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엿강정용 팽화쌀 품질에 대한 대두경화유의 영향
The Effect of Hydrated Soybean Oil on Quality of Popped Rice for Preparing Salyeotgangjun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1 no.6, 2006년, pp.679 - 684  

김명애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experiment, I used three samples of oils. The oils that I used were hydrated soybean oil, pure soybean oil and regular soybean oil. The group of rice was fried in the each sample of oil that had not been used for a few seconds. Rice was used after frying at 230-235$^{\circ}C$ 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OCS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지시료 5 g을 에탄올 100 ul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한 다음 1%- phenolphthalein 지시 약 0.
  • 경화대두유는 지방산 분석을 통해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측정기 기는 가스크로마토그라피 (GC14B, Shimazu, Japan)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Induction temperature 170 ℃, Inti time Omin, Prog rate 1/min, Final temperature 205℃, Final time lOmin, Injector 220℃, Detector 240℃, Split ratio 100:l, Carrier gas 300Kpa이었고 Supelcowax capillary column 100 m x 0.25 mm x 0.2 um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지방산전처리 방법은 식품공전(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쌀엿강 정용 팽화쌀은 상당히 고열(220-240°6에서 튀기는 것(Kim 200D으로 튀김 유지의 산화안정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튀김유를 정제 대두유, 일반 대두유, 경화대두유로 각기 다르게 하고 튀기기 시작하여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의 팽화쌀과 튀김유를 시료로 하여 팽화쌀의 직경, 물성, 관능 특성과 튀김유의 산패도를 평가하였다.
  • 이렇게 제조된 건조 호화쌀은 230-2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반 대두유, 순두대두유, 경화대두유에서 3분의 간격을 두고 각각 수초간 튀겨서 팽화쌀을 제조하였으며 총튀김시간은 12시간이었다. 시료용 팽화쌀은 튀기기 시작하여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 튀겨낸 팽화쌀을 사용하였고 시료용 유지는 튀기기 시작하여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 튀김유에서 50 ml씩 덜어내어 사용하였다.
  • 식품영양학과 학생 20명을 선발하여 팽화쌀의 관능적 품질요소를 인지하도록 훈련시킨 후 질문지에 패널로 하여금 관능 특성의 강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칸에 표시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Kim(2003)의 결과와 예비실험을 통하여 하얀 정도(whiteness), 산패취(rancidity), 바삭바삭한 정도(crispiness),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특성의 강도는 7점 척도법(아주 강하다7, 강하다6, 약간 강하다5, 보통이다 4, 약간 약하다3, 약하다2, 아주 약하다 1)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는 기호도 7점 척도법(아주 좋다 7, 좋다6, 약간 좋다 5, 보통 좋다 4, 약간 좋지 않다3, 좋지 않다 2, 아주 좋지 않다 1)으로 평가하였다.
  • 유탕 처리에 사용되는 튀김유를 정제 대두유, 일반 대두유, 경화대두유로 각기 다르게 하여 230-235P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분의 간격을 두고 각각 수초간 튀겨내기 시작하여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 튀겨낸 팽화쌀과,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의 튀김유를 시료로 한 다음 팽화쌀의 직경, 물성, 관능 특성과 튀김유의 산패도, 경화대두유의 트랜스지방산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이렇게 제조된 건조 호화쌀은 230-2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반 대두유, 순두대두유, 경화대두유에서 3분의 간격을 두고 각각 수초간 튀겨서 팽화쌀을 제조하였으며 총튀김시간은 12시간이었다. 시료용 팽화쌀은 튀기기 시작하여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 튀겨낸 팽화쌀을 사용하였고 시료용 유지는 튀기기 시작하여 0, 4, 8, 12시간이 되었을 때 튀김유에서 50 ml씩 덜어내어 사용하였다.
  • 표준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시료를 20개 이상 선발하여 rheometer(Ez-test, Shimazu)로 경도(hardness), 응집성 (cohesivness), 탄성 (springiness), 부서짐성(brittleness)을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Table 1>과 같아 adaptor는 플라스틱 제 원 기둥형으로 직경은 20 mm, test typee mastication test, set value 2 mm, table speed 45 mm/min의 조건에서 팽화쌀이 파단시까지의 압착시험을 행하였다.
  • 식품영양학과 학생 20명을 선발하여 팽화쌀의 관능적 품질요소를 인지하도록 훈련시킨 후 질문지에 패널로 하여금 관능 특성의 강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칸에 표시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Kim(2003)의 결과와 예비실험을 통하여 하얀 정도(whiteness), 산패취(rancidity), 바삭바삭한 정도(crispiness),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특성의 강도는 7점 척도법(아주 강하다7, 강하다6, 약간 강하다5, 보통이다 4, 약간 약하다3, 약하다2, 아주 약하다 1)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는 기호도 7점 척도법(아주 좋다 7, 좋다6, 약간 좋다 5, 보통 좋다 4, 약간 좋지 않다3, 좋지 않다 2, 아주 좋지 않다 1)으로 평가하였다.
  • 표준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시료를 20개 이상 선발하여 rheometer(Ez-test, Shimazu)로 경도(hardness), 응집성 (cohesivness), 탄성 (springiness), 부서짐성(brittleness)을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Table 1>과 같아 adaptor는 플라스틱 제 원 기둥형으로 직경은 20 mm, test typee mastication test, set value 2 mm, table speed 45 mm/min의 조건에서 팽화쌀이 파단시까지의 압착시험을 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다양한 대두유에서 튀겨낸 팽화쌀 중 표준적인 외관을 지니는 것을 10개 이상 선별하여 그 직경을 caliper로 측정하였다.
  • 쌀엿강용 쌀은 2005년 도산 일반미를 사용하였으며 튀김유는 일반 대두유(백설표)와 롯데삼강(주)에서 정제 대두 유와 경화대두유를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연구의 기계측정과 관능검사에 관한 결과는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인 SAS(statistic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 분산 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Sung 1991).

이론/모형

  • 2 um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지방산전처리 방법은 식품공전(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0)을 참고하였다.
  • 팽화쌀의 제조방법은 기존방법(Kang 1997; Yoon 1999; Yoon 2001)과 선행연구(Kim 2001a; Kim 2001b; Kim 2003)를 참고로 하여 예비실험을 통해 결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OCS. official method Te 1a-64 

  2. AOCS. official method Cd 8-53 

  3. Bang SH. 1930. Josunyori. Hangsungdoseo. Seoul. pp 317-320, pp 325-328 

  4. Han BR, Jung KJ, Han BJ. 2000. Easy, delicious and beautiful Hangwa. Research Institute of the King's Food. Seoul. pp 243 

  5. Hwang HS. 1993. Deok, Han-gwa, Sikhe and Sujunggwa. In: Korea food. Jubu-saenghwal. Seoul. pp 38-39 

  6. Hwang HS. 1998. Kyugonsi-eui-bang. Hangukinseo press. Seoul. pp 39-45 

  7. Kang IH. 1997. Deok and Gwazeul of Korea. Daehan Kyogwaseo. Seoul. pp 35 

  8. Yoon SJ. 1999. Deok, Han-gwa and Eumchung of Korea. Jigumoonhwasa. Seoul. pp 235 

  9. Kim MA. 2001. Quality of Popped Rice with Deep-frying for Salyeotgangju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5): 478-482 

  10. Kim MA. 2001. Study on the Structure of Expanded Rice with Deep-frying for Salyeotgangjung. Korean J. Dietary Culture., 16(4): 323-329 

  11. Kim MA. 2003. Effect of Drying Method of Gelatinized Rice on Quality of Popped Rice for Preparing Salyeotgangjung. Korean J. Food Culture., 18(5): 437-442 

  12. Kim SW. 2002. Effects of Lipids and Alcohoic Beverages on Yackwa Quality and Preservation. Doctors degree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pp 56 

  1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0. Food Code 

  14. Lee HJ. 1989. Korean traditional snack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22(1): 46-57 

  15. Lee SM. 1934. Ganpyunuyori. Seoul. pp 79-81 

  16. Sung NK. SAS/STAT. Jayou academy. Seoul. p 201, 1991 

  17. Yoon SS. 1991. Words of Korean food. In: Daewoo-haksul report. Mineumsa. Seoul. pp 357 

  18. Yoon SJ, Son JW, Jung JH, Shin AS, Hong JS, Lee JS, Myung CO. 1993. Deok, Han-gwa and Eumchung. In: Korean traditional food. Yeolin-madang. Seoul. pp 76-77 

  19. Yoon SJ. 2001. Wedding food of Korea. Jigumoonhwasa. Seoul. pp 219 

  20. Yun SK, Oh HI, Lee HJ, Mun TH, No BS. 2002. Food chemistry. Soohaksa. Seoul. pp 190-1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