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를 이용한 물수지분석법의 매개변수추정과 함양량산정
Parameter Estimation of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and Recharge Calculation Using Groundwater Level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4 = no.165, 2006년, pp.299 - 311  

안중기 (한국농촌공사 제주도본부 환경지질팀) ,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비산출률을 모르는 관측정에서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 물수지분석법의 매개변수를 지하수위상 승량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제주도 북부지역의 2개 관측정에 적용하였다. 식생근계의 토양에 대한 물수지가 일단위로 분석되었다. 직접유출랑은 SCS방법으로 계산하고, 실제증발산량은 Penman-Monteith식으로 산정한 잠재증발산량에 작물계수와 수분스트레스계수를 곱하여 산정하였다. 강수량과 이전 토양수분량에서 직접유출량과 잠재증발산량을 제하였으며 토양수분보유능을 초과하는 수량을 지하수함양으로 보았다. SCS 유출곡선지수, 토양수분 보유능, 작물계수 등의 매개변수는 강우사상 동안의 함양량과 지하수위상승량의 선형관계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관측정이 위치한 지점에서 출현가능한 비산출률의 최대한계값($n_m$)을 강수량과 지하수위상승량 관계로부터 유도하였다. 관측된 지하수위상승량과 함양량 계산값의 선형관계로부터 비산출률과 결정계수($R^2$)를 산정하고, 계산된 비산출률이 최대한계값($n_m$)이내에 위치하며 $R^2$이 가장 큰 매개변수값을 모의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사례지역에 적용한 결과 추정된 매개변수로 산정한 함양량이 지하수위상승량의 변동을 81%이상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하수위 자료는 지하수함양량 산정을 위한 물수지분석법의 매개변수 추정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it is outlined the methodology of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for calculating recharge, using ground water level rises in monitoring well when values of specific yield of aquifer are not available. This methodology is applied for two monitoring wells of t...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구민호, 이대하 (2002).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의 수치해석적 분석.' 지질학회지. 제 38권, 제 3호, pp. 407-420 

  2. 국토개발연구원 (1997). 중산간지역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종합조사. 제주도, pp. 164-167 

  3. 김영화, 서인국, 박지성, 임한철, 문경환, 송창길, 강봉균, 박정식 (2002). 제주도 밭관개 용수량 산정법 정립에 관한 연구( I ).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pp. 128-130 

  4. 농업기반공사 (2000). 제주도 지하수보전관리계획 보고서. 제주도 . 한국수자원공사, pp. 167-186 

  5. 농업기반공사 (2003). 옹포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기본계획. 농림부 . 농업기반공사, pp. 477-479 

  6.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연구원 (1976). 정밀토양도. 제주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연구원 

  7. 산업기지개발공사 (1981). 제주도 수자원개발종합조사 보고서, pp. 140-150 

  8. 서정진 (2005). 제주도 소유역 지하수함양량산정 모델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p. 58 

  9. 이영일, 김현수, 김영하, 송창길, 강봉균, 박정식, 임한철, 문경환 (2004). 제주도 밭관개 용수량 산정법 정립에 관한 연구(III).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pp. 68-72 

  10. 한국수자원공사 (1993). 제주도 수자원 종합개발계획 수립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 건교부, pp. VIII3-24 

  11. 한국수자원공사 (2003).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III).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pp. 65-140 

  12. 허기술, 정정화 (1987). '한국토양의 수문학적 분류 및 그 응용.' 농공기술. 제4권, 제4호, pp. 47-61 

  13. Allen, R.G, Pereira, L.S., Raes, 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56, pp. 313-314 

  14.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 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15. Hansen, C.V. (1991). Estimates of freshwater storage and potential recharge for principal aquifers in Kansas.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87-4230, U.S. Geological survey, p.100 

  16. Lee, V.D, and Gehrels, J.C. (1997).'Modelling of groundwater recharge for a fractured dolomite aquifer under semi -arid conditions.' Recharge of phreatic aquifers in(semi-)arid areas, Edited by Simmers, I., and Balkemama, A.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ogeologists, Rotterdam, Nertherland, pp. 129-144 

  17. Neitsch, S.L., J.G. Arnold, J.R., Kiniry, J.R., Williams, J.R., King, K. .W., 2002,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Report TR-191, pp. 98-99 

  18. Mazi, K, Koussis, A.D., Restrepo, P. J., and Koutsoyiannis, D. (2004). 'A groundwater- based, objective-heuristic parameter optimisation method for a precipitation- runoff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semi-arid basin.' Journal of Hydrology, Vol. 290, pp. 243-258 

  19. Sophocleous, M.A. (1991). 'Combing the soilwater balance and water-level fluctuation mathods to estimate natural groundater recharge : practical aspects.' Journal of hydrdogy, Vol. 124, pp. 229-241 

  20. Stephens, D.B., Johnson, P., and Havlena, J. (1996). Esimation of infiltration and recharge for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publication NO. 4643, pp. 3-5 

  21. Williams, J.R., Nicks, A.D., and Arnold, J.G. (1985). 'Simulator for water resources in rural resources in rural bas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1, No. 6, pp. 970-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