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ESLI 참여를 위한 패키지형 전자저널의 평가요소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Evaluation Factors for Package-Type E-Journal Selection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4, 2006년, pp.49 - 67  

김홍렬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KESLI 참여기관이 패키지형 전자저널을 구독하는 데 도움을 주고, 패키지형 전자저널의 선정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평가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나온 전자저널의 선정기준들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KESLI 참여기관의 구체적인 전자저널 평가요소를 출판사나 대행사에서 제시한 컨소시엄 참여 제안서와 계약 및 구독조건을 토대로 선정하고자 한다. 그 결과 전자저널 평가요소로 10개의 평가범주에 따른 34개의 세부 평가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평가요소는 개별 도서관이 새로운 패키지형 전자저널을 선정하거나 구독중인 전자저널 패키지의 계속구독 여부를 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factors that its impact on subscription of the package type e-journal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factors to select the package-type electronic journal are discussed through preceded research literatures, and presented the factors for subscript...

주제어

참고문헌 (12)

  1. 김신정, 이창수. 2004. 대학도서관의 외국학술지 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평가지표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1(2): 45-67. 

  2. 김혜련. 2000.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배금표. 2000. 전자잡지의 평가요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7: 95-100. 

  4. 윤만영. 2004. 대학도서관 전자저널의 수집과 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5. 윤희윤. 2003. 디지털 장서관리의 패러독스 분석. 한국비블리아, 14(1): 5-24. 

  6. 이하범. 2003. 전자저널 선정을 위한 평가방법 연구. 한국비블리아, 14(1): 79-90. 

  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4. 해외 핵심정보자원 개발.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 Brody, Fern Elise. 2001. Planning for the balance between print and electronic journals in the hybrid digital library: lessons learned from large ARL librari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9. Hall, Barbara. 1997. Management and integration of electronic journals into the serials department. In Advances in Serials Management 6. Greenwich: JAI Press 

  10. KESLI. 컨소시엄의 소개. [인용 2006. 10. 10]. . 

  11. Nabe, Jonathan. 2001. E-journal building and its impact on academic libraries: some early result.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30(spring). 

  12. Nisonger, Thomas E. 1998. Management of Serials in Libraries. 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