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루와인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Wild Grape(Vitis coignetiea) Win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1, 2011년, pp.68 - 73  

박현실 (영남대학교 식품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머루와인의 pH는 $3.7{\pm}0.1$, 총 안토시아닌 함량$4.3{\pm}0.3$, 색도는 $10.2{\pm}0.8$이었으며, 총 페놀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8.8{\pm}3.9$ mg/100 g, $0.5{\pm}0.2$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총 10종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K의 함량이 $5.3{\pm}0.2$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u}L/mL$의 농도에서 $90.4{\pm}1.8%$로 가장 활성이 뛰어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1,000 ${\mu}L/mL$일 때 환원력은 0.932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의 조건일 때 1,000 ${\mu}L/mL$의 농도에서 $76.3{\pm}1.3%$로 가장 뛰어난 소거능을 보였다. 머루와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험 결과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anthocyanin and color intensity contents of wild grape wine were $4.3{\pm}0.3%$ and $10.2{\pm}0.8%$,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 in wild grape wine were $18.8{\pm}3.9$ mg/100 g, $0.5{\pm}0.2$ mg/100 g, respectively.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머루와인의 이화학적인 성분과 항산화능평가 및 발암성 nitrosamine의 전구물질로 알려진 아질산염의 소거활성을 검토하여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주류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 머루주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머루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머루(Vitis coigneatiae)는 넝쿨성 목본식물로 한국, 일본 등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머루 가공품 생산을 위해 머루를 재배하는 농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머루는 보통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 사이에 수확하는 유용 과실 중의 하나로서, 당 함량이 높고,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칼슘, 인 철분 등의 무기물, 안토시아닌 등의 색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매우 유용한 과실이다(Huang et al 2001). 그러나 과육 부분이 적고 과피가 약해 식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장기간 저장 시 퇴색되며, 향이 약해져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음료나 주류로 개발하여 농가 소득 증대와 국민 건강 증진에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머루는 보통 언제 수확하는가? 머루(Vitis coigneatiae)는 넝쿨성 목본식물로 한국, 일본 등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머루 가공품 생산을 위해 머루를 재배하는 농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머루는 보통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 사이에 수확하는 유용 과실 중의 하나로서, 당 함량이 높고,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칼슘, 인 철분 등의 무기물, 안토시아닌 등의 색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매우 유용한 과실이다(Huang et al 2001). 그러나 과육 부분이 적고 과피가 약해 식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장기간 저장 시 퇴색되며, 향이 약해져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음료나 주류로 개발하여 농가 소득 증대와 국민 건강 증진에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머루가 식용에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머루는 보통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 사이에 수확하는 유용 과실 중의 하나로서, 당 함량이 높고,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칼슘, 인 철분 등의 무기물, 안토시아닌 등의 색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매우 유용한 과실이다(Huang et al 2001). 그러나 과육 부분이 적고 과피가 약해 식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장기간 저장 시 퇴색되며, 향이 약해져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음료나 주류로 개발하여 농가 소득 증대와 국민 건강 증진에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머루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개량 머루주의 감산에 관한 연구(Kim SK 1996), 머루즙과 머루주의 이화학적 분석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Choi et al 2006), 산머루 와인의 최적 발효 조건에 관한 연구(Kim et al 2007) 및 숙성기간에 따른 머루와인의 품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Kang et al 2009) 등이 있으며, 머루주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eon KB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 from Vitis coignetiea, Vitis vinifera L. and compariti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aster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2. Choi SY, Cho HS, Kim HJ, Ryu CH, Lee JO, Sung N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Korean J Food & Nutr 19: 311-317. 

  3. Chung MJ, Shin JH, Lee SJ, Hong SK, Kang HJ, Sung NJ (1998) Chemical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q.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37-443. 

  4.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Parks E,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 in red wine. Lancet 34: 454-457. 

  5. Francene MS, Monica MB, Carl LK (2003) Cocoa and chocolate flavonoids: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health. J. Am Dietetic Assoc 103: 215-223. 

  6. Gordon MF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B. J. F. Hudson, Food Antioxidants. London: Elsevier Applied Science 1-18. 

  7.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8. Guti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s. JAOCS. 58, p 966. 

  9. Huang KS, Lin M, Chen GF (2001) Anti-inflammatory tetramers of resveratrol from the roots of Vitis amurensis and the conformations of the seven-membered ring in some oligostilbenes. Phytochem 58: 357-362. 

  10. Husain SR, Gillard J, Cullard P (198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ids. Phytochem 26: 2489-2491. 

  11. Juliano BO (1985)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2ed ed. Juliano BO. ed. AACC. Minnesota. 

  12. Jung MS, Lee GS, Chan HJ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67-71. 

  13. Kang BT, Yoon OH, Lee JW, Kim SH (2009) Qualitative properto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Korean J Food & Nutr 22: 548-553. 

  14.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in Korean). Korean Food Sci Technol 28: 232-239. 

  15. Kim EJ, Kim YH, Kim JW, Lee HH, Ko YJ, Park MH, Lee JO, Kim YS, Ha YL, Ryu CH (2007)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6-370. 

  16. Kim NY, Choi JH, Kim YG, Jang MY, Moon JH, Park GH, Oh DH (200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ethanol extract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09-113. 

  17. Kim OH, Kim ES (2003)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 of calcium-fortified food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6-101. 

  18. Kim SM, Kim KH, Ahn J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of plant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3-632. 

  19. Kim SK (1996) Deacidification of new wild grape wine. Korean J Food & Nutr 9: 265-270. 

  20. Kim SY, Kim SK (1997) Wine making from new wild garpe. Korean J Food and Nutr 10: 254-262. 

  21.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22. Lee JE, Won YD, Kim SS, Koh KH (2002a)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51-156. 

  23. Lee JE, Shin YS, Kim SS, Koh KH (2002b) Study on the color chara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4. Lee YC, Hwang HJ, Oh SS (2002) Antioxidantive properties of grape seeds extract. Food Engineering Progress. 6: 165-171. 

  25. Morris JR, Sistrunk WA, Junek J, Sims CA (1986) Effect of fruit maturity, juice storage, and juice extraction temperature on quality of 'Concord' grape juice. J Amer Soc Hort Sci 111: 742-746. 

  26.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ournal of Nutrition 44: 307-315. 

  27. Record IR, Lane JM (2001) Simulated intestinal digestion of green and black teas. Food Chem 73: 481-486. 

  28. Takahara U (1985) Inhibition of lipoxygenase-dependent lipid peroxidation by quercetin. Phytochem 24: 1443-1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