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상 가축분뇨의 처리 및 토양환원에 따른 악취 및 악취물질의 평가
Evaluation of Odors and Odorous Compounds from Liquid Animal Manure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to Soil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3, 2006년, pp.453 - 466  

고한종 (교토대학교 농학대학원) ,  최홍림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김기연 (신시내티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이용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김치년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율적인 악취방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축산 뿐만 아니라 증가되는 악취 민원과 더욱 엄격해지는 법규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돈분뇨의 처리방법에 따른 액상분뇨 유래 악취 및 처리방법이 다른 액상분뇨를 토양에 살포시 발생하는 악취 및 악취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액상분뇨는 신선 분뇨,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 및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를 이용하였고, 토양 특성이 다른 논/밭 토양을대상으로 총 6처리 5반복 설계 배치하였다. 시료 포집은 관능법과 기기분석법에 사용될 시료를 각각 주사기와 테들러 백을 이용하여 액상분뇨와 액상분뇨를 살포한 토양의 상부공간에서 채취하였다. 악취 분석은 관능법을 이용하여 악취강도 및 불쾌도를 평가하였고, 기기분석법으로는 질소화합물 악취물질인 암모니아를 흡광광도법, 황화합물 악취물질인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다이메틸설파이드 및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를 GC-PF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과정이 다른 액상분뇨의 악취 및 악취물질 발생 평가에서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가 신선 분뇨 및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에 비해 악취강도, 불쾌도 및 악취농도 저감 효과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와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에서 발생되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및 암모니아의 평균농도는 각각 65.93 : 5.15 ppb, 18.55 : 0.97ppb, 5.26 : 0.80ppb, 0.33 : 0.56ppb 및 10.57 : 1.34ppm으로 분석되었다. 액상분뇨를 밭과 논 토양에 살포시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와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가 각각 51~94% 및 22~91%의 암모니아 저감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가 악취 저감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처리방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액상분뇨의 토양환원에서 발생되는 악취문제는 액상분뇨의 처리방법에 따른 악취발생 정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ly with stricter regulations provoked by increasing odor nuisance, it is imperative to practice effective odor control for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odor and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liquid animal manure with different treatment methods such as...

주제어

참고문헌 (43)

  1. Arogo, J., Westennan, P. W., Heber, A. J., Robarge, W. P. and Classen, J. J. 2002. Ammonia emissions from animal feeding operations. National Center for manure and Animal Waster Management White Paper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 C 

  2. Banwart, W. L. and Brenmer, J. M. 1975. Forma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by microbial decomposition of suifur-containing amino acids in soils. Soil BioI. Biochem. 7:359-364 

  3. Banwart, W. L. and Brenmer, J. M. 1975. Identification of sulfur gases evolved from animal manures. J. Environ. Qual. 4:363-366 

  4. Brady, N. C. and Weil, R. R. 1996.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1th ed. Prentice Hall, New Jersey 

  5. DEFRA(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2001. Ammonia in the UK-Key points 

  6. Hao, O. J., Chen, J. M., Huang, L. and Buglass, R. 1996. SuIfate-reducing bacteria. Critical Reviews in Environ. Sci. and Technol. 26(1):155-187 

  7. Hardwick, D. C. 1985. Agricultural problems related to odor prevention and control. pp. 21-26. In Odor Prevention and Control of Organic Sludge and Livestock Farming. Edited by V. C. Nielsen, J. H. Voorburg, and P. L'hermite.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8. Hoff, J. D., Nelson, D. W. and Sutton, A. L. 1981. Ammonia volatilization from liquid swine manure applied to cropland. J. Environ. Qual. 10:90-95 

  9. Jacobson, L., Schmidt, D., Nicolai, R. and Bicudo, J. 1998. Odor control for animal agriculture. BAEU-17. Minnesota State Univ. Ext. Serv., MN 

  10. Lorimor, J., Hoff, S. and O'Shaughnessy, P. 2002. Emission control systems. In: Iowa Stat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Iowa Study Group. (Ed.), Iowa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Air Quality Study. pp. 202-212 

  11. Mackie, R. I., Stroot, P. G. and Varel, V. H. 1998.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origin of key odor components in livestock waste. J. Anim. Sci. 76:1331-1342 

  12. McCrory, D. F. and Hobbs, P. J. 2001. Additives to reduce ammonia and odor emissions from livestock wastes: A review. J. Environ. Qual. 30(2):345-355 

  13. NIOSH(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4.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4th Ed.). Cincinnati, Ohio 

  14. O'Neill, D. H. and Phillips, V. R. 1992. A review of the control of odour nuisance from livestock buildings: Part 3, Properties of the odorous substances which have been identified in livestock wastes or in the air around them. J. Agr. Eng. Res. 53:23-50 

  15. Pain, B. F. 1995. Odours from application of livestock wastes to land. In New Knowledge in Livestock Odor,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Livestock Odor Conference, Ames, Iowa. pp. 125 -126 

  16. Pain, B. F., Phillips, V. R., Clarkson, e. R., Misselbrook, T. H., Rees, Y. J. and Farrent, J. W. 1990. Odour and ammonia emissions following the spreading of aerobically treated pig slurry on grassland. BioI. Waste 34(3):259-267 

  17. Phillips, V. R., Pain, B. F., Clarkson, C. R. and Klarenbeek, J. V. 1990. Studies on reducing the odour and ammonia emissions during and after the land spreading of animal slumes. Farm Build. Eng. 7:17-23 

  18. Pomeroy, R. D. 1976. The Problem of Hydrogen Sulfide in Sewers. London, England: Clay Pipe Development Assoc. Ltd. 

  19. Rappert, S. and Muller, R. 2005. Odor compounds in waste gas emissions from agricultural operations and food industries. Waste Manage. 25:887-907 

  20.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8. Proceeding of X VIII international forum on soil taxonomy and agrotechnology transfer. p. 374 

  21. Roderick, I. M., Peter, G. S. and Vincent, H. V. 1998.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origin of key odor components in livestock waste. J. Anim. Sci. 76:1331-1342 

  22. SAS Institute Inc. 1999. SAS user's guide. SAS Inst., Inc., Gary, NC 

  23. Smith, K. A., Jackson, D. R., Misselbrock, T. H., Pain, B. F. and Johnson, R. A. 2000. Reduction of ammonia emission by slurry application techniques. J. Agr. Eng. Res. 77(3):277-287 

  24. Sommer, S. G. and Hutchings, N. J. 2001. Ammonia emission from field applied manured and its reduction-invited paper. European J. Agron. 15:1-15 

  25. Sommer, S. G. 1992. Ammonia volatilization from cattle and pig slurry during storage and after application in the field. The Danish Institute of Plant and Soil Science. Denmark 

  26. Svoboda, J. F. 1995. Aerobic treatment of livestock slurries. SAC Technical Note, Environmental Series No. 2 

  27. Tchobanoglous, G. and Burton, F. L. 1991.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3rd Ed.) Mcgraw-Hill Series in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New York, N. Y.: Metcalf & Eddy, Inc 

  28. Whitehead, T. R. and Cotta, M. A.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per-ammonia producing bacteria from swine manure storage pits. Curr. Microbiol. 48:20-26 

  29. WilIiams, A. G., Shaw, M., Slevaih, C. M. and Cumby, R. J. 1989. The oxygen requirements for deodorising and stabilising pig slurry by aerobic treatment. J. Agr. Eng. Res. 43:291-311 

  30. WPCF. 1985. Odor Control for Wastewater Facilities: Manual of Practice No 22. Washington, D. C.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31. Zhu, J. 2000. A review of microbiology in swine manure odor control. Agr. Ecosyst. Environ. 78: 93-106 

  32. 김기연, 최홍림. 2001. 한강유역내 축분퇴비공장 악취발생에 대한 현장 평가.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6): 1005-1018 

  33. 농림부. 1997. 친환경농업육성법 

  34. 농업과학기술원. 1999. 친환경농업을 위한 가축분뇨 퇴비 . 액비 제조와 이용. pp. 157-168 

  35. 농촌진흥청. 2006. 농진청 고시 제 2005-26호 

  36. 농협중앙회. 2002. 양돈분뇨 액비이용 및 국내 유기축산 발천방향 세미나 

  37. 양성봉,이성화. 1997. 악취의 성분 분석. 동화기술 

  38. 양성봉,정영만,서흥원,김현정. 1998. 악취의 관 능측정. 도서출판 복 

  39. 축산관련단체협의회 2003 '친환경 축산발전 과 제와 대책', 제2회 축산발전을 위한 심포지엄. pp.13-25 

  40.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2. 축산분뇨의 자동 퇴비화 방안연구 

  41. 한국유기농업학회. 2003. 21 세기 친환경 순환농엽 의 발전모델과 정책과제. 한국유기농업학회 2003 년도 상반기 심포지움 

  42. 환경부. 2001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43. 환경부. 2005. 악취방지법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