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생이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6 = no.134, 2011년, pp.811 - 818  

조은경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슬기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류 매생이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10 mg/m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8, 62.4%, SOD 유사활성은 각각 13.8, 27.1%로 나타났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에서는 1 mg/ml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9, 49.7%의 활성을 보여 비교적 높은 효능이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나타났다.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저해능 분석으로 측정하였는데, 1 mg/ml 농도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4, 67.3%로써 비교적 높은 효능을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였다. 매생이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acetaldehyde 분해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각각 75.9, 51.2%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MHW) and 80% ethanol (MEH) extracts from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for MHW and ME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Lim 등[22]의 보고에 의하면 같은 농도의 감태와 패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43종의 해조류 추출물보다 높은 SOD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에 대해서는 그 기대치가 낮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다른 해조류들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지금까지 매생이의 SOD 유사활성에 대한 보고는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는 학문적 기초자료로써의 가치만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따라서,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에 대해서는 그 기대치가 낮을 것으로 판단 되지만, 알콜 분해와 숙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헛개 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분석한 Kim 등[12]의 in vivo 실험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의 ADH 활성 증진이 108-114% 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의미있는 알콜 분해능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해조류 추출물의 알콜 분해능에 대한 보고는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는 학문적 기초자료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1 mg/ml 농도에서 각각 2.6, 1.7%였다(Table 2). 이를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매생이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 혈압 및 혈당 강하효능, 미용효과, 숙취해소능 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매생이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생이의 번식시기는 언제인가? 특히 무기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어린이의 발육을 위한 골격 형성, 골다공증 예방효과가 있는 칼슘과 조혈기능을 가지는 철의 함량이 높고, 혈압강하 작용에 관여하는 칼륨함량도 높아서 이들 무기질에 의한 생리효과가 기대되는 해조류이다[9,18]. 하지만, 매생이는 우리나라에서 남해안 청정지역의 조간대 상부에서 서식하여, 11월 중순부터 4~5월까지만 번식 할 뿐 아니라 환경오염에 매우 민감하여 육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생육이 저하되므로 그 생산량이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매생이를 제외한 다른 녹조류에 대한 기능성은 아주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매생이에 대해서는 분류학적 연구나 생태 및 생활사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만 진행되었고, 일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비로소 진행되었다[5,12,20, 21,25,33].
매생이가 함유하고 있는 무기질에 의한 생리효과가 기대되는 해조류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녹조류인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영양성분이 고루 함유된 해조류인데 보고에 의하면 조단백질과 다양한 무기질을 다른 해조류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9]. 특히 무기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어린이의 발육을 위한 골격 형성, 골다공증 예방효과가 있는 칼슘과 조혈기능을 가지는 철의 함량이 높고, 혈압강하 작용에 관여하는 칼륨함량도 높아서 이들 무기질에 의한 생리효과가 기대되는 해조류이다[9,18]. 하지만, 매생이는 우리나라에서 남해안 청정지역의 조간대 상부에서 서식하여, 11월 중순부터 4~5월까지만 번식 할 뿐 아니라 환경오염에 매우 민감하여 육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생육이 저하되므로 그 생산량이 극히 제한적이다.
해조류는 일반 농산 채소류에 비하여 무엇을 함유하고 있는가? 해조류는 일반 농산 채소류에 비하여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일반성분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필수 미량원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특히 해조류의 알칼리 이온은 체내의 산성 노폐물과 결합하여 배설됨으로써 신진대사 작용을 활발하게 돕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 Bu, H. J., Y. M. Ham, J. M. Kim, S. J. Lee, J. W. Hyun, and N. H. Lee. 2006. Elastase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Korean J. Pharmacogn. 37, 92-96. 

  3. Cha, S. H., G. N. Ahn, S. J. Heo, K. N. Kim, K. W. Lee, C. B. Song, S. K. Cho, and Y. J. Jeon. 2006.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in Jeju for potential marine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4. Cho, E. K. and Y. J. Choi.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J. Life Sci. 20, 1675-1682. 

  5. Cho, M., I. J. Kang, M. H. Won, H. S. Lee, and S. You. 2010.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green seaweeds. J. Med. Food 13, 1232-1239. 

  6. Choi, J. T., H. K. Joo, and S. K. Lee.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7. Cushman, D.W, and H. S. Cheung.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8. Dewitt, D. L., T. Rollins, J. S. Day, J. A. Gauger, and W. L. Smith.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10375-10382. 

  9. Jeong, K. S. and N. G. Lee. 2010. A study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J. Environmental Sci. 19, 407-414. 

  10. Joung, E. Y. and S. K. Lee.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regeneration effect in HaCat cell by Jeju Island aboriginal Ecklonia cava. J. Korean Soc. Cosm. 13, 1071-1077. 

  11. Jung, K. J., C. H. Jung, J. H. Pyeun, and Y. J. Choi. 2005. Changes of food components in Mesangi (Capsosiphon filvecens),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7-693. 

  12. Kim, M. H., Y. T. Chung, J. H. Lee, Y. S. Park, M. K. Shin, H. S. Kim, D. H. Kim, and H. Y. Lee.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13. Kim, M. J., J. H. Ahn, K. H. Choi, Y. H. Lee, E. K. Hong, and Y. S. Chung. 2006.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21-327. 

  14. Kim, M. K., J. Y. Kim, S. W. Choi, J. T. Hong, and K. S. Yoon.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 15-22. 

  15. Kim, S. H., S. Y. Hwang, O. S. Park, M. K. Kim, and Y. J. Chung. 2005. Effect of Pinus densiflora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OGTT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73-979. 

  16. Kraunsoe, J. A., T. D. Claridge, and G. Lowe.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rypsin inhibitor. Biochemistry 35, 9090-9096. 

  17. Kwak, C. S., S. A. Kim, and M. S. Lee.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43-1150. 

  18. Kwon, M. J. and T. J. Nam. 2006. Effects of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 pow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30-535. 

  19. Lee, E. H., J. Y. Ham, H. R. Ahn, M. C. Kim, C. Y. Kim, C. H. Pan, B. H. Um, and S. H. Jung. 2009. Inhibitory effects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Sargassum yezoense on $\alpha$ -glucosidase and oxidative stress. Korean J. Pharmacogn. 40, 150-154. 

  20. Lee, J. H. 1993. Studies on th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Kunsan Univ. Fish. Sci. Research 9, 9-19. 

  21. Lee, J. H., Y. M. Lee, J. J. Lee, and M. Y. Lee. 2006.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02-409. 

  22. Lim, J. H., K. S. Jung, J. S. Lee, E. S. Jung, D. K. Kim, Y. S. Kim, Y. W. Kim, and D. H. Park. 2008. The study on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wild seaweeds of Jeju Island. J. Soc. Cosmet. Sci. Korea 34, 201-207. 

  23.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4. Maruyama, S., K. Nakagomi, N. Tomizuka, and H. Suzuki. 1985.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derived from an enzymatic hydrolysate of casein. Agric. Biol. Chem. 49, 1405-1410. 

  25. Na, Y. S., W. J. Kim, S. M. Kim, J. K. Park, S. M. Lee, S. O. Kim, A. Synytsya, and Y. I. Park. 2010.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apsosiphon fulvescens. Int. Immunopharmacol. 10, 364-370. 

  26. Nam, K. A. 2007. Characterization of squid sjin collagens and functionality of their enzymatic hydrolysates. M. S. Thesis, University of Kangnung, Gangwondo, Korea. 

  27. Nice, D. J., D. S. Robinson, and M. A. Jolden. 1995. Characteriz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52, 393-397. 

  28. Park, Y. B. 2005. Determination of nitrite-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3-1296. 

  29. Racker, E. 1973. Alcohol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30. Tibbot, B. K. and R. W. Skadsen.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31. Tottmar, S. O., H. Petterson, and K. H. Kiessling.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32. Tsuji, N.,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2001. The role of elastase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3. Yang, H. C., K. I. M. Jung, K. S. Gang, B. J. Song, H. C. Lim, H. S. Na, H. Mun, and N. C. Heo. 2005.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12-917. 

  34. Ying, Q. L., A. R. Rinehart, S. R. Simon, and J. C. Cheronis. 1991. Inhibition of human leucocyte elastase by ursolic acid; evidence for a binding site for pentacyclic. Biochem. J. 277, 52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