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과 허브류인 수입산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2 no.6 = no.96, 2006년, pp.768 - 773  

임성임 (동의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배정은 (동의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최성희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럽의 허브요법을 대표하는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에 속하는 감국차의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하고 비교하였다. 캐모마일차의 휘발성성분으로는 cubebene(14.59%), ${\beta}$-elemene(4.88%), ${\delta}$-cadinol(1.54%)을 포함한 총 46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반면, 국내산 국화차에서는 santalol(6.25%), bornyl acetate(3.47%), farnesene(3.37%), 1,8-nonadiene(2.80%), caryophyllene oxide(2.77%) 및 thymol(2.16%) 등 총 45종류의 화합물이 동정 또는 추정되었다. 동정 또는 추정된 화합물 중 22종은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캐모마일차와 국화차에 공통으로 함유된 화합물 중 비교적 함량적으로 많이 들어있는 화합물은 4-terpineol, ${\alpha}$-terpineol, thymol, phenylacetaldehyde들이 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oma components of german chamomile tea in Europe and kukwha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tea in Korea belonging to genus chrysanthem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volatile components of chamomile tea and kukwha tea were collected by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외의 연구로 국화과의 향기성분으로 thujone, chrysantenone, caryophyllen, cadinene, camphene, camphor, borneol, crysantenyl acetate, linalyl acetate등이 보고되어 있다(Hunafusa M 199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웰빙과 함께 허브류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산 국화를 보다 대중화된 국내 브랜드로 개 발하기 위해 이미 허브차로 대중화 되어 있는 캐모마 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기호도와 관련된 향기성분을 분석, 동정 및 비교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유미. 2003. 한국의 야생화. 다른세상. 서울. pp.470-475 

  2. Akahoshi G. 1983. Kouryonokagaku(in Japanese). Dainihontosyo. Tokyo, Japan. p. 315 

  3. Choi KS, Choi BY, Park HK, Kim JH, Park JS, Yoon CN. 1988. Flavor componen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DC. Kor. J. Food Sci. Technol. 20: 774-779 

  4. Choi SH. 1991.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of commercial korean green tea. Kor. J. Food Sci. Technol. 23: 98- 101 

  5. Choi SH. 2001.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Korean semi- fermented teas. Kor. J. Food Sci. Technol. 33: 529-533 

  6. Choi SH, Bae JE. 1996.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 the products of Mt. Chiri garden. J. Korean Soc. Food Nutr. 25: 478-483 

  7. Choi SH, Kim HJ.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Kor. J. Food Sci. Technol. 32: 513-518 

  8. Choi SH, Kim HJ. 2000. Th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cnidium officinale Makin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582- 585 

  9. Choi SH, Im SI, Jang EY, Cho YS. 2004. Volatile components of flavor and seed of safflower. Kor. J. Food Sci. Technol. 36: 196-201 

  10. Dewick PM. 2002. Medicinal Natural Products. Wiley. England. p.184 

  11. Fujimaki M. 1982. Kouryounoziten (in Japanese). Asakurashoten, Tokyo, Japan. p. 368 

  12. Hanafusa M. 1993. Fragrance materials of the cosmetica : Chrysanthemum. Kouryou(in Japanese) 177, pp. 107-110 

  13. Isao K, Hisae M, Masaki H. 1992. Antimmicrobial activity of green tea flavor components and their combination effects. J Agric Food Chem 40: 245-250 

  14. Jang DS, Park KH, Yang MS. 1998. Germacranolides from flower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 J. pharmacogn 29: 67-70 

  15. Kawakami M. 2000. Aroma Study of Tea. Koseikan. Tokyo, Japan. p. 214 

  16.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t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ition 21: 231-239 

  17. Kim YS, Lee JH, Kim MN, Lee WG, Kim JO. 1994.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J. Korean Soc. Food Nutr. 23:261-267 

  18. Ody P. 2000. Medicinal Herbal. Dorling Kindorsley, Australia 

  19. Omori M. 1997. Characterization of tea flavor. Kouryou(in Japanese) 193. pp. 59-73 

  20. Shin SH, Choi YI. 1982.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sibiricum and comparison with essential oils from seoul chrysanthemum spp. Kor. J. Pharmacog. 13:153-156 

  21. Wassenhove FV, Dirinck DJ, Schamp NM, Vulsteke G A. 1990.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s on celery volatiles. J Agric Food Chem 38: 582-585 

  22. Yamanishi T, Kosuge M, Tokitomo Y, Maeda R. 1980. Flavor constituent of pouchong tea and comparison of the aroma pattern with jasmine tea. Agric Biol Chem 44: 2139-2142 

  23. Yamanishi T. 1989. Tea. Kouryou(in Japanese) 161. pp. 57-72 

  24. Yang MS, Park KH, Jang DS, Choi SU, Nam SH, Shiro M. 1996. Cumambrin A in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preparation, X-ray Crystal Structure and $^{13}C-$ and $^1H-NMR$ Study of Cumambrin A. Kor. J. Pharmacogn. 27: 20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