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 개발(I): 모델의 이론
Development of Analyzing Model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I): Theory of Model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6, 2013년, pp.2277 - 2284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윤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은 지하수의 흐름과 관련된 반응계수 및 함양형태와 관련된 비산출율을 매개변수로 하여 부정류상태에서의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해석한다. 모델의 시험적용을 위해 제주도 한천지역의 JD 용담1과 JW 공항지점의 5년(2006-2010)간의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매개변수 산정결과, JD 용담1지점에서는 비산출율 0.023, 반응계수 0.039로 추정되었고, JW 공항지점에서는 각각 0.009와 0.028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을 이용하면, 지하수위에 의한 함양량 및 포화대에서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어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및 비포화대에서의 침루특성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is suggested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by means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due to recharge and discharge under unsteady condition. This model analyzes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by using reaction factor related with groundw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정류상태에서의 지하수 함양과 배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및 함양을 예측하는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De Zeeuw and Hellinga (1958)가 제안한 함양과 배수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식을 토대하였다. 모델에 적용되는 매개변수는 지하수의 배출형태를 지시하는 인자인 반응계수와 지하수의 함양형태를 나타내는 비산출율로 구성되어있다.
  • 본 절에서는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의 두 매개변수에 대한 추정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양에 의해 변동하는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국지적 규모의 단위시간별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해석모델을 적용하기 위해, 천층 대수층에 대한 관측자료가 비교적 정교한 제주도지역의 한천하류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제주도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에서 운영 중인 JD 용담1과 JW 공항지점의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Fig. 4의 (a)와 같이 일부 측정자료가 없는 구간이 있으나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델의 적용성에 대한 것이므로, 해당구간에 대해서는 선형관계로 가정하고 보간하여 분석하였다. Fig.
  •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지막 토양층의 침루량이 지하수로 함양된다는 가정 하에 수문모형의 침루량을 적용하여 비산출율의 초기치(μ‘)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위 변동자료를 이용하여 함양량을 분석하는 방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지하수위 변동자료를 이용하여 함양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적용 하는 개념과 방법에 따라 지하수위 변동법, 지하수위 강하법, 누적지하수위 강하법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방법들은 특정 상승 또는 하강구간에 대하여 함양율을 산정하여 전 구간에 적용하므로 함양량 추정에 있어 과추정의 우려와 단기간의 함양량을 산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지하수위 변동법은 강수시 발생하는 지하수위의 변화량에 대수층의 비산출률을 곱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국내외적으로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1920년대부터 이용되고 있다(Choi et al.
지하수 함양은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따라서 지하수위의 상승과 하강은 지하수의 함양과 배출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지하수 함양은 수문순환의 한 과정으로써 토양으로 침투한 강수가 토양층과 비포화대를 거쳐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과정으로 기상(강우, 온도, 습도, 풍속 등), 토양과 토지이용 특성, 지형, 지하지질 등의 수리지질학적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같은 지역이라도 국지적으로 다양한 값을 가지므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위해서는 시공간적 가변성을 고려하여 규명되어야 한다(Memon, 1995).
지하수위 변동자료를 이용하여 함양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어떠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지하수위 변동자료를 이용하여 함양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적용 하는 개념과 방법에 따라 지하수위 변동법, 지하수위 강하법, 누적지하수위 강하법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방법들은 특정 상승 또는 하강구간에 대하여 함양율을 산정하여 전 구간에 적용하므로 함양량 추정에 있어 과추정의 우려와 단기간의 함양량을 산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kensiek, D. L., Rawls, W. J. and Stephenson, G. R. (1984). Modifying SCS hydrologic soil groups and curve numbers for rangeland soils, ASAE, Paper No. PNR- 84-203, St. Joseph, Mich. 

  2. Cho, J. W. and Park, E. G. (2008). "A study on deline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using water-Table fluctuation and unsaturate zone soil water conten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3, No. 1, pp. 67-76 (in Korean). 

  3. Choi, B. S. and Ahn, J. G. (1998).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gional groundwater recharge 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5, No. 2, pp. 57-65 (in Korean). 

  4. Choi, H. M. and Lee, J. Y. (2010).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nd rainfall response characteristics in haean basin of yang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5, No. 6, pp. 1-8 (in Korean). 

  5. Choi, H. M., Lee, J. Y., Ha, K. C. and Kim, G. P. (2011). "The study on time series analysis of groundwater data and groundwater recharge in Jeju island."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1, No. 4, pp. 337-348 (in Korean). 

  6. Chung, I. M., Na, H. N., Lee, D. S., Kim, N. W., Lee, J. W. and Lee, J. M. (2011).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groundwater recharge in the Jincheon region."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1, No. 4, pp. 1347-1355 (in Korean). 

  7. De Zeeuw, J. and Hellinga, W. F. (1958). "Precipitation and drain." Agricultural Magazine, Vol. 70, pp. 405-421 (in Korean). 

  8. Duke, H. R. (1972). "Capillary properties of soils-Influence upon specific yield." Transaction of the ASAE, Vol. 15, pp. 688-691. 

  9. Fetter, C. W. (2000). Applied Hydrogeology, Prentice-Hall press. 

  10. Healy, R. W. and Cook, P. G. (2002). "Using groundwater levels to estimate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Vol. 10, No. 1, pp. 91-109. 

  11. Hooghoudt, S. B. (1940).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of field drainage by parallel drains, ditches, watercourses and channels." Reports of Agricultural Research, Vol. 46, No. 8, pp. 515-707 (in Dutch). 

  12. Horton, R. E. (1940). "An approach toward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infiltration capacit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edings, Vol. 5, pp. 399-417. 

  13. Kim, G. B., Choi, D. H. and Jeong, J. H. (2010). "Considerations on the specific yield estima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No. 1, pp. 61-70 (in Korean). 

  14. Kim, G. B., Yi, M. J., Kim, J. W., Lee, J. Y. and Lee, K. K. (2004). "Evaluation of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using waterlevel data obtained from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4, No. 3, pp. 313-323 (in Korean). 

  15. Memon, B. A. (1995). "Quantitative analysis of springs." Environmental Geology, Vol. 26, pp. 111-120. 

  16. Moon, S. K. and Woo, N. C. (2001).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using cumulative precipitation and water-level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Vol. 6, No. 1, pp. 33-43 (in Korean). 

  17. Nachabe, M. H. (2002). "Analytical expressions for transient specific yield and shallow water table drainag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8, No. 11, pp. 11-1-11-7. 

  18. Richard W. H. (2010).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Smedema, L. K. and Rycroft, D. W. (1983). Land drainage-planning and design of agricultural, Drainage Systems, Cornel University Press, Ithaca, NY. 

  20.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report. 

  21.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2010). Main structure of Korean watershed hydrologic model SWAT-K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