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BMI and Body Image on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2 = no.150, 2006년, pp.348 - 357  

홍금희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BMI and body image of adult women affect their self-esteem.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in the survey and a total of 456 adult women were selected by way of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충분히 검증된 Heinberg et al.(1995)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를 통해 매체에 나타난 이상적 이미지의 인식과 수용의 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신체비 만도를 나타내는 BMI와 비교하여 자신의 신체이미지 지각을 어떻게 느끼며 자아존중감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개인의 신체이미 지 지각에 영향을 미쳐 여러 가지 방식으로 동기화되 어 작용하면서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성의 외모과시에 대한 내면적인 욕구는 외면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쳐 불만스러운 신체부위를 개선하 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가 BMI와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 BMI와 신체 이미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라 외모 관리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본다.
  • 이때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되는 신체이미지는 대부분 영 상매체에서 보여주는 극단적인 신체이미지이므로 자 신이 그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는 부정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성인 여성 의 자아존중감에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BMI 및 신체이미지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신체이미지 지각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건강한 자아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58-365 

  2. 김선희. (2003). 신체이미지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 복식, 53(1),87-99 

  3. 박수정, 손정락. (2002). 인지행동치료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335-351 

  4. 박은아. (2003). 신체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비교문화연구-한국과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2(2),35-56 

  5. 성민정,김희은. (2001) 비만판정지수에 의한 여대생의 체형분류 및 체형인지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3),227-234 

  6. 성연신. (1997). 소비와 광고 속의 신체이미지. 성과 사회, 서울: 나남출판사 

  7. 이상선,오경자. (2003).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913-926 

  8. 이승희, Rudd, N. A., & 김재숙. (2001) 바디이미지 연구 (제l보)-한.미 여성의 이상적 미,바디이미지와 외모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969-980 

  9. 이윤정. (2004). 신체통제에 대한 신념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974-982 

  10. 전경란,이명희. (2002). 여성의 욕구,자아존중감과 성형태도에 관한 연구. 복식, 52(6). 71-83 

  11. 정명선. (2003). 성인 여성의 신체적 매력성 지각이 자존심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3(3), 165-180 

  12. 조선명,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1227-1238 

  13. 추태귀 (2002). 신체만족도에 따른 다차원적 신체이미지와 의복추구효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4),376-382 

  14. Aune, R., & Aune, K. S. (1994). The influence of culture. gender, and relational status on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5(2),258-272 

  15. Baumeister, R. F. (1994). Self-esteem.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4, 83-97 

  16. Cash, T. F.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J. K. Thompson (Ed.),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pp. 125-130). Elmsford, NY: Pergamon Press 

  17. Cash, T. F., Bullen, B., & Bums, D. S. (1977). Sexism and beautyism in personnel consultant decision mak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301-310 

  18. Cash, T., Winstead, B., & Janda, L. (1986). Body image survey report: The great American shape-up. Psychology Today, Apr., 30-37 

  19. Freedman, R. (1986). Beauty bound Lexington, MA: D. C. Heath 

  20. Heinberg, L. J., & Thompson, J. K. (1992). Social comparison: gender, target importance ratings, and relation to body image disturbance.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7, 335-344 

  21. Heinberg, L. J., Thompson, J. K., & Sto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1), 81-89 

  22. Lennon, S. J. (1997). Physical attractiveness age and body type: further evide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1), 60-64 

  23. Lennon, S. J., Lillethun, A., & Buckland, S. S. (1999). Attitude toward social comparison as function of self-esteem: Idealized appearance and body imag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7(4), 379-405 

  24. Lennon, S., & Rudd, N. (1994).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3, 84-117 

  25. Mahoney, E. R., & Finch, M. D. (1976). The dimensionality of body-cathexis. The Journal of Psychology, 92, 277-279 

  26. Mckinley, N. M., & Hyde, J.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 191-215 

  27. Richins, M. L. (1991). Social comparison and the idealized images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 71-83 

  2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Rudd, N. A., & Lennon, S. J. (2001). Body image: Linking aesthetics and social psychology of appear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3), 120-129 

  30. ecord, P. E.,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17, 343-3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