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요구
An Intensive Interview Study on the Process of Scientists'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6 no.1, 2006년, pp.88 - 98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수 (한국교원대학교) ,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  허명 (이화여자대학교) ,  오창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들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저명한 과학학술지에 세계적 수준의 논문을 3회 이상 발표한 과학자 중 연구에 적합한 과학자 4명을 선정했다. 그리고 이 과학자들이 발표한 최근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과학지식 생성 과정을 전체적으로 기술했고, 심층 면담을 통해 지식 생성 과정의 세부 과정을 추가하여 프로토콜을 완성했다. 이렇게 완성된 프로토콜을 인지 과정 모형화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학자들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은 크게 귀납적 과정, 귀추적 과정, 연역적 과정으로 구분된다. 먼저 귀납적 과정은 단순 관찰과 조작 관찰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작 관찰은 '의문 생성 $\rightarrow$ 추측/예측 $\rightarrow$ 조작방법 설계 $\rightarrow$ 조작 $\rightarrow$ 단순 관찰' 등의 하위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귀추적 과정은 의문 생성 과정과 가설 생성 과정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가설 생성 과정은 '사실 인식 $\rightarrow$ 경험상황표상 $\rightarrow$ 원인적설명자 동정 $\rightarrow$ 원인적설명자 차용 $\rightarrow$ 가설적설명자 조합 $\rightarrow$ 가설 확인' 등의 하위 과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연역적 과정은 방법 및 기준 고안 과정과 가설 평가 과정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방법 및 기준 고안 과정은 '경험검증상황 표상 $\rightarrow$ 경험 검증방법 표상 $\rightarrow$ 경험검증방법 차용' 등의 하위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설 평가는 결과 수집 과정과 가설 평가 및 결론 진술 과정을 포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scientists'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by employing four creative scientists as participants. Raw protocols were collected by an intensive interview method and then analyzed by a psychological modelling procedure. The present study showed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과학자 A의 프로토콜은 크게 귀납, 귀추, 연역적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절에서 이상의 세 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 과정들을 다른 과학자들의 프로토콜과 함께 논의했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에 따라,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을 연구하고자 했다. 즉, 과학자들이 작성한 연구 논문과 지식 생성 과정에 대해 심층적인 면담을 실시하여, 과학자들이 어떻게 관찰하고 연구 문제를 떠올리며, 가설과 검증을 위한 지식들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들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저명한 과학학술지에 세계적 수준의 논문을 3회 이상 발표한 과학자 중 연구에 적합한 과학자 4명을 선정했다.
  • 즉, 과학자들이 작성한 연구 논문과 지식 생성 과정에 대해 심층적인 면담을 실시하여, 과학자들이 어떻게 관찰하고 연구 문제를 떠올리며, 가설과 검증을 위한 지식들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가설 설정

  • 10. 가설 확인 쓰레기통 같은데 콜라 같은 게 있으면 거기에 벌들이 굉장히 많이 있거든요. 이것은 사과의 경우와 약간 다르게 해석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야외에서 일어나는 집단 포식을 관찰하면서 리쿠르트먼트(recruitment) 메커니즘이 있다는 나름대로의 확신에 가까운 느낌을 그 때 가쳤었고.
  • 관한 인과적의문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의문에 대한 가설을 생성하기 위해서 이 과학자는 “새들이 겨울철에 군집을 지어 다닌다는 것..., 곤충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과 같이 유사한 경험상황을 표상했으며, 이 중 저해 페로몬이라는 원인적 설명 자를 차용하여, 냄새가 도롱뇽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생성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2. 권용주, 고경태, 정진수 (2003a). 생물학 가설의 검증에서 연역적 과학지식의 구조와 생성 과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3), 236-245 

  3. 권용주, 박윤복, 정진수, 양일호 (2004). 과학적 규칙성 지식의 생성 과정: 경향성 지식의 생성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3(1), 61-73 

  4.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5.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b).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6.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c).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7. 권용주, 최상주, 박윤복, 정진수 (2003d).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86-298 

  8. 매일경제지식부, 한숭희 (2000). 학습혁명보고서.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9. 박종원 (1998). 과학활동에서 연역적 사고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17 

  10. 정진수 (2004). 과학적 가설 생성에 대한 삼원 귀추 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Adey, P., Askoko, H., & Black, P. (1994). 1994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mplication of Research on Children's Learning of Science, a report to SCAA. London: King's College 

  12. Anderson, D., & Biddle, B. (Eds.) (1991). Knowledge for policy: Improving education through research. London: Falmer 

  13. Clarkson, S. G., & Wright, D. K. (1992). An appraisal of practical work of in science education. School Science Review, 74(266), 39-42 

  14. Darian, S. (1995). Hypotheses in introductory science texts.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33(2), 83-109 

  15. Fischer, H. R. (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Foundations of Science, 6, 361-383 

  16. Germann, P. J., & Odom, A. L. (1996). Student perform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s, and form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 Mathematics, 96(4), 192-201 

  17. Hackling, M. W., & Garnett, P. J. (1995).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science investigation skills.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1(4), 80-86 

  18.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Harwood, W. (2004). An activity model for scientific inquiry. The Science Teacher, 71(1), 44-46 

  20. Hempel, C. C. (1966).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1. Hodson, D. (1992). Redefining and reorientating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3(264), 65-78 

  22. Holland, J. H., Holyoak, K. J., Nisbett, R. E., & Thargard, P. R. (1986). Induction: Processes of Inference, Learning, and Discovery. Cambridge, MA: MIT Press 

  23. Kerr, N. L. (1998). HARKing: Hypothesizing after the results are know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3), 196-217 

  24. Klahr, D., & Dunbar, K. (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25. Klauer, K. J., & Phye, G. D. (1994). Cognitive Training for Children: A Developrnental Program of Inductive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Seattle, WA: Hogrefe & Huber 

  26. Laudan, L. (1977). Progress and its problems. Berkel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8. Lawson, A. E. (2000). The generality of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making scientific thinking explicit.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2(7), 482-495 

  29. Lawson, A. E. (2002). What does Glalileo's discovery of Jupiter's moons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scientific discovery? Science & Education, 11, 1-24 

  30. Lazarowitz, R., & Tamir, R. (1994). Reses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94-128). New York: Macmillan 

  31. Leach, J., & Scott, P. (1995). The demands of learning science concepts - issues of theory and practice. School Science Review, 76(277), 47-51 

  32. Losee, J. (2001).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philosophy of science (4th E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3. Martin, M. (1972). The concepts of science education. Scott, Foresman and Company 

  34. McPherson, G. R. (2001). Teaching & learning the scientific method.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3(4), 242-245 

  35. Njoo, M, & de Jong, T. (1993). Exploratory learning with a computer simulation for control theory: Learning processes and instructional suppor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 821-844 

  36. Peter, S. (1992). Children's language and assessing their skill in formulating testable hypotheses.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8(1), 73-86 

  37. Popper, C. (1963). Conjectures and Refutation. NY: Basic Books 

  38. Qualter, A, Strang, J., & Swatton, P. (1990). Explanation- a Way of Learning Sciecne. Oxford: Blackwell 

  39. Ross, W. D. (1949). Aristotle's prior an posterior analytic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0. Sternberg, R. J., & Gardner, M K. (1983). Unities in inductive reaso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2(1), 80-116 

  41. Tosteson, J. L. (1997). The scientific world vi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science education: Closing the gap between knowledge-generation and knowledge-consump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6(4), 273-284 

  42. van Someren, M. W., Barnard, Y. F., & Sandberg, J. A. C (1994). The think aloud method: A practical guide to modeling cognitive processe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3. Watson, R. (2000). The role of practical work. In M Monk & J. Osborne (Eds.).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57-71 

  44. Woolnough, B. E. (1994). Why students choose physics, or reject it. Physics Educationm, 29, 368-374 

  45. Woolnough B. E. (1995). Switching students onto science. British Council Science Education Newsletter, London 

  46. Yang, I. H. (2003). A study on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in solving pendulum task.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4), 430-441 

  47. Yang, I. H., Kwon, Y. J., Kim Y. S., Jang, M. D., Jeong, J. W. & Park, K. T (2002). Effects of students' prior knowledge on scientific reasoning in densi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2). 215-2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