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2형 당뇨 마우스에서 솔잎 추출용액의 경구투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솔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생산한 솔잎 추출용액을 2형 당뇨 마우스인 db/db mice에게 투여하여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30{\sim}40g$정도의 6주령 수컷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b) mice(SPF)를 음성대조군(corn oil), 솔잎 추출용액 저용량군(112.5 mg/kg), 고용량군(450 mg/kg) 및 양성대조군(metformin 150 mg/kg)의 4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6주 사육기간 동안 혈당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매주 1회씩 6시간 공복 시 미정맥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6주 실험종료 후 모든 동물은 희생시킨 후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당화혈색소(HbAlc), 혈청 인슐린, C-peptide 및 leptin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이섭취량은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고, 1일 1마리당 평균섭취량은 고용량군이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은 군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간 무게와 상대적 간 무게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당은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실험개시 3주부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종 혈당은 저용량과 고용량군 모두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용량 의존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당화혈색소의 함량 역시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과 C-peptide농도는 솔잎 추출용액의 투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솔잎 추출용액이 인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청 leptin 농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음성대조군에 비해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당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으로 leptin과 관련된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사용한 112.5 mg/kg 및 450 mg/kg의 솔잎 추출용액은 6주 경구투여 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인슐린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이 인슐린의 감수성이나 저항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가 앞으로 솔잎 추출용액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il against type 2 diabetes. Six-week-old male C57BL/Ks(db/db)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negative control, pine needle extract oil low dose, high dose and positive control groups, which fed daily for 6 weeks with corn oil, pine needle extract oil 112.5 mg/kg, 450 mg/kg or metformin (150 mg/kg ), respectively.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pine needle extract oil resulted in the significant and dose-dependent decreases of blood glucose levels in comparison with corn oil treatment. The levels of HbAlc showed a tendency of the decrease by the high dose treatment of the pine needle extract oil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lood glucose levels (r=0.5046, p=0.0023) . However, the levels of serum insulin and C-peptide were not affected by pine needle extract oil or metformin treatments. The levels of serum leptin, which is related with the insulin sensitivity, showed a tendency of the increases by pine needle extract oil treatment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blood glucose levels (r=-0.4754, p=0.0052).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ine needle extract oil have a potential for the oral anti-hyperglycemic agent and the mode of action may be 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insulin sensitivity through blood leptin.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 2형 당뇨의 대표적인 동물모델인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b) mice를 이용하여 솔잎을 수증기 증류 장치로 농축 증유한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조절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 2형 당뇨의 대표적인 동물모델인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b) mice를 이용하여 솔잎을 수증기 증류 장치로 농축 증유한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조절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혈당 관련 지표인 혈당, 당화혈색소(HbAlc)와 인슐린관련 지표인 혈중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관련된 작용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솔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생산한 솔잎 추출용액을 2형 당뇨 마우스인 db/db mice에게 투여하여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솔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생산한 솔잎 추출용액을 2형 당뇨 마우스인 db/db mice에게 투여하여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30-40 g정도의 6주령 수컷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h)mice(SPF)를 음성대조군(com oil), 솔잎 추출용액 저 용량군(112.

  • 이를 위하여 혈당 관련 지표인 혈당, 당화혈색소(HbAlc)와 인슐린관련 지표인 혈중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관련된 작용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혈당 관련 지표인 혈당, 당화혈색소(HbAlc)와 인슐린관련 지표인 혈중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관련된 작용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 ±SD.

    21Number of animals. 3)Values are mean±SD. 4)Not significant.

  • 3)Values are mean±SD.

    21Number of animals. 3)Values are mean±SD. 4)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eaths and Death rates) 
  2. 2. Coulston AM, Hollenbeck CB. 1988. Source and amount of dietary carbohydrate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op Clin Nutr 3: 17-24 
  3. 3. Zeman FJ. 1991. Clinical Nutrition and Dietetics. 2nd ed.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a division of Macmillan, Inc., New York. p 398-403 
  4. 4. King H, Rewers M. 1993. WHO Ad Hoc Diabetes Reporting Group: Global estimates for preve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adults. Diabetes Care 16: 157-177 
  5.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hronic Diseases 
  6. 6. Kim YS, Chun JH, Park JH, Kang CI. 2000. Status and associating factor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Korean diabetic patients. J Kor Diabetes Asso 24: 78-89 
  7. 7. Koh JB, Kim JY. 2002. Effect of Okcheonsan on blood glu-cose, lipid and protein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femal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84-289 
  8. 8. MBC. 1988. Hankook minganyobobdaejeun. Kumbk pub. Co., Seoul. p 21-25 
  9. 9. Lee E. 2003. Effects of powdered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on serum and liver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ed high oxidized f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26-930 
  10. 10. Kada T, Namidi M. 1981. Enviromental mutagenesis and plant biology. In Environmental Desmutagens and Anti-mutagens. Klekowski EJ, ed. Praeger, New York. p 134- 151 
  11. 11. Hsu TY, Sheu SC, Liaw ET, Wang TC, Lin CC.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 of Pinus morrisonicola Hay. on the survival of leukemia cell line U937. Phytomedicine 12: 663-669 
  12. 12. Shin YC, Jeon YJ. 2003. Hypoglycemic effect of pinitol isolated from soybean. Food Sicence and Industry 36(1): 56- 60 
  13. 13. Bates SH, Jones RB, Bailey CJ. 2000. Insulin-like effect of pinitol. Br J Pharmacol 130: 1944-1948 
  14. 14. Park IS. 2004. Blood glucose related efficacy test: The efficacy test guideline for health functional food (I).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 179-215 
  15. 15. Davidson M, Peters A. 1997. An overview of metformin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m J Med 102: 99-110 
  16. 16. Tang T, Reed MJ. 2001. Exercise adds to metformin and acarbose efficacy in db/db mice. Metabolism 50: 1049- 1053 
  17. 17. Koerner A, Lratzsch J, Kiess W. 2005. Adipocytokines: leptin-the classical, resistin-the controversical, adiponectin- the promising, and moreto come.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19: 525-546 
  18. 18. Morton GJ, Gelling RW, Niswender KD, Morrison CD, Rhodes CJ, Schwartz MW. 2005. Leptin regulates insulin sensitivity via phosphatidylinositol-3-OH kinase signaling in mediobasal hypothalamic neurons. Cell Metabolism 2: 411-420 
  19. 19. White CL, Ishihara Y, Dotson TL, Hughes DA, Bray GA, York DA. 2004. Effect of a $\beta$ -3 agonist on food intake in two strains of rats that differ in susceptibility to obesity. Physiol Behav 82: 489-496 
  20. 20. Krishnamurti U, Steffes MW. 2001. Glycohemoglobin: a primary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r reversal of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Clin Chem 47: 1157-1165 
  21. 21. Cundiff DK, Nigg CR. 2005. Diet and diabetic retinopathy: insights from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ication Trial (DCCT). MedGenMed 7(1): 3 
  22. 22. Glodstein DE, Little RR, Wiedmeyer HM, England JD, McKenzie EM. 1986. Glycated hemoglobin: methodolog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Clin Chem 32: B64-B70 
  23. 23. Bunn HF. 1981. Nonenzymetic glycosylation of protein: relevance to diabetes. Am J Med 70: 325-330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