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생이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4, 2006년, pp.402 - 409  

이정화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유미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생이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in vivo에서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 혈증 억제효능 효과를 측정하여 검토한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만을 급여한 HC군은 NC군에 비하여 높은 체중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은 HC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한 HC-CFH군의 체중증가율이 H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정상식이에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은 NC군에 비해 체중증가율이 저하되 었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 식이 섭취량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 지질함량 변화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C군은 NC군에 비하여 중성지방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HC-CFL군과 HC-CFH군의 경우 NC군에 가깝게 감소되었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인지질 함량은 NC군이 HC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병합투여군들의 혈청 인지질 함량은 NC군 수준으로는 증가되지 않았지만 HC군에 비해서는 증가되었다. 정상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은 혈청중성지방 및 인지질 함량이 NC군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군들은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HC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정상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의 혈청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NC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 또한 임상진단에서 순환계와 관련한 진단지수인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 위험지수는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모든 군들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C군과는 달리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NC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 및 신장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된 HC군에 비하여 매생이 고용량 병합 투여한 HC-CFH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매생이 에탄올 병합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모든 군들이 HC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NC군에 비해서도 유의 차는 없었으나 저하되었다. 간과 신장의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매생이 추출물 공급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NC군에 비해 HC군이 증가하였고,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모든 군들은 H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NC군과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식이에 의한 체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효과와 LPL 활성 저하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나 어떠한 성분의 작용기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CF) extract on serum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and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Experimental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6주간 투여한 후 매생이의 혈액, 간 및 지방조직 중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구명하고자 지방조직의 lipoprotein lipase(LPL)활성 변화와 혈액 및 조직의 지질조성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 또한 LPL은 동맥내벽 세포에서 LDL receptor 결합력 과 콜레스테롤 흡수를 촉진한다고 알려졌다(45). 유전적 원인에 의해 LPL이 결핍되어지면 지단백질의 가수분해가 저하되어 혈액내 VLDL을 증가시 키고 HDL을 감소시 켜 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46), 간 및 혈청 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더불어 LPL 활성 측정은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관련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정상상태의 LPL 활성은 정 상식 이 를 급여 한 수준과는 비슷하여 야 하고, 지 나치 게 낮거 나 혹은 높을 경 우에 는 오히 려 고지 혈증과 비만 유발인자로 작용할 것 으로 사료되 어 져 LPL 활성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4)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Moon SJ. 1996.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Korean J Nutr 29: 743-752 

  2. David K, Shirley AT, Lisa ML, Larry MD, David MK. 1988. Serum and liver lipids of rats fed cocoa butter, corn oil, palm kernel oil, coconut oil and cholesterol. Nutr Res 8: 87-94 

  3. Levy RI. 1981. Cholesterol, lipoprotein, apoproteins and heart diseas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lin Chem 27: 653-662 

  4. Lee JM, Choi SW, Cho SH, Rhee SJ. 2003. Effect of seeds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Korean J Nutr 36: 793-800 

  5. Yokozawa T, Nakagawa T, Kitani K.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 in cholesterol-fed rats. J Agric Food Chem 50: 3549-3552 

  6. Mckenny JA. 2001. Lipid management: tools for getting to the goal. Am J Manag Care 7: 299-306 

  7. Oh IS, Kang JA, Kang JS. 2002.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gonadectomy and hypercholesterol diet on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platelet aggregation and liver tissue in sprague rats. Korean J Nutr 35: 15-23 

  8. Kim SH, Park HY, Park WK. 1988.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 320-325 

  9. Cho KJ, Lee YS, Ryu BH.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Bull Korean Fish Soc 23: 345-352 

  10. Hurch F, Meade J, Treanor R, Whinna H. 1989. Antithrombotic activity of fucoidin with heparin cofactor II, antithrombin III and thrombin. J Biol Chem 6: 361-375 

  11. Ren D, Noda H, Amano H, Nishino T, Nishizawa K. 1994. Study on antihypertensive and antilipidemic effects marine algae. Fish Sci 60: 83-88 

  12. Yu HJ. 2004. Inhibitory effect on the melanogenesis of ethanol extract of Capsosiphon fulvescens.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13. Kang YS. 2000.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on the fishery special commodity in Korea. Suhyepmunhwasa, Seoul. p 418-421 

  14. Park JC, Choi JS, Song SH, Choi MR, Kim KY, Choi JW. 1997.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Korean J Pharmacogn 28: 239-246 

  15. Han HA. 2002. A study of flavor on Capsosiphon fulvescens. MS Thesis. Yosu University 

  16. Reeves PG, Nielso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 1951 

  17. McGowan M, Artiss J, Strandbergh D. 1983. A peroxidase- 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 538-542 

  18. Richmond W. 1976.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588 

  19. Eng L, Noble E. 1957. The maturation of rat brain myelin. Lipids 3: 157-162 

  20. Takayama M, Itoh S, Naguski T, Tanimizn I. 1977. A new enzymat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erum choline-containing phospholipids. Clin Chim Acta 79: 93-98 

  21. Noma A, Nakayama K, Kota M, Okabe H. 1978.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high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ith use of heparin, $Ca^{2+}$ and an anion exchange resin. Clin Chem 24: 1504-1580 

  22. Friedwald W, Levy R, Fredrickson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3.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4. Zlatkis A, Zak B. 1969. Study of a new cholesterol reagent. Anal Biochem 29: 143-148 

  25. Biggs HG, Erikson TM, Moorehead WR. 1975. A manual colorimetric assay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 Chem 21: 437-441 

  26. Nilsson-Ehle P, Schotz MC. 1976. A stable radioactive substrate emulsion for assay of lipoprotein lipase. J Lipid Res 17: 536-541 

  27. Fried SK, Zechner R. 1989. Cachectin/tumor necrosis factor decreases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mRNA levels, synthesis, and activity. J Lipid Res 30: 1917-1923 

  28. Iverius PH, Brunzell JD. 1985.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changes with feeding and relation to postheparin plasma enzyme. Am J Physiol 249: E107-E114 

  29. Miller NE. 1987. The evidence for the antiatherogenicity of high density lipoprotein in man. Lipid 13: 914-919 

  30. Oda T, Shikate T, Natio C, Suzuki H, Kametaka T. 1970. Phospholipid fatty liver: a report of three cases with a new type of fatty liver. Jpn J Exp Med 40: 127-140 

  31. Gordon T, Castelli W, Dawber T. 1981. Lipoprote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the Framingham study. Arch Inter Med 141: 1128-1135 

  32. Tall A. 1990.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s metabolism and relationship to atherogenesis. J Clin Invest 86: 379-384 

  33. Rosenf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34. Yun YP, Kang WS, Lee MY. 1996. The antithrombotic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J Food Hyg Safety 11: 77- 82 

  35. Kang SM, Shin JY, Hwang SJ, Hong S, Jang HE, Park MH. 2003. Effects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health improvement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06-912 

  36. Lee JH. 2006.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of rats. MS Thesis. Chosun University 

  37. Simon JA, Hodgkins ML, Browner WS, Neuhaus JA, Bernert JT, Hulley SB. 1995. Serum fatty acid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 J Epidemiol 142: 469-476 

  38. Grundy SM, Denke MA. 1990. Dietary influences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J Lipid Res 31: 1149-1172 

  39. Rustan AC, Nossen JO, Christiansen EN, Drevon CA. 1988. Eicosapentaenoic acid reduces hepatic synthesis and secretion of triacylglycerol by decreasing the activity of acylcoenzyme A; 1,2-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J Lipid Res 29: 1417-1426 

  40. Willumsen N, Hexeberg S, Skorve J, Lundquist M, Berge RK. 1993. Docosahexaenoic acid shows no triglyceride-lowering effects but increases the peroxisomal fatty acid oxidation in liver of rats. J Lipid Res 34: 13-22 

  41. Wong SH, Marsh JB. 1988. Inhibition of apolipoprotein secretion and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by eicosapentaenic and docosahexaeonic acids in the perfused rat liver. Metabolism 37: 1177-1181 

  42. Schreiner CF, Klahr S. 1991. Diet and kidney disease: the role of dietary fatty acids. Proc Soc Exp Med 230: 1-11 

  43. Kim WY, Lee SJ, Jeong HJ. 1998.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dietary fats on renal functions in aged rats. Korean J Nutr 31: 253-262 

  44. Lee JJ, Chun CS, Kin JG, Choi BD. 2000. Effect of fasting 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1-478 

  45. O'Brien KD, Gordon D, Deeb S, Ferguson M, Chait A. 1992. Lipoprotein lipase is synthesized by macrophage-derived foam cells in human coronary atherosclerotic plaques. J Clin Invest 89: 1544-1550 

  46. Semenkovich CF, Coleman T, Daugherty A. 1998. Effects of heterozygous 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on diet-induced atherosclerosis in mice. J Lipid Res 39: 1141-1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