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on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by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8, 2010년, pp.1002 - 1016  

김영민 (부산대학교) ,  문지선 (성동중학교) ,  박정숙 (분성여자고등학교) ,  임길선 (미국 Steinmetz Academic Center)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양성기관에서 과학교사교육을 받고, 교직 경력이 5년 이상인 경력 과학교사들과 교육현장에 처음 입문한 초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과학교사양성과정이 과학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양성과정에 대해 경력 과학 교사들과 초임 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경력과학교사 5명과 초임 과학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내용학에 대해 과학 교사들은 과학 지식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식 수업, 교과서와 실험 도구 중심의 수업 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집단 중심의 수업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상호작용적 강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내용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학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과학 교수법 전달의 수업 목표, 수업 시연, 조별 협동학습, 발표 등의 다양한 수업 전략, 컴퓨터 프로그램, 시범 자료, ICT등의 다양한 수업 자료, 지필 평가, 프로젝트 수행, 발표 및 수행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 소집단과 대 집단의 혼용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흥미로운 자료 사용, 다양한 질문법, 협동학습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과학내용학과 마찬가지로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초임교사들이 좀 더 다양한 수업 전략 및 교수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래서 그런지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교육학 과정에 대해 경력 교사는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초임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학이 자신들의 수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대체로 좋은 모델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은 교수들이 교과교육학을 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셋째, 일반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교육학 이론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와 발표식 수업, 교과서 중심의 수업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 집단 중심의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와 일화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소집단 토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일반 교육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과학 내용학과 일반 교육학 과정은 과학 교사 양성에 걸맞는 상당한 변화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eginner and experienced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from which they graduated, and to compare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For the study, interview q...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학은 무엇인가? 그러나 과학교사가 가져야 할 지식은 전공 과학자가 가져야 할 지식과는 성격이 다른데 좁은 영역의 지식을 깊이 알기 보다는 학문 전체에 걸쳐 넓은 지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권재술, 1999). 과학교육학은 교과교육학지식(PCK)으로 과학 교과지식을 조직하고 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이 많은 교사일수록 과학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자기효능감 및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 수준이 높고, 다양한 교수법을 사용하며,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이라는 연구 결과(박성혜, 2003; 2006)는 과학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과학교육학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과학 교사의 전문성과 교양을 갖추기 위한 과학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과학 교사의 전문성과 교양을 갖추기 위한 과학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는 과학내용학, 과학교육학, 일반교육학, 그리고 일반교양으로 범주를 나눌 수 있다. 과학 내용을 안다는 것은 과학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일차적인 요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과학 내용에 대한 지식(SMK)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과학교사양성기관에서 과학교사교육을 받고, 교직 경력이 5년 이상인 경력 과학교사들과 교육현장에 처음 입문한 초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과학교사양성과정이 과학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내용학에 대해 과학 교사들은 과학 지식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식 수업, 교과서와 실험 도구 중심의 수업 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집단 중심의 수업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상호작용적 강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내용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학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과학 교수법 전달의 수업 목표, 수업 시연, 조별 협동학습, 발표 등의 다양한 수업 전략, 컴퓨터 프로그램, 시범 자료, ICT등의 다양한 수업 자료, 지필 평가, 프로젝트 수행, 발표 및 수행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 소집단과 대 집단의 혼용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흥미로운 자료 사용, 다양한 질문법, 협동학습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과학내용학과 마찬가지로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초임교사들이 좀 더 다양한 수업 전략 및 교수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래서 그런지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교육학 과정에 대해 경력 교사는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초임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학이 자신들의 수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대체로 좋은 모델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은 교수들이 교과교육학을 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셋째, 일반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교육학 이론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와 발표식 수업, 교과서 중심의 수업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 집단 중심의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와 일화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소집단 토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일반 교육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과학 내용학과 일반 교육학 과정은 과학 교사 양성에 걸맞는 상당한 변화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2. 곽영순(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 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3. 권재술(1999). 과학 교사 양성의 개선 방안. 한국교사교육, 16(1), 91-110. 

  4.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이효녕, 김영신, 오희진 (2009).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교사교육연구, 48(3), 33-58. 

  5. 김종희, 이기영(2006).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 양성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90-400. 

  6. 박경영, 김영민(2009). 물리 전공이 아닌 중학교 과학교사들의'힘과 운동'내용 지식 영역의 전문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10-922. 

  7.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8.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가 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9. 박윤배(1992), 현직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 교사교육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03-118. 

  10. 박승재(1978), 과학교육과 교육과정 계획의 한 모형, 과학교육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 89-102. 

  11. 박승재 등(1996).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 연구. 교육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12.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13.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 (2005).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서울: 북스힐. 

  14. 오원근, 김재우(2006). 물리 전공이 아닌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빛과 파동 개념. 새물리, 52(6), 512-520. 

  15. 장언효(2001).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논총, 21(1), 65-79. 

  16.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 (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17. 진여울(2004). 예비과학교사들의 구성주의 신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De Jong, O., Korthagen, F., & Wubbles, T. (1998). Research on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Europe: teacher thinking and conceptual change. In B. Fraser and K.G. Tobin(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pp. 745-758),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3). Preservice biology teachers'knowledge structure as a function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A year-long assessment. Science Education, 77, 25-45. 

  20.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5) Biology teachers'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structure and its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301-325. 

  21. Grossman, P.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2. Haidar, A. (1997) Prospective chemistry teachers'conceptions of the conservation of matter and related concep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2), 181-197. 

  23. Koballa, T., Graber, W., Coleman, D.C., & Kemp, A.C. (2000). Prospective gymnasium teachers'conceptions of chemistry learning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2), 209-224. 

  24. Lederman, N.G., Gess-Newsome, J., & Latz, M.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25.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s College.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27. Selly, N.J. (2001). Students'spontaneous use of a particulate model for dissolu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 389-402. 

  28.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1, 1-22. 

  29. Smith, D.C. (1999). Changing our teaching: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In J. Gess-Newsome & N.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163-197).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0. Tillotson, J. W. & Seltzer, G. (2004). Investigating the Meaningfulness of Preservice Programs Across the Continuum of Teaching (IMPPACT) in Science Education, Project Proposal, NSF Award #ESI-0455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