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전환효과 분석
Accident Conversion Effect Analysis of Installing Median Barrier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4 no.2 = no.88, 2006년, pp.113 - 124  

박민호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박규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장일준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안전시설 중 중앙분리대는 정면충돌 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되어 4차로 이상 국도를 대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앙분리대 설치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는 국내 외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로 해당구간의 전체적인 사고감소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즉, 지점에서 사고유형별 또는 심각도별로 사고발생형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주로 중앙분리대 설치유형에 따른 사고감소효과를 산정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일부 사고유형별 감소효과를 산정한 사례가 있기는 하나 시설물 설치전 후 각 1년만의 사고자료만을 이용함으로써 도출된 값의 통계적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유형별 사고심각도별 사고전환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국토 깊차로 108.6km에 대하여 사업전 후 총 7년간의 교통사고자료, 안전시설물 설치이력과 도로선형요소에 대한 조사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경험적베이즈(Empirical Bayes)기법을 이용한 모형구축과 사고유형 심각도의 사고전환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중앙분리대 관련 정책집행과 시설기준제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ile traffic safety facilities, median barriers are installed above 4-lane national roads due to the awareness of haying an effect on preventing the front collision. Studies about the installation effect analysis of median harrier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both at home and outside, main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교통안전 분야 게서 사고분석 자료로 유의하다고 알려져 있는 시설물 설치 전·후 3년 자료가 아닌 당해 년도 또는 짧은 기간 동안의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교통사고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 4 개 노선자료 및 중앙분리대 설치 전·후 7년의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에 설치된 중앙분리대의 사고 전환 효과를 산정하였다. 실제 현장 조사를 통해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지점을 파악하였고, 설치 이력 및 '사고자료를 수집하였다.
  • 측면사고 건수의 변화율과 그에 따른 사망 . 부상 사고 건수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 측면사고및 사망 . 부상 사고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 사고유형별.심각도별 사고 전환 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심각도별로 SPF를 추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사고 전환 효과를 산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로 일반국도의 중앙분리대 설치현황과 사고자료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유형별.심각도별 사고 전환 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X? 과 자유도를 이용한 적합도 검정에서 귀무가설 'Ho : 모형이 적합하다 하에서 p-value가 커지면 커질수록 Ho를 채택하게 되므로 유의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건설교통부(2002),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업무편람' 

  2. 김경석.강승림(2003),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 과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 5호, 대한교통학회, pp.45-60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4), 교통사고 잦은 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4. 이수범.박규영(2000), '도로안전시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0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139-147 

  5. 박민호(2005),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전환 효과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교통공학과 

  6. Donnell, E. T., J. M. Mason, Jr(2004), 'Predicting the Severity of Median-Related Crashes in Pennsyvania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897,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55-63 

  7. Donnell, E., et. al.(2002), 'Cross-median collisions on Pennsylvania interstates and express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784,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91-99 

  8. Elvik, R.(1997), 'Evaluations of Road Acc ident Blackspot Treatment: A Case of the Iron Law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9, No.2, pp.191-199 

  9. Elvik, R.(1994), 'The safety value of guardrails and crash cushions: A meta-ana lysis of evidence from evaluation studies', Accid. Anal. and Prev. Vol.27 No.4, Elsvier Science Ltd., pp.523-549 

  10. FHWA(1985), 'Cost-Effectiveness Techniques for Highway Safety: Resource Allocation', FHWA-RD-84-011 

  11. Fitzpatrick, M.S., K.L. Hancock, and M.H. Ray(1999), 'Videolog Assess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Frequency with Concrete Median Barriers on an Urban Highway in Connecticut',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 D.C 

  12. Forrest, M. Council and J.Richard Stewart (1998), 'Safety Effects of the Conversion of Rural Two-Lane to Four-Lane Roadways Based on Cross-Sectional Models', TRB 78th Annual Meeting Jan. 10-14, 1999, Washing D.C 

  13. Hauer, E.(1997), 'Observation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Pergamon/Elsevier Science Inc., Tarytown, New Youk 

  14. Hauer, E., et.al.(2002), 'The Empirical Bayes Method for Estimating Safety: A Tutorial', TRR 1784, Washing D.C 

  15. Hunter, W. W., et.al.(2001), 'Three-Strand Cable Median Barrier in North Carolina: In-Service Evaluation', Transportation Res 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743,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97-103 

  16. Knuiman, M. W., et. al.(1993), 'Association of Median Width and Highway Accident Rat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40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70-82 

  17. Martin, J., Quincy, R.(2001), 'Crossover crahes at median strips equipped with barriers on a French motorway network',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758,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6-12 

  18. Ogden, K.W.(1996), 'Safer Roads: A Guide to Road Safety Engineering', Cambridge, U.K 

  19. Persaud(2004), 'Crash Reduction Following Installation of Centerline Rumble Strips on Rural Two-lane Road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 1073-1079 

  20. Shen, J and Albert Gan(2003), 'Development of Crash Reduction Factors Methods, Probl ems, and Research Needs', TRR 1840, Paper No. 03-4345 

  21. Taylor, William C. Inkyu Lim, and Dale R. Lighthizer(2001), 'Effect on Crashes After Construction of Directional Median Crossovers', TRR 1758, Paper No. 01-3165 

  22. Ulfarsson, G. F., Shankar, V. N.(2003), 'Accident Count Model Based on Multiyear Cross-Sectional Roadway Data with Serial Corre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840,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93-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