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f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2 no.4 = no.59, 2006년, pp.241 - 247  

김남경 ((주)래디안) ,  김미화 ((주)래디안) ,  윤창순 ((주)래디안) ,  최신욱 ((주)래디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피부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항염 소재를 개발하여 피부 진정 및 여드름, 아토피 피부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피부 자극 완화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염증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진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를 소재로 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항염 효능을 알아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PR을 이용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대식세포주에서의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의 우수한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PGE_2$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NO와 $PGE_2$ 생성 단백질인 iNOS와 COX-2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오동나무 잎 추출물 처리에 의해 두 단백질의 발현이 확연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 반응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IkB-{\alpha}$ 단백질의 분해정도를 시간별로 확인한 결과 LPS 처리 30 min 후 $IkB-{\alpha}$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나게 되는데 오동나무 잎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시간이 경과되어도 $IkB-{\alpha}$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은 염증 반응 신호 전달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IkB-{\alpha}$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NO와 $PGE_2$의 생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CD-986sk와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오동나무 잎의 항염 효능을 이용한 피부 자극완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on abirritant, atopy and acne skin. Paulownia coreana Uyeki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having anti-febrile, anti-inflammation effect in Korea, Paulownia coreana Uyeki loaves were extra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오동나무 잎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항염 효능을 알아보았다. 전자상자성공명법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여 항산화능을 살펴보았으며 항염 효능으로서 대식세포주를 이용한 염증반응의 신호전달 과정을 탐색하여 어떠한 과정에서의 신호 전달을 막아주는지 알아보았다.
  • 또한 위에서 확인된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은 염증 반응 신호 전달의 초기 단계인 IkB-α 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동나무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항염 효능을 이용하여 피부자극 완화 소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COX-2 단백질의 발현여부를 확인한 결과 100 /rnL의 농도에서 단백질의 발현양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PGE2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염증 반응 신호 전달 과정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IkB-α 단백질의 분해를 오동나무 잎 추출물이 억제하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LPS 처리후 시간별로 IkB-α 단백질의 분해정도를 확인한 결과 LPS 처리 30 min 후 IkB* 단백질이 분해됨을 확인하였으며 오동나무 잎 추출물 처리시 IkB-α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시켜줌을 확인하였다(Figure 5).
  • 오동나무 잎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 사용되었을시 안전한 소재임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였다. 사람 유래의 섬유아세포(CCD-986sk)와 쥐 유래의 대식세포(Raw 264.
  • 오동나무의 묘목과 꽃, 잎에 존재하는 유효 성분을 연구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오동나무 잎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들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그다지 높은 소거능은 아니지만 오동나무 잎 추출물에서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 L. Si, J. K Kim, D. J. K won, and Y. S. Bae,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Mokchae Konghak, 34, 79 (2000) 

  2. J. S. Oh, H. I. Moon, and O. P. Zee,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Paulownia coreana, Kor. J. Pharmacogn., 31, 449 (2000) 

  3. S. Damtoft and S. R. Jensen, Tomentoside and 7-hydroxytomentoside, two iridoid glucosides from Paulownia tomentosa, Phytochemistry, 34, 1636 (1993) 

  4. 사전령, 김진규, 권동주, 배영수, 오동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산림과학연구, 21, 23 (2005) 

  5. K S. Park, H. J. Kim, E. J. Kim, K. T. Nam, J. H. Oh, C. W. Song, H. K. Jung, D. J. Kim, Y. W. Yun, H. S. Kim, S. Y. Chung, D. H. Cho, B. Y. Kim, and J. T. Hong, Effect of glycolic acid on UVB-induced skin damage and inflammation in guinea pigs,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Jul-Aug, 15, 236 (2002) 

  6. S. Kang, E. A. Duell, G. J. Fisher, S. C. Datta, Z. Q. Wang, A. P. Reddy, A Tavakkol, J. Y. Yi, C. E. Griffiths, and J. T. Elder, Application of retinol to human skin in vivo induces epidermal hyperplasia and cellular retinoid binding proteins characteristic of retinoic acid but without measurable retinoic acid levels or irritation, J. Invest. Dermatol. Oct., 105, 549 (1995) 

  7. O. M. Czarnecka, W. M. Bator, and W. Silny, Atopy patch test reaction to airborne allergens in the diagnosis of atopi dermatitis, Acta Dermatovenerol. Croat., 13, 3 (2005) 

  8. Y. F. Leung, P. O. Tam, W. S. Lee, D. S. Lam, H. F. Yam, B. J. Fan, C. C. Tham, J. K. Chua, and C. P. Pang, The dual role of dexamethasone on anti -inflarnmation and outflow resistance demonstrated in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Mol. Vis. Sep., 59, 425 (2003) 

  9. D. Rocksen, B. Lilliehook, R. Larsson, T. Johansson, and A Bucht, Differential anti -inflamrn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dexamethasone and Nacetylc-ysteine in endotoxin-induced lung inflammation, Clin. Exp. Immunol., 122, 249 (2000) 

  10. Y. Endo, S. Tsuriya, and E. Fujihira, Hepatic drug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potency of hydrocortisone in rats with granulomatous inflammation,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33, 195 (1981) 

  11. C. B. Favour, Loc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hydrocortisone, Stanford Med. Bull., 6, 15 (1958) 

  12. S. Sato and K. Maehara, Anti -inflarn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benzy-damine on thermal inflammation, J. Osaka. Dent. Univ., 1, 37 (1967) 

  13. S. M. Han, K. G. Lee, J. H. Yea, and H. Y. K wean, Anti -inflammatory effect of the vanom from asian honeybees (Apis cerana L.)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Raw 264.7 cell line, Korean J. Apiculture, 19, 89 (2004) 

  14. E. S. Lee, H. K. Ju, T. C. Moon, E. Lee, Y. Jahng, S. H. Lee, J. K. Son, S. H. Baek, and H. W. Chang,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lpha)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 (NF)kappa B activation in cultured murine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7, 617 (2004) 

  15. Y. C. Liang, Y. T. Huang, S. H. Tsai, and S. Y. Lin-Shiau, Suppress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apigenin and related flavonoids in mouse macrophages, Carcinogenesis, 20, 1945 (1999) 

  16. H. M. Shin, M. H. Kim, B. H. Kim, S. H. lung, Y. S. Kim, H. J. Park, J. T. Hong, K R. Min, and Y. Kim, Inhibitory action of novel aromatic diamine compound on lipopolysaccharide induced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without affecting I kappaB degradation, FEBS, 30, 5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