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8. Park, J. I., H. C. Woo, and J. H. Lee. 2008. Production of bio-energy from marine algae : status and perspectives. Korean Chem. Eng. Res. 46: 833-844. 

  19. Park, Y. H., D. S. Chang, and S. B. Kim. 1994. Symbiotic formation of alginate lyase in mixed culture of bacteria isolated from soil. J. Ferment. Bioeng. 69: 192-194. 

  20. Sutherland, I. W. 1995. Polysaccharide lyases. FEMS Microbiol. Rev. 16: 323-347. 

  21. Uo, M. H., D. S. Joo, and S. Y. Cho. 2006a. Screening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alginate degrading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09-114. 

  22. Uo, M. H., D. S. Joo, S. Y. Cho, and T. S. Min. 2006b.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ellular alginase produced by Bacillus lichenformis AL-577.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31-237. 

  23. Wong, T. Y., L. A. Proston, and N. L. Schiller. 2000. Alginate lyase: review of major sources and enzyme characteristics, structure-fuction alalysis, biological roles, and application. Annu. Rev. Microbiol. 54: 289-340. 

  24. Waksman, S. A. and M. C. Allen. 1934. Decomposition of polyuronic by fungi and bacteria. J. Bacteriol. 28: 213-220. 

  25. Yang, J. S. and S. R. Lee. 1997.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extraction yield and viscosity of algin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9: 194-198. 

  26. Yonemoto, Y., K. Mututa., A. Kimura., H. Yamaguchi, and K. Okayama. 1991. Bacterial alginate lyase;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producing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the enzyme. J. Ferm. Bioeng. 72: 152-157. 

  27. http://www.chem.qmul.ac.uk/iubmb/enzyme/EC4/2/2/3.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