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ESLI 컨소시엄의 주요 이슈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in Issue Analysis of the KESLI Consortium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40 no.3, 2009년, pp.99 - 123  

김정환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응봉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KESLI 컨소시엄의 핵심 포인트는 참가기관의 참여도를 높여 응집력과 신뢰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출판사의 지속적인 가격인상에 공동으로 대처하고, 국내 각급 기관에 분산 소장된 학술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참가기관에 실익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컨소시엄 참가기관이 공통적으로 적용받을 수 있는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컨소시엄 운영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전제로써 문헌연구, 설문지 조사와 패널토론을 통해 컨소시엄 참가기관의 전체의견을 수렴하여 KESLI 컨소시엄의 당면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re point of the KESLI consortium raises the participation score of the joining institute and improves the cohesive force and reliability to cope with prices continued rising of publishers, commonly and gives the actual profit to the joining institute by providing the base able to utilize the a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ESLI 컨소시엄의 핵심 포인트는 무엇인가? KESLI 컨소시엄의 핵심 포인트는 참가기관의 참여도를 높여 응집력과 신뢰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출판사의 지속적인 가격인상에 공동으로 대처하고, 국내 각급 기관에 분산 소장된 학술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참가기관에 실익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컨소시엄 참가기관이 공통적으로 적용받을 수 있는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컨소시엄 운영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전제로써 문헌연구, 설문지 조사와 패널토론을 통해 컨소시엄 참가기관의 전체의견을 수렴하여 KESLI 컨소시엄의 당면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인쇄에서 전자매체로 변화함에 따라 이용자들 어떤 혜택을 제공받았는가? 전자저널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서관은 전자저널의 구입 비중을 점차 늘려가고, 연구자들은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보다 쉽고 빠르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자저널은 학술커뮤니케이션에서 보편적인 정보획득 수단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인쇄에서 전자매체로 변화함에 따라 이용자들은 인쇄저널 환경에서는 기대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정보생산자, 제작자, 배포자 등의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는 경제성, 편리성, 효율성 등의 혜택을 제공하였다.
KESLI 컨소시엄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KESLI는 컨소시엄 주관기관인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KISTI), 전자정보 콘텐트를 제공하는 공급사와 대행사, 컨소시엄 참가기관 및 운영 위원회3)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성진, 정은경, 한민혜. 2008. 전자저널 컨소시엄을 둘러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쟁점과 대응 동향. 정보관리연구, 39(1): 27-52. 

  2. 신은자. 2001. 전자저널의 가격모형과 가격책정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151-170. 

  3. 신은자. 2007. 학술지 빅딜판매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73- 389. 

  4. 이소연 등. 2007. KESLI 효율성 분석을 통한 미래형 컨소시엄 운영모형 개발연구.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 전혜영, 박수희. 2008. 전자저널 컨소시엄의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연구. 정보관리연구, 39(1): 53-82. 

  6. 한혜영, 조현양. 2003. 해외학술 전자정보의 국가적 컨소시엄 정책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97-120. 

  7. 황옥경. 2004. 전자저널 라이선스 계약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199-228. 

  8. KESLI. 2009. KESLI 전자정보 포럼 패널토론. 2009년 4월 16일. [대명리조트 부안: 대명콘도]. 

  9. ARL. 2008. ARL Statistics 2006-07.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cited 2009. 08. 10]. . 

  10. ARL's Principles for Licensing Electronic Resources. [cited 2009. 08. 10]. . 

  11. Consortium Purchasing Directory. 2009. Edition IV. Frontline Global Marketing Services. 

  12. Chandra Prabha. 2007. “Shifting from Print to Electronic Journals in ARL University Libraries.” Serials Review, 33(1): 4-13 

  13. CRKN Evaluation Committee. 2004. Impact of the Canadian National Site Licensing Project: a report to partners and stakeholders. [cited 2009. 08. 10]. . 

  14. Gargiulo, P. 2003. “Electronic journals and users: the CIBER experience in Italy.” The Serials, 16(3): 293-298. 

  15. Hawker, A. C. and C. K. Wagner. 1996. “Periodical Ownership versus Full -text Online Access: a Cost-Benefit Analysi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2(2): 105-109. 

  16. Hockx-Yu, H. 2006. “Digital Preservation 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0(3): 232-243. 

  17. Kurata, K., M. et al. 2007. “Electronic Journals and their unbundled functions in scholarly communication: Views and utilization by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medical researchers in Jap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3: 1402- 1415. 

  18. Nicholas, D., P. Huntington, H. R. Jamali and C. Tenopir. 2006. “What deep log analysis tells us about the impact of big deals: case study OhioLINK.” Journal of Documentation, 62(4): 482-508. 

  19. Rabiee. Fatemeh. 2004.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63: 655-660. 

  20. Research Information Network(RIN). 2006. “UK Scholarly Journals: 2006 Baseline Report; An Evidence-based Analysis of Data Concerning Scholarly Journal Publishing.” 

  21. Tattersall, Marion. 2003. “Big deals: reflections on electronic journal acquisition 1996-2003,” Serials, 16(2): 201-2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