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Composites Containing Medicinal Plant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8 = no.88, 2007년, pp.1135 - 1140  

조희숙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신정혜 (남해전문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강민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조현소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현지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 활성이 높은 한약재 10종을 대상으로 9종의 조성물(PM-A-PM-I)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약재 조성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모든 실험군에서 70%이상이었으며, 조성물 중 PM-D, PM-E 및 PM-F가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환원력도 전자공여능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Hydrox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PM-D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M-E였 다. Linoleic acid 에 대한 자동산화 억제능은 PM-A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5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M-E, PM-F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선복화가 첨가된 PM-D, PM-E, PM-F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9종의한약재 조성물의 항산화활성은 첨가된 한약재의 종류가 유사하였으나 PM-D, PM-E, PM-F 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것은 선복화의 작용이 컸던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한약재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간의 시너지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posites(PM-A-PM-I) of 9 groups containing 7 kinds of hot water extracted medicinal plants were produced and evaluated its antioxidative activity. Each medicinal plants used these composites were analyzed in primer research that its anti oxidative activity was high. In the composites of med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 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선행 연구[9] 결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한약재를 선별하였으며, 이를 혼합하여 제조한 한약재 조성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비교 . 분석하므로써 기능성 식품개발에 적용하기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선행 연구[9] 결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한약재를 선별하였으며, 이를 혼합하여 제조한 한약재 조성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비교 . 분석하므로써 기능성 식품개발에 적용하기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2)Mean+SD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2

    2)Mean±SD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anen, A. 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 and butylated hydroxy toluene. JAOCS 52, 59-63.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 Dong, S., S. H. Jung, J. S. Moon, S. K. Rhee and J. Y. Son.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clove by extraction solv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09-613. 

  4. Fang, Y. Z., S. Yanga and G. Wu. 2002. Free radical, antioxidant and nutrition. Nutr. 18, 872-879. 

  5. Fridor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1. 

  6. Gordon, M. 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pp. 1-18. In Food Antioxidant. Hudson, B. J. 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New York. 

  7. Gutteridge, J. M. 1984. Reactivity of hydroxyl and hydroxyl 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ucleosides and benzoate. Biochem. J. 224, 761-767. 

  8. Hammerschmidt, P. A. and D. E. Pratt. 1978. Phenolic antioxidants of dried soybeans. J. Food Sci. 43, 556-559. 

  9. Ju, J. C., J. H. Shin, S. J. Lee, H. S. Cho and N. J. Sung.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10. Jung, S. J., J. H. Lee, H. N. Song, N. S. Seong, S. E. Lee and N. I. Baek.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11. Kato, H., I. E. Lee, N. V. Chuyen, S. B. Kim and F. Hayase.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 Chem. 51, 1333-1338. 

  12. Kim, D. S., B. W. Ahn, D. M. Yeum, D. W. Lee, S. T. Kim and Y. H. Park.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13.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4. Kim, J. H., B. H. Kang and J. M. Jeong.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 and chemopreventive activities of a phyto-extract mixture derived from various vegetables, fruits and oriental herbs. Food Sci. Biotechnol. 12, 631-638. 

  15. Kim, J. P., I. J. Chon, H. K. Cho, I. H. Ham and W. K. Whang. 2004.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 J. Pharmacogn. 35, 98-103. 

  16. Kim, K. D. 2004.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plant on antioxidation and ultraviolet rays absorption. J. Kor. Soc. Cosm. 10, 145-153. 

  17. Kim, S. M., Y. S. Cho, E. J. Kim, M. J. Bae, J. P. Han, S. H. Lee and S. K. Sung. 1998. Effect of water extracts of Salvia miuorrhiza Ege. Prim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39-405. 

  18. Lee, J. M. and M. S. Ahn. 1997. A study 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ea extract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567-572. 

  19. Lee, J. M., S. H. Lee and H. M. Ki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al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50-56. 

  20. Lee, S. E., N. S. Seong, J. K. Bang, C. G. Park, J. S. Seong and J. Song. 2003.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medicinal plan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27-134. 

  21. Lee, S. H., I. J. Hong, H G. Park, S. S. Jew and K. T. Kim. 2003.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barley leaves and its antioxidant mixture. - Study on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33-337. 

  22. Nam, S. H. and M. Y. Kang. 2000. Screening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23. Oh, S. I. and M. S. Lee.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seven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24. Osawa, T. 1981. A novel type of antioxidant isolated from leaf was of Eucalyptus leaves. Agric. Biol. Chem. 45, 735-739. 

  2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26. Yang, M. S., Y. L. Ha, S. H. Nam, S. U. Choi and D. S. Jang. 1995. Screening of domestic plan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J. Korean Agric. Chem. 38, 584-5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