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6 = no.184, 2005년, pp.912 - 917  

양호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정경모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강광성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송병준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임현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나환식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문희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허남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남 지방에서 생산되는 매생이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 탄수화물이 53.65%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질 31.76%, 회분 13.58%와 조 지방이 1.01%로 나타났다. 매생이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Na>Mg>Ca>K>P 순으로 나타났으며 Se도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총 5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galactose)이 분석되었으며 유기산은 l-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D-malic acid 등 4종이 검출되었다. 매생이의 구성 아미노산은 전체적으로 고루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 glutamic acid, aspartic acid와 alanine이 전체의 36.2%를 차지하였다. 매생이에 함유된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linolenoc acid, stearidonic acid 순이었으며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전체의 58.37%를 차지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dried green algae,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with $96.02{\pm}0.02%$ moisture content, were investigated. Crude protein, crude lipid, ash and carbohydrate content of C. fulvescens were $31.76{\pm}0.26,\;1.01{\pm}0.21,\;13.58{\pm}0.62\;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생이는 물김, 파래, 미역 등 보다 높은 가격 경쟁력은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종의 분류학적 기 재 및 번식(1), 생태 및 생활사(4), 분포(5), 형태 및 분류(6), 인 공채묘에 관한 연구(7) 등 기초 생물학적인 연구가 주로 이루 어졌고, 그밖에 매생이의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채취시기별 매 생이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8)와 메탄올 추출물의 지질 과산 화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9)가 있을 뿐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 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해안 에서 생산되는 매생이를 분석하여 매생이의 영양학적 우수성 을 알리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 2)Y: all values shown at Y columns are % to total amino acid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iding C. A critical survey of european taxa in Ulvales. Part I. Capsosiphon, Percursaria, Blidingia, Enterromorpha. Opera Botanica. 8: 1-160 (1963) 

  2. Lee IK. Flora of marine algae in Cheju Island 1. Ulvaceae. Korean J. Phycol. 1: 157-167 (1986) 

  3. Haenam maritime & fisheries office team and Bukyoung national university team. Development of artificial seeding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Capsosiphon fulvescens for production enhencement.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Korea. pp. 60-62 (2000) 

  4. Migita S. Life cycle of Capsosiphon fulvescens (C. Agardh) Setchell and Gardner. Bull. Fac. Fish. Nagasaki Univ. 22: 21-31 (1967) 

  5. Garbary DJ, Golden L, Scagel RF. Capsosiphon fulvescens (Capsosiphonaceae, Chlorophyta) rediscovered in the northeastern. Pacific Syesis. 15: 39-42 (1982) 

  6. Chihara M. Developmental morphology and systematics of Capsosiphon fulvescens as found in Izu, Japan. Bull. Nat. Sci. Mus. Tokyo. 10: 163-170 (1967) 

  7. Kim DK. Study on artifical seeding of green algae Capsosiphon fulvescen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01) 

  8. Han HA. A study of flavor on Capsosiphon fulvescens. MS thesis. Yosu National University. Yosu, Korea (2002) 

  9. Park JC, Choi JS, Song SH, Choi MR, Kim KY, Choi JW. Hep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Korean J. Pharmacogn 28: 239-246 (1997) 

  1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1. KFDA. Korean Food Code (a separate volume). Munyoungsa, Seoul, Korea. pp. 3-29 (2002) 

  12. Gancedo M, Luh BS.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1986) 

  13. Waters Associates. Analysis of amino acid in Waters. PICO. 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 pp. 41-46 (1990) 

  14. Bligh EG, Dyer WJ.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 Physiol. 37: 911-917 (1959) 

  15.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3rd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icago, IL, USA (1973) 

  16.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Food Composition Table. Sixth rev. Suwon, Korea. pp. 156- 157 (2001) 

  17. Jung KI, Jung CH, Pyeun JH, Choi YJ. Changes of food compon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7-693 (2005) 

  18. Kang YS.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on the fishery special commodity in Korea. Suhyepmunhwasa, Seoul, Korea. pp. 418-421 (2000) 

  19. Fleurence J. Seaweed proteins: Biochemical nutrit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 Trends Food Sci. Technol. 10: 25-28 (1999) 

  20. Scott ML.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of vitamin E. Fad. Proc. 39: 2736-2739 (1984) 

  21. Davis CD, Zeng H, Finley JW. Selenium enriched brocoli decreases intestinal tumorigenesis in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ice. J. Nutr. 132: 307-309 (2002) 

  22. Tapiero H, Toensend DM, Tew KD. The antioxidant role of selenium and seleno-compounds. Biomed. Pharmacotherapy 57: 134-144 (2003) 

  23. Lee HS, Lee IG. Agar-sugar extracted by alcohol of sugar plants. Haksulwonnonmungip 4: 69-81 (1963) 

  24. Kim YJ. Studies on the organic acid in some species of marine algae. Korean Home Econ. Assoc. 9: 30-33 (1971) 

  25. FAG. Amino acid content of food and biological data on protein. Rome, Italy (1970) 

  26. Noda N. Health benefits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nori. J. Appl. Phycol. 5: 225-258 (1993) 

  27. Hayashi K, Kida S, Kuto K, Yamada M. Component fatty acids of acetone-soluble lipids of 17 species of marine benthic algae. Nippon Suisan Gakkaishi. 40: 609-617 (1974) 

  28. Hong JS, Kwon YJ, Kim YH, Kim MK, Park IW. Fatty acid composition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and Pare (Eneromorpha compressa). J. Korean Soc. Food Nutr. 20: 376-380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